•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관점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3초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 및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 김미진;김혜진;손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3-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과 배경변인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밝히고,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283명이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목표 관점은 배려중심의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문화감수성은 평균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경력과 연령, 학력에 따라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은 다문화교수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다문화교육목표의 네 가지 관점 중에서 배려중심 관점과 사회적 행동 관점이 다문화교수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켜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Homes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전미경;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6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과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99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과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및 교사연수 유무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없는 교사가 약간 많았다. 대학교 재학시절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은 드물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인종의 존중, 다문화의 안정, 다문화에 대한 신념, 다문화 지식 수용 태도는 매우 긍정적안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감과 관심, 그들과의 소통에서는 유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위해 상호 이해와 배려를 강조해야 한다는 배려중심 관점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 강조 관점, 사회적 행동 강조 관정, 동화주의 관점 순이었다. 넷째,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가정과 교사는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정교과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는 배려 중심 관점을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은 모든 교과의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교과에서 실시된다면 기술가정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여겼다.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의 다문화가족애 대한 이해와 인식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활용 자료는 시청각 자료, 연수 방법으로는 교사 직무 연수와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를 선호하였다.

  • PDF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A Study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 정유경;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617-630
    • /
    • 2015
  • 교사 지식의 본질에 대한 견해에 따라 교사 지식을 분석하는 목적과 방법이 결정되므로 교사 지식에 대한 관점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우리나라에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수학을 가르치는 데 발현되는 교사 지식(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MKiT])'의 개념, 특성, 분석 방식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MKiT의 관점에 따르면, 교사 지식이란 수학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어야 의미가 부여되는 실천적 지식이다. 또한 수학을 가르치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교사 지식의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교사 지식이 구성된다는 측면에서 교사 지식의 본질을 수업 맥락에 특화된 유기체로 여긴다. 이런 측면에서 교사 지식에 대한 분석은 주로 수업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교사의 행위나 수업 상황을 관찰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MKiT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지식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더 나아가 수학 교사 지식의 본질 및 분석 방식에 대한 면밀한 이해를 촉구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사-학생 상호작용간의 과학논증 탐색: 인식론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ith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 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6-11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한미 초등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수학 교수의 학습 기회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f Curricular of Teacher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Opportunities to Learn Teaching Mathematic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555-572
    • /
    • 2014
  • 본 고는 초등 교사를 위한 한국의 12개 교사교육대학과 미국의 9개 대학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전문직 교육으로서 한국의 수학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교육의 목적,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대학이 제공하는 강좌 구성, 그리고 수학 교수의 학습 기회의 네 가지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나라의 교육과정은 교과목 지도를 특히 강조하며,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학력신장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두 나라의 초등교사 교육과정을 전체 구조는 유사하지만, 수학교수의 학습기회라는 관점에서 교육과정이 제공하는 내용은 매우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두 나라의 교육 및 교사에 관한 매우 다른 사회문화적 관점과 상황 때문에 다른 교사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그러나, 여러 연구 결과에서 증명하듯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은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 및 교사들의 교수와 결정적 관련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안정된 체계로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의 교사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교수를 위한 수학 지식을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 PDF

수학 교사의 교육적 지식과 개념에 대한 분석

  • 김원경;김용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1권
    • /
    • pp.415-435
    • /
    • 2001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수학 교사가 가지고 있는 수학의 교수-학습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수학 교사의 수학 단원에 대한 선호도와 그 이유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확률 개념과 통계 개념에 대한 교육적 지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에 의하면 수학 교사의 수학의 본질에 대한 개념은 문제해결적 관점보다 플라톤적 관점이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좋아하는 단원으로 도형 부분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가장 싫어하는 단원으로 확률과 통계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한 가르치기 가장 쉬운 단원으로 방정식과 부등식 부분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가르치기 가장 어려운 단원으로 도형 부분을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평가문항 개발의 적용과 효과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Mathematical Tasks)

  • 이동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05-51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수학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문항이 검토 과정에서 어떻게 수정되는지 그리고 문항을 적용한 결과를 해석하면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가문항의 변화 양상은 주로 출제의도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교육과정에 제시된 용어와 기호의 사용, 수학적 오류의 수정, 보기의 재구성 및 재배치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관점이 변화되었는데, 평가 과정에서 학생 수준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 인식, 좋은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나타났다.

  • PDF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 분석 -예비유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The analysis of teach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for high school and hig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고은현;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2-188
    • /
    • 2017
  • 이 연구는 수업이 지향해야 하는 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여 선행연구에서 밝혀왔던 좋은 수업의 세부 요소 및 특성들과 더불어 좋은 수업의 가치를 지향할 수 있는 수업의 우세 가치 유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포괄적인 인식과 관점을 객관적으로 지표화한 TPI를 활용하여, 예비 및 현직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우세 가치 유형을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Tukey의 HSD)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수업의 우세가치는 학교유형과 관계없이 "양육" 관점으로, 대학교 수업은 "도제"관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수업에 관한 연구결과는 "양육"이 우세 관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학 수업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도제 관점이 우세하여 드러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현직 유아교사가 실습경험 없는 예비교사보다 "도제" 관점을 우세하게 인식하였다. 국내외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 고찰하여 좋은 수업의 가치를 논의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교급과 전공을 세분화하여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이 요구된다.

AHP를 활용한 특수교사 관점에서 특수교육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Policy direc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using AHP)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81-689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특수교사 관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통해 중요도 측면에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한 정책은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인프라지원 순이었으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수 학습 지원 정책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활성화 및 보급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