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교육프로그램

검색결과 1,356건 처리시간 0.039초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 오영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함으로써 예비 교사를 위한 수학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 분석에 의하면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학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의 개선과 변화된 수업 방식의 지속성에 매우 유효한 요인이 된다.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보통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상당수의 예비 교사들은 자신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들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초점이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 능력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학 교수법적 지식과 매우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3-39
    • /
    • 2013
  •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

파견 연수를 통한 과학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 변화 조사 (Research on the changes of the belief of science teachers after dispatch training -focusing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 김경화;최승언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1-338
    • /
    • 2005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데 핵심이 되는 영재교육 담당교사를 위한 연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형태의 교사의 인식수준 파악과과 신념 변화 과정을 조사하고바람직한 교사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서울시교육청에서 처음 시도하는 교사연수 형태인 [파견연수] 전후에 있어서 과학교사들의 신념변화 과정을 설문지와 관찰, 인터뷰를 통하여 확인하고 논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키는 연수 프로그램의 기본 틀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후속 연구로는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도구 개발과 전문성 실태 분석 및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및 효율적인 과학영재교육분야의 교사연수 모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국 수학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Reflections on U.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 이수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349-3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육분야에서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연구 및 수행에 대한 고찰을 통해 드러나는 다섯 가지 중요한 범주들이 기술되었다: (1) 효율적인 지원 공동체 수립, (2) 교사 지식에의 주목, (3) 학생의 학습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교사지식의 구성, (4) 인식기반 및 개념기반 관점, (5) 장기간에 걸친 현장에서의 교사교육. 결론에서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포함해야 할 요소들과 앞으로 이 분야에서 이루어져야할 연구방향 등이 제시된다.

  • PDF

현장 중심 수학 교사 교육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고찰 (The Defining of a Reform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athematics Teachers)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95-508
    • /
    • 2005
  • 본 논문은 현장 중심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교육 철학을 Dewey의 교육학적 철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재조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견해를 바탕으로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이 추구해야 하는 궁극적 목적과 그 안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 사항 그리고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재를 근거로 한 실제적인 교사 교육의 가치관을 제시함으로써, 현장 중심의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의 방향성 및 그 활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Mod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 정현석;이철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21-433
    • /
    • 2021
  •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성과와 관련된 역량을 교육, 개발하여 조직의 목표와 가치에 부합하는 역량을 습득할 수 있도록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역량기반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분석, 제시하였다. 직업훈련교사의 역량 및 교육훈련에 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및 역량사전을 활용하여 역량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 분석을 거친 후 역량요구분석, 역량별 교육프로그램체계, 역량프로파일과 역량별 훈련모듈을 개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련교사의 체계적인 역량개발을 위해 필요한 역량기반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29-637
    • /
    • 2019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빠른 변화를 교사들이 수용하여 교육에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빠른 변화의 중요한 축이 인공지능에 자리매김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인공지능 교육을 해야 한다. 이런 변화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기본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개발 내용은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인공지능 개념을 이해해야 것이고, 두 번째 단계에는 인공지능 도구를 알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 단계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단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교육한 후에 현장 적용하고 평가하는 방법으로 실제 초등학교 교사 15명을 실험한 결과 초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담당할 교사들에게 유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될 것 이다.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79-202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설계 진행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조선 산학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조선산학 프로그램은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 발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비롯하여 조선산학의 수학적 내용과 학교수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 초등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조선산학의 익숙하지 않은 맥락이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수학 주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조선산학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산학과 학교수학의 연계가능성을 생각해보게 하고 연계 내용의 교수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학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초임 유아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에 대한 의미 (The Meaning of Teaching for Children's Creativity and Teaching Creatively from No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s)

  • 권희경;안효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3-74
    • /
    • 2013
  • 본 연구는 2명의 초임 유아교사들이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이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와 창의적인 교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참여한 초임 유아 교사는 각 각 4년제 유아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교사가 된 지 1년, 2년째 되는 초임 유아 교사들이다. 이들은 기관에서 실행한 창의성에 대한 교사교육을 4주 동안 받은 후,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16주 동안 실행하였다.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함께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논의하고, 각자 반에서 실행을 하고 난 후, 매 주 모여서 함께 평가를 하기도 하고, 때로는 비디오를 보고 자기 평가를 하거나 반성적 저널을 썼다. 본 연구의 자료는 두 명의 교사가 쓴 반성적 저널, 개인 인터뷰, 교육계획안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초임 유아 교사들이 구성한 창의적인 유아는 남과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시도하며, '지금 현재'의 놀이에 몰입하는 유아라고 인식하였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는 교사는 과제 중심의 사고에서 벗어나서 창의적인 융통성을 갖고, 실천하는 교사라고 인식하였다.

현직 중등과학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 (Developmental Study of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박국태;박현주;김경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2-479
    • /
    • 2005
  •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탐구과학능력발달의 전문성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SS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용하고,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교사의 탐구능력발달에 대한 전문성을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과학교사 28명이 SSCS 워크샵과 연수를 통하여 SSCS 모듈을 개발하고, 시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과학 교사들의 탐구능력발달 모듈을 개발, 그리고 적용과 효과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가지의 연구 문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의 탐구능력발달 전문성은 SSCS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기술이 포함되며, 이것은 교사의 SSCS 모델 활용을 위하여 선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 적용의 구체적인 효과는 교사의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동기 유발, 탐구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탐구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 함양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과정이 요구하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상식은 실질적인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교육과정 과학 시간상의 제약 실질적인 학습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다양한 수업 전략의 필요로 인하여 SSCS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에 다소 제한적인 관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