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량 관리 시스템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8초

교량 관리용 DB 시스템

  • 이장화;장인호
    • 전산구조공학
    • /
    • 제3권3호
    • /
    • pp.58-61
    • /
    • 1990
  • 교량유지관리 업무는 교량의 건설(신설), 노후교량의 개축, 교통량 증가에 따른 교량의 확장, 보수를 통한 원상복구, 또한 보수기록의 보관문제, 기존교량의 계속적인 점검 및 조사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문제를 전산화 하는 것은 필요항목들을 특성별로 분류하여 각 항목 등에 대한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교량의 점검 및 조사 등을 통하여 교량의 손상상태를 파악함은 물론 개축, 보수, 확장, 신설 등에 대한 판정 및 그 우선순위를 제시하여 주는 의사결정시스템 개발이다. 본 고에서는 교량관리업무를 전산화하기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교량관리용 DB(DATA BASE)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GIS를 이용한 교량재해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Bridg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안기원;유환희;최윤수;신석효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8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량 안전 관리를 위한 교량재해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진주시에 위치한 교량시설물들에 대한 기본도, 도로망도, 교량위치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도형 레이어 그리고 32개 교량에 관련된 속성자료들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Visual Basic 5.0 Language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교량안전관련 분석기능을 갖는 PC용 교량재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량재해관리시스템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데이터검색, 파일관리, 교량제원의 검색과 관리, 교량관련 도면보기, 교통량조사의 검색과 관리, 교량점검결과와 보수상태의 검색과 관리 그리고 교량 안전등급의 평가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시스템 신뢰성에 기초한 교량의 최적 유지관리 계획 (Optimum Maintenance Strategy of Bridges Based on System Reliability)

  • 양승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통권60호
    • /
    • pp.627-639
    • /
    • 2002
  • 교량의 건설은 여러 국가에서 거의 완료되었으며, 정부나 고속도로 관계기관은 유지관리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량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시스템 신뢰성을 이용한 교량의 잔존수명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시급하다. 그리고 시스템 신뢰성을 이용한 교량의 유지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 신뢰성과 생애함수를 이용하여 예방 (Preventive) 유지관리 와 사후 (Essential) 유지관리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 개발된 유지관리 모델을 이용해서 현존하는 교량에 대해 최적의 유지관리 계획을 구하였다.

무선 센서망을 이용한 교량 관리 시스템 (A Bridge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 박찬흠;김영락;김근덕;박희주;김종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5B호
    • /
    • pp.824-832
    • /
    • 2010
  • 구조물의 관리에서 전문 관리 인력이 직접 조사하는 방식은 예산이나 검사 방법 및 주기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효과적이며 자동화된 구조물의 유지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교량 관리에서 자동화된 관리 방안으로는 몇몇 교량에 유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상시 감시 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있으나 교량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서의 성능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적용한 교량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현한다. 교량에 설치된 센서를 무선망으로 구성하고 수집된 정보의 상시 모니터링을 위해 교량 관리자를 위한 기능과 관리시스템 관리용 기능, 그리고 비전문가용 웹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대상 교량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ICT 융합 지자체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ies Merged Municipal Government Bridge Maintenance System)

  • Yun, Youngm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6-482
    • /
    • 2017
  •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교량에 대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표준안과 정량화된 데이터기반을 통한 예산확보 및 집행의 과학화를 위해 지자체관리용 교량 유지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유지관리하고 있는 소규모 교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며 BIM/GIS기술 등의 ICT융합기술을 사용하였다. 시스템개발의 세부내용으로는 모바일 기기용 소규모 교량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 소규모 교량 유지관리 데이터베이스 개발, 소규모 교량 통합유지관리 개발이며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소규모 교량의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내용을 확인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시스템의 신뢰성을 얻었다. 개발된 프로그램 시스템을 무전원방식의 교량 스마트 명판제작 및 Reader모듈 개발로 연계하였다.

교량 유지관리 업무를 위한 공통 자료모델 (A Common Data Model for Bridge Management and Maintenance Activities)

  • 이지훈;김봉근;이용정;이상호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41-49
    • /
    • 2008
  • 최근 국내 교량이 장대화 됨에 따라 많은 교량관리시스템(BMS)이 자체적으로 개발되어 운용 중에 있다. 그러나 각 시스템 개발자별로 구축한 상이한 데이터체계는 국가차원의 통합 체계를 구축하는데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시 참조할 만한 공통의 자료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법령에 따라 수행되는 교량 유지관리 업무와 기존에 개발된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교량 유지관리 활동을 4가지의 기본 업무형태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기본 업무형태에 따라 필요한 공통의 자료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A Bridge Monitoring System on Web-GIS Linking with UFID and BMS

  • Pyeon, Mu-Wook;Koo, Jee-Hee;Nam, Sang-Gwan;Park, Jae-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21-431
    • /
    • 2006
  •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인력에 의한 수동 계측에 의존한 방법을 대체할 모니터링 방법으로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의 도입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교량관리 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교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기반의 교량관리 GIS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특히, 교량 모니터링 정보와 교량관리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동을 위해 국가공간프레임인 UFID와 현재 건설교통부에서 운용예정인 GIS 기반 교량관리시스템(BMS)과의 연계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하여 교량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조물의 세부위치와 속성을 표현하는 데이터 표현 방식에 대하여 함께 제안하였다.

  • PDF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교량 상태 계측 (Real Time Bridge Condition Monitoring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 채명진;유현석;김정렬;박재우;조문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4-197
    • /
    • 2006
  • 교량의 고성능화, 고효율화 및 센서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최근의 장대교량의 경우 교량에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상태를 실시간으로 교량의 상태를 계측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센서와 데이터 로거를 이용한 계측시스템은 높은 설치비가 요구되며 센서 설치비의 50%이상이 통신케이블에 관련된 비용이다. 본 논문에서는 설치비용 절감과 저렴한 유지관리비용 및 센서의 추가 및 교체가 손쉬운 무선기반의 계측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교량의 부재에 부착되어있는 센서들 사이 근거리 무선통신은 ZigBee를 이용한 무선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교량과 교량관리소 사이의 장거리 통신에는 국내 휴대전화에 사용되고 있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PDF

구조해석에 의한 강상자형교 상시계측시스템 계측항목별 관리기준치 설정 연구 (The Study for Establishing the Criteria of Measurement Items in the Monitoring System for the Steel-Box Girder Bridge by FEM Analysis)

  • 주봉철;박기태;유영준;이진형;황윤국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5-41
    • /
    • 2009
  • 교량 상시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교량을 감지할 경우 지속적인 교량의 거동이력을 확인할 수 있어 손상의 진행을 관리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대규모의 재난상황이 발생할 경우 교량의 상태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교량 통제 및 통행제한 등 적절한 사전 조치 등 취할 수 있다. 또한 보수 및 보강 등의 교량 성능향상 작업시점을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어 생애주기를 통한 교량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교량 상시계측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계측시스템의 계측항목별 관리 기준치 설정방법 중 범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량의 관리기준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강상자형교에 대한 계측항목별 관리기준을 설정하여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통한 강상자형교 상시계측시스템 계측항목별 관리기준치 설정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생애주기분석을 통한 강교량 시스템수준의 유지관리 전략 (System-Level Maintenance Strategy for Steel Bridges based on Life-Cycle Analysis)

  • 박경훈;이상윤;김정호;조효남;공정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59-2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생애주기 성능 및 비용을 고려한 최적 유지관리 전략 수립 기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구성하는 부재수준뿐만 아니라 교량 시스템수준에서도 최적 유지관리 전략의 생성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제 공용중인 강교량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부재 및 시스템 수준의 생애주기분석을 수행하고 각 수준에서 생성된 유지관리전략을 비교 고찰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부재 및 시스템 수준의 유지관리전략을 비교한 결과, 교량을 구성하고 있는 유지관리 대상 모든 부재를 고려한 교량시스템 수준에서의 분석을 통해 유지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며 실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