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구 활용

Search Result 16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 Analysis on the Meaning and Use of Manipulative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초등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의미와 사용 방법 분석)

  • Park, Mango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9 no.1
    • /
    • pp.61-7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meanings and use of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lessons. For the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reviewed related literature and analyzed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meanings and use of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lessons. The participants were 7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ook a teaching practice course at the 1st or the 2nd semester in 2015. These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mathematics lessons for two weeks during the student teaching periods. They were requested to observed the use of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lessons and wrote about their ideas on the meanings and use of manipulatives. Result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perceptions on the meanings and use of manipulatives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s are as follows. Manipulatives in mathematics lessons were self-made or pre-made manufactures. The using time of manipulatives during lessons varies, and the teachers provide the manipulatives with contexts. Providing in-depth observation during a teaching practice course is allowed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reflect thei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classroom.

Analysis on the Status of the Pilot Project to Spread Hands-on Robots in Elementary After-School (초등 방과후학교 교구로봇 시범사업 현황 분석)

  • Kim, Deok-Gwan;Ryuh, Young-Sun;Han, Jeong-Hy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59-262
    • /
    • 2010
  • 지식경제부에서는 학교교육의 다양성 확대를 지원하고 체계적인 로봇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초등학교 68개교를 대상으로 교구로봇과 교사 연수 등 교사의 로봇활용 지원체제를 구축한 후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 방과후학교의 교구로봇 시범교육사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향후 교구로봇 확대사업에 대한 기초 자료 분석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시범교육사업 대상학교의 교육 개설 현황, 교구 및 교재 이용, 교 강사 현황과 학생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 로봇에 대한 관심 증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높은 집중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교재, 교구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재와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교구의 구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수학 교구를 활용한 클럽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도형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e, Chang-U;Son, Suk-Hy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63-176
    • /
    • 2001
  • 대부분의 수학 수업이 알고리즘을 숙달시키고, 기계적으로 익힌 절차에 의해 정답을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학생들은 수학은 딱딱하고 어렵고 재미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수학 수업에서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한다면 수학적인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상과 형식적인 수학으로의 발달을 돕고 학생들이 활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7차 교육과정의 '도형'영역에서는 조작 활동을 통한 자기 학습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 주위의 실제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물을 관찰하여 그 성질을 추상해 낼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구를 이용하는 조작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규 수학 수업이 아닌 일선학교의 클럽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수학 교구를 충분히 조작하고 활용할 시간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수학 교구의 조작 활동을 통한 클럽활동이 학생들의 수학적 성향 및 능력 수준에 따른 도형 학습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 지를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pplyment Selection Standards of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for Elementary SW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선택 기준 개발 및 적용)

  • Lee, Young-jae;Jeon, Hyung-gi;Kim, 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4
    • /
    • pp.437-450
    • /
    • 2017
  • This study derived optimized teaching aids that use the physical computing method as the solution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level. We set standard for selecting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in elementary-level by gathering the opinion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ink tanks and then applied the standard to some aids and choose one. We also made lesson plan and tried it to the experimental group. Subsequently, students' logical thinking skil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the t-test. Also,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t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logical thinking skills. Additionally, survey of satisfaction evaluation from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teaching aid selection standard was effective in selecting suitable teaching aid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at the classroom activities utilizing physical computing teaching aids were at a suitable level for elementary students.

A analysis ICT materials standard for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CT curricurum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재 및 교구 실태 분석)

  • Do, Young-Moon;Kim, Hong-R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529-538
    • /
    • 2004
  • 1997년부터 시작된 1단계 교육정보화 종합계획에서부터 1999년 '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을 위한 물적 인프라 구축에 힘써왔다. 이렇게 정보통신기술교육을 위한 물적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어 있다고 하는 시기에 중요하게 점검해보아야 하는 것이 바로 교육정보화의 내용, 즉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이다. 본 연구자는 국가표준의 학생ICT활용능력기준(ISSS)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여 현재 강원도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을 위한 인정도서의 내용이 ISSS에서 제안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맞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본 후, ISSS에서 제안하고 있는 상세화된 교육과정을 충실히 운영해 나가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교재 및 교구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위 학교에서 이러한 교재 및 교구 기준 안이 필요한지와 구비되어 있는 수줄과 수요를 설문지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을 위한 교재 및 교구 기준을 마련하는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Using Educational Aids for Improving Mathematical Understanding (수학 이해력 증진을 위한 교구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Nam, Seung-In;Kwon, Min-S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0 no.2
    • /
    • pp.125-1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seeks entry into a method to make the use of educational aids popular. To achieve it, it is observed that instructions applying worksheets to make an activation of use of educational aids have influence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All variables exception with the frequence of use of educational aids are controlled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thematical achievement in pre t-test between two groups, while experimental group get 10 points higher than comparative group in average (t=0.519, p<0.01). On the other hand, within intra-experimental group the influences of use of educational aid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is positive without the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The difference dependent on the levels of student is sought by ANCOVA using prescores as a covariance, and it appears in the significance level of 5%(F=4.885, p<0.05), and the effect is more in the lower level of students than in the middle and high level.

  • PDF

A Study on the Short-circuit Protection System for Learning Teaching Instruction Using Incandescent Light Bulb (백열전구를 이용한 학습 교구용 단락보호장치에 대한 고찰)

  • Hong-yong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4
    • /
    • pp.844-850
    • /
    • 2023
  • Purpose: This paper is about the development of a short-circuit protection power supply device using incandescent bulbs and its application for educational materials. This article, which considers electrical safety and energy conservation at the same time, has many kinds of potential applications for both educational and industrial areas. The above mentioned short-circuit protection power supply device using incandescent bulbs enhances safety and efficiency compared to normal current power supply devices. Additionally, as an educational materials, it can be used for electric safety training, and provides practical electrical safety knowledge on our actual life. Method: Using incandescent bulbs, design new type of short-circuit protection power supply device, and through verifying the function and safety of the device, make new type device, and applying it for an educational tool. Conclusion: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ype of power supply device, and verify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for the device as a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is research, show an innovative solution, which contribute to electrical safety and energy conservation, and open the potential possibility on educational and industrial sectors.This kind of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s to enhanced research, and education on electrical safety and energy conservation management.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3D프린터를 활용한 교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적 연구)

  • Yi, Seung-Hoon;Joo, Kyo 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5
    • /
    • pp.113-1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on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using 3D pri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use of the 3D printer-base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gram resulted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4 low rank factor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is research shows that direct experience in developing teaching material using 3D printers is very effective to improv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instructional design ability, and they need the practice of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 using the latest technology for teaching students with various needs.

An Exploratory Study on Educational instruments of Physical Computing for Maker Education (메이커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 Lee, Chang Youn;Ahn, Jae-Hyun;Seo, Tae-Ky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1a
    • /
    • pp.157-160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함께, 4차 산업 혁명에 관한 사회적 논의가 이슈화됨에 따라 교육 학계도 변화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식기반 사회에서 컴퓨터 활용 역량이 강조되면서, 코딩/소프트웨어 교육 등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이 교과목과 관계없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오픈소스를 만드는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생겨나면서부터, 그들을 메이커라 지칭하고 메이커를 양성하기 위한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학계에서도 이 운동을 수용하려고 시도하였으나,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과 구분되는 특성을 명백하게 보여주지 못했다.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의 시론적 연구로서, 이재호와 장준형(2017)이 제안한 메이킹 역량을 중심으로 이를 키워줄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조사하였고, 동시에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초기에 제안된 교구의 활용방안은 현장 교사 3인의 전문가 검토를 받았으며, 그들이 제공한 조언을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보완된 활용방안은 메이킹 역량을 구성하는 분석역량, 설계역량, 구현역량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메이커 교육의 이론적 발전과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Recent progress in astronomy education in Makerspace situation

  • Kim, Yonggi;Kim, Hyoungbu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2-73.2
    • /
    • 2021
  • 본 연구는 지능정보기술을 천문교육에 활용하여 어떻게 천문교육에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3D프린터, 레이저커팅기, 빅데이터, 인공지능, 드론 등 지능정보기술을 확보한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에서 이들 기술을 활용하여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보는 일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핵심역량을 함양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21년 8월에 중기부 사업으로 선정된 충북대 Pro 메이커스 센터를 중심으로 메이커스페이스 환경에서 다양한 천문교구 개발 및 개발된 천문교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형식교육의 현장 뿐만 아니라 비형식 교육의 현장에 다양하게 적용될 계획이다. 이에 향후 메이커스페이스 환경에서 대중천문프로그램이 어떻게 발전될 것인가에 대한 견해 및 토론도 발표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