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과 내용 지식

Search Result 57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re Curriculum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 based 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 Shin, Soo-bum;Han, Gyu-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2
    • /
    • pp.229-235
    • /
    • 2019
  •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that can run K12 school SW education is raise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e standard of SW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domestic. In this study,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based on four kinds of contents knowledge. Domestic cases were found to be concentrated on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domestic and abroad, we presented the content of SW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of teaching contents for preliminary teachers. The main contents are all four areas, and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SW subject education experts are asked for the feasibility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the validity and consensus exceeded the standard, the CVR value for the student management field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지상(紙上)블로그 - 협동수업에 대한 도전

  • Song, Gi-Ho
    • KLA journal
    • /
    • v.52 no.8
    • /
    • pp.32-35
    • /
    • 2011
  • 학교 교육과정에서 도서관 교육은 학습 내용과 학습 방법 측면에서 방법적 지식과 사고 능력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즉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범교과적 학습 능력으로서의 위상을 갖는다. 문제는 이러한 성격이 교과 교육 과정은 물론 학생 일상생활과의 부단한 연계를 통해서 구현된다는 점이다. 즉 학교도서관 교육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교 공동체 내에 학교 도서관 중심의 교육 공동체 구성이 필요하다. 학교도서관 정보화와 순회 사서를 포함한 비정규직 자원 봉사자 확산, 다양한 형태의 업무 대행 서비스 그리고 담당교사의 도서관 운영 연수 확대 속에서 자료 조직과 운영의 일부분은 영역 보편성을 띤지 오래되었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중심의 교육 공동체 구성은 도서관 활용수업으로 대표되는 교과의 자원기반학습과의 연계성에 기반을 두고 발전하는 추세이다. 본고에서는 필자가 개발 책임자로 참여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와 대구광역시교육청이 공동으로 일선 학교에 보급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용 장학 자료집의 주요 내용과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1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Domain about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제 7차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 내용 분석)

  • Yi, Sang-Bong;Yan, Jin-Su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7 no.1
    • /
    • pp.43-6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ergy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Domain about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 was used for the content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systems 'input' and 'process' in contents of the textbooks was represented frequently. However, the 'output', the main contents in transportation technology, was not represented. Second, components of the knowledge, materials, energy and Capital are included in Inputs system. The highest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energy and materials were showed. Third, the frequency of the Productive Processes that showed the most. The highest frequency and intensity of Transporting/Moving in Productive Processes were showed. The rest of systems that require the ratio of the intensity values do not meet.

Functions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지식정보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의 역할)

  • Choi Hyeoung-Jung;Lee S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829-832
    • /
    • 2006
  •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컴퓨터는 교육에 있어서 교육 내용으로써 뿐만 아니라 교육적 활용의 측면으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학교 환경에서 컴퓨터를 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정보통신기술교육이 강조되면서 이와 인식을 같이 하는 컴퓨터교육의 필요성도 강조되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중 고등학교 일반 교과에서의 컴퓨터 교육은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컴퓨터의 도구적 활용을 상대적으로 강조하게 되어 있어 교과로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컴퓨터 교육의 정체성 확립과 급격한 변화속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지 못한 채 그 활용만을 위주로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교과로서 컴퓨터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컴퓨터교과에 대한 개념,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모색하였다.

  • PDF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 내용에 대한 질적 연구

  • An, Yu-Min;Choe, Seung-Eon;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69-275
    • /
    • 2005
  • 중등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변인은 교사이며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개발은 교육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서 확보되어야 하며 교과 내용 지식의 확보가 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심층면담에서 드러나는 초임 교사의 내용 지식(knowledge), 실천 행위(practice), 의미 이해 전략(sense-making strategy)을 분석하여 교사의 과학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여섯 명의 중등 초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각각 두 차례의 수업 관찰과 구조화된 면담, 한 차례의 우선순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미시건 주립대학의 Knowles팀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교사상에 따라 과학 교수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전공 교과의 과학 내용 지식에 대해서는 다소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의존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방법에 크게 의존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수준의 개념을 중심으로 나열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다만, 교사가 스스로 재구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러티브로 이끌어가려는 시도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요한 과학적 개념을 강조하고 그러한 개념을 반복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초임 교사의 사례에서는 적절한 비유와 예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편, 연구에 참여한 초임 교사들은 모두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직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

  • PDF

An Analysis of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2009 개정 초등수학 1학년 교과서상의 STEAM 관련교과 내용 분석)

  • Kim, Hae Gyu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7 no.3
    • /
    • pp.277-297
    • /
    • 2014
  • In this study, we analyzed what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except mathematical knowledge, are contained in 2009 revised elementary first grade mathematics textbooks.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examined by unit and by strand of the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 and the type of STEAM-related subject conten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nit and the strand of the mathematics content. Generally speaking, in each unit and in each strand of mathematics, storytelling liberal arts-related contents are seen the most, followed by non-storytelling liberal arts-related contents and physical education contents in order, while the number of musical contents was very small. So we need to develop different STEAM materials in order to activate STEAM education in our elementary math classrooms.

Content Analysis of the Mesozoic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in Earth Science II Textbooks: Focusing on Consistency within and among Textbooks, and with Scientific Knowledge (지구과학II 교과서의 한반도 중생대 지질 내용 분석: 교과서 내·교과서 간·과학 지식과의 일치 여부를 중심으로)

  • Jung, Chanmi;Yu, Eun-Jeong;Park, Ky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3 no.2
    • /
    • pp.324-347
    • /
    • 2022
  • Geological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it provides a basic knowledge foundation for public use and create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nature of geology as a historical science. In particular, the Mesozoic Era, when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ed a high degree of tectonic activity, is a pivotal period for understanding the geological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content regarding the geology of the Mesozoic Era are reliably and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section of Earth Science II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ur textbooks for Earth Science II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edimentary strata, tectonic movement, and granites of the Mesozoic Era. The analysis items were terms, periods, and rock distribution areas. The consistency within and among textbooks and of textbooks and scientific knowledge was analyzed for each analysis item. Various inconsistencies were found regarding the geological terms, periods, and rock distribution areas of the Mesozoic Er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inconsistenci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latest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communities.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ers: The Case of Earth Science Teachers' Lesson on Atmospheric Pressure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 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3 no.6
    • /
    • pp.1219-123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for science teachers. To this end, a total of 26 secondary Earth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concept diagnostic questionnaire and a lesson planning task of atmospheric pressure were devised to give an indication of participating teachers' SMK and PCK,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teachers showed a variety of SMK levels about atmospheric pressure. Second, teachers at high level of SMK focused on 'supplementary' and 'fundamental' curriculum contents for in-depth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teachers at low level of SMK, on the contrary, stressed 'applicative' curriculum contents. Third, teachers at high level of SMK grasped students'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atmospheric pressure far more concretely than teachers at low level of SMK. Lastly, teachers at high level of SMK showed a tendency to use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strategy by utilizing students' prior knowledge, but teachers at low level of SMK were inclined toward teacher-directed concept explanation. Based on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ere also discussed.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구성체계 및 학습목표 분석)

  • Kang, Oh-Ha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3
    • /
    • pp.9-15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at were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tent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textbooks. Learning objectives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Anderson'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rough content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the textbooks were composed of activities, differentiated learning, and small group learning to promote core competencies. The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f the textbooks showed that 'understanding' (41%), 'developing' (20%), and 'applying' (18%) were the three highest criteria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es; in terms of type of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ccounts for the highest(45%), followed by procedural (32%), and factual (12%). Further methods to improve the textbook quality is propos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