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 결합기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For Implementation of Real Time Optical Network Optimization and Application of Vertical Asymmetric Polymer-Optical Coupler (실시간 광전송망 구현을 위한 수직형 비대칭 폴리머 광 결합기의 최적화 및 응용)

  • 이소영;권재영;이종훈;김영조;신미경;김상호;송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40-141
    • /
    • 2000
  • 집적광학 회로의 구성요소 중 광 결합기는 파장에 따른 채널간 결합기로써 WDM은 물론 광 스위칭 소자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더우기 수직형의 구조를 갖는 광결합기가 새로이 제안되면서 결합 길이를 줄여 전체 소자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고집적화는 물론, 도파로를 진행하는 동안 겪게되는 도파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 또한 활발하다. 그러나 이들 수직형 광결합기는 결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 상 하부 도파로의 구조가 동일한 대칭형으로 제작됨에 따라, 이들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한 공정을 갖게된다. 또한 이러한 공정의 복잡성과 두 도파로의 대칭성을 위한 반복작업은 오히려 제작공정의 불완전함으로 인하여 이론상의 이상적 결합에 비하여 효율이나 성능 면에서 상당한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최근 연구되고있는 대부분의 폴리머를 이용한 광 결합기 역시 대칭형 구조를 가지며 $O_2$ RIE(Reactive ion etching) 건식 식각법으로 제작된다.$^{[1]}$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the Optimized Input Angle in Taper Region of the Directional Coupler (방향성 결합기의 최적 입사각 특성)

  • 최철현;오범환;이승걸;박세근;이일항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218-219
    • /
    • 2003
  • 광결합 현상은 근접한 도파로에서 발생하며 각 도파로의 에너지를 다른 도파로로 전이시킨다. 이러한 특성은 광스위치, 광변조기, 광필터 및 광결합/분리기에 널리 사용된다. 이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소자중 하나가 방향성 결합기이며 크게 입력부, 접근부, 결합부로 나눌 수 있다. 이때 광결합 현상은 결합부뿐만 아니라 접근부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소멸비는 나빠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부의 입사각에 따른 소멸비 변화와 이에 대한 조건을 분석하였다. (중략)

  • PDF

광통신용 $Ti:LiNbO_3$외부 광변조기/스위치 설계

  • 김창민;정석원
    • 전기의세계
    • /
    • v.44 no.9
    • /
    • pp.28-37
    • /
    • 1995
  • 외부 광스위치/변조기로는 차단형(cut-off type)[1], 균일 방향성 결합기(uniform directional coupler)[2-4], Mach-Zehnder 간섭계(Mach-Zehnder interferometer)[5-7], 교번 .DELTA..betha. 방향성 결합기(alternation directional coupler)[8-9], 교차 결합기(crossed coupler[10-11], Y-분기 방향성 결합기(Y-branch directional coupler)[12-14] 등의 여러가지가 연구되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열거한 여러 가지 광변조기를 해석, 설계하는데 기본이 되는 광결합 이론으로 normal mode 이론과 coupled mode 이론을 소개한다. 아울러 이러한 이론들을 이용하여 전술한 변조기 중 균일 방향성 결합기, Y-분기 방향성 결합기, Mach-Zehnder 간섭계의 광스위칭/변조 원리를 살펴본다.

  • PDF

h Study on the polarization independent vertical directional couplers with high Extinction Ratios (편광에 무관하고 매우 높은 소멸비를 가지는 수직 방향성 결합기에 관한 연구)

  • 정병민;김상택;김부균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84-185
    • /
    • 2002
  • 고속의 광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광 스위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대용량의 광 스위칭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스위치는 작은 크기, 작은 손실, 높은 소멸비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편광에 따른 성능의 변화가 작아야한다. 최근 융합 수직 방향성 결합기(Fused Vertical Coupler, FVC)의 연구를 통하여 매우 짧은 소자 길이를 가지며 매우 높은 소멸비를 얻을 수 있는 수직 방향성 결합기 스위치가 제안되었다. (중략)

  • PDF

A Simple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Monitoring Technique for OADM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이용한 광 분기 결합기의 광신호 대 잡음비 측정방법)

  • Youn, Ji-Wook;Park, Heuk;Kim, Kwang-J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10
    • /
    • pp.43-47
    • /
    • 2002
  • A simple optical signal to noise ratio monitoring method using fiber Bragg grating is proposed for monitoring performance of OADM. OSNR of each channel is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optical power transmitted and reflected from fiber Bragg gratings, simultaneously. We have obtained OSNR with accuracy better than 0.8㏈ compared with OSA of 0.1nm optical resolution in the wide input power range between -6 ㏈m and -23㏈m per channel.

Analysis of Coupled Mode Theory for Design of Coupler Between Optical Fiber And Grating Assisted Waveguide (광섬유와 격자구조 도파로 결합기 설계를 위한 결합 모드 이론 분석)

  • Heo, Hyung-Jun;Kim, Sa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2 no.4
    • /
    • pp.561-568
    • /
    • 2017
  •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CWDM) technology in optical integrated devices, a design of a wavelength selective coupler structure between an optical fiber and an optical waveguide in a flat substrate is can be considered.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coupling between a silicon waveguide with an air trench and a single mode fiber. We investigated the tendency of coupling efficiency and its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grating depth.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efficiency of coupler structure designed through modeling based on coupled mode theory is predicted and quantitatively compared with simulation result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Fabrication a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n (18+1)×1 Polarization-maintaining Pump and Signal Combiner for a High-power Fiber Laser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용 (18+1)×1 편광유지 펌프 및 신호광 결합기 제작 및 출력 특성)

  • Lee, Sung Hun;Kim, Ki Hyuck;Yang, Hwan Seok;Cho, Seung Yong;Kim, Seon Ju;Park, Min Kyu;Lee, Jung Hw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0 no.5
    • /
    • pp.187-192
    • /
    • 2019
  • In this paper a pump combiner, a key component of a high-power fiber laser, was fabricated, and its output characteristics measured using a high-power performance measuring instrument. The $(18+1){\times}1$ pump combiner consists of an optical-fiber bundle of one signal fiber and 18 pump fibers, an output optical fiber, and housing. The signal and output fibers were fabricated using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By measuring the loss of signal light along the tapering length of the optical-fiber bundle, the tapering length was optimized to 18 mm. Signal-light insertion loss, pump-light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of the fabricated $(18+1){\times}1$ pump combiner were measured as 6.5%, 98.07%, and 18.0 dB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ump combiner, at a high power of 2 kW using 18 pump laser diodes,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a thermal-imaging camera.

Design of Optical Multimode Interference Couplers with Ultracompact Propagating Width (초소형 전송폭을 갖는 광 다중모드 간섭결합기의 설계)

  • Ho, Kwang-Chu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1
    • /
    • pp.47-52
    • /
    • 2011
  • In this paper, to evaluate the design properties of 3D optical multimode interference (MMI) couplers with ultracompact width, modal transmission line theory and effective dielectric method are combined with together. A coupling efficiency based on the composed approach is defined, and the coupling length is numerically determined for the design of 3 dB coupler, cross coupler and bar coupler. Th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the designed MMI coupler has a low insertion loss and a high splitting ratio.

A Study on the Liquid-level Sensors Using Splitting Ratio of Fiber-optic Directional Couplers (광섬유형 방향성 결합기의 광 분배비를 이용한 수위 센서 연구)

  • Sohn, Kyung-Rak;Key, Kwang-Hy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6
    • /
    • pp.846-851
    • /
    • 2010
  • A liquid-air interface sensing system using the flat end surfaces of a fused-silica fiber coupler has been demonstrated. The principle is based on the additional optical loss caused by chang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external material at the boundary of the end face made of a fiber. The immersion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splitting ratios of the coupler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when it responses to water and air. These experimental data are very useful for selecting the coupling ratio of a coupler in order to develop a multiple sensing probe system. In the proposed sensor structure, it can be emphasize that the sensing probe can be appropriately arrayed on the basis of splitting ratio of the coupler.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liquid-air interface sensors can also be applied to monitor flooding that occurs in multiple areas at the same time.

Fabrication of a Fiber-to-Planar Waveguide Coupler and Its Applications (파장가변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기 제작과 그 응용)

  • 김광택;허상휴;이점식;송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38-139
    • /
    • 2000
  •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기는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그 위에 올려진 평면도파로 사이의 소산장 결합(evanescent field coupling)를 이용하는 소자이다. 이 결합기는 기본적으로 파장선택성과 편광선택성을 있고, 삽입손실이 매우 작고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여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평면도파로의 재료로 반도체, 크리스탈, 액정크리스탈, 폴리머등 다양한 물질이 이용될 수 있어 광통신뿐만 아니라 광 센서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왔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