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화학적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5초

비수용액에서 가벼운 란탄족 이온의 전기화학적 거동, 흐름 주입법에 의한 정량 및 중금속 이온의 킬레이트형 8-배위 착물의 광화학적 특성 연구 (제 2 보) : 계면활성제 존재하에서 Chromeazurol S를 사용하여 몇 가지 란탄이온의 흐름주입법에 의한 정량 (Studies on Electrochemical Behavior of Some Light Lanthanide Ions in Nonaqueous Solution, Flow Injection Determination and Phot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Ion Chelate Eight Coordinated Complexes. (Part 2))

  • 강삼우;장주환;김일광;한홍석;조광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0-54
    • /
    • 1994
  • 흐름주입법에 의하여 분광광도법으로 몇 가지 가벼운 란탄족 원소를 정량하였다. Chromeazurol S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TAB존재하에서 란탄족 이온과 착물을 형성한다. Tris 완충용액(pH 10.5)에서 이 착물의 최대흡수파장은 650 nm 에서 655 nm범위이고 몰흡광계수는 약 $1.8{\times}10^5\;L mol^{-1}cm^{-1}$였다. FIA에 의한 Nd(III), Eu(III) 및 Sm(III)의 검정곡선은 0.1 ~ 0.6 ppm에서 직선관계를 보였고, 이 검정곡선의 상관계수(${\gamma}$)는 0.9993이였다. 검출한계(S/N)는 Nd(III)과 Eu(III)에 대하여는 10 ppb이고, Sm(III)에 대하여는 20 ppb였다. 상대표준편차는 시료 0.4 ppm에 대하여 약 ${\pm}$1.2%이고, 시료의 분석 속도는 약 $50hr^{-1}$였다.

  • PDF

The Stud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SOD-mimic Compounds in Panax ginseng C.A.Meyer

  • / 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8-193
    • /
    • 1997
  • 고려인삼 1년근에서 5년근을 전기영동하였고 SOD 활성에 대한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13개의 구분되어지는 무색의 밴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밴드의 패턴은 1년근에서 5년근이 모두 동일 하였다. 이들 효소 중의 9개는 시아나이드 처리나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밴드가 제거되었고 클로로포름과 에탄올처리에 대해서는 안정했다. 이들 효소들은 CuZnSOD 효소들이다. 반면에 4개의 밴드는 시아나이드처리나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안정하고 클로로포름과 에탄올 처리에 의해서는 제거되었다. 그러므로 이들은 MnSOD 효소들이다. 인삼 1년근에서 5년근까지 SOD 활성의 비교를 광화학적 에세이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들 SOD 활성 측정의 결과에서 년수에 따른 SOD 활성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보여지지 않았다. 모든 인삼 추출물의 총 SOD 활성은 대략 700-800units/g of fresh weight 이었다. 그러나 SOD 효소에 의해 SOD 활성은 대략 200-250 units/g of fresh weight 이었다. 그러므로 SOD 활성 유사 물질에 의해 활성이 SOD 효소에 의한 활성보다 높다. SOD 활성 유사 물질과 SOD 효소에 의한 활성의 비는 대략 2:1에서 3:1이다.

  • PDF

겨울철 자연환경에 노출된 문주란 잎의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of Crinum Leaves Exposed to Natural Environmental Stress in Winter)

  • 오순자;고석찬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233-241
    • /
    • 2004
  • 겨울철 저온에 의한 식물의 반응 및 생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찬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O-J-I-P곡선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에 J, I, P-단계에서의 형광세기가 현저하게 간소하였다. 문주란 잎의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 즉 Fv/Fm은 겨울철의 온도변화 추이와 유사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어 겨울철 저온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겨울철에 superoxide dismutase, ascorbate peroxidase, peroxidase 활성 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catalase 활성은 여름철에 비하여 크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겨울철의 Fv/Fm의 감소와 함께 문주란이 겨울철 저온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처해 있게되며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광화학적 방법을 통한 InP계 양자점 표면결함 부동태화 연구 (Study on Surface-defect Passivation of InP System Quantum Dots by Photochemical Method)

  • 김도연;박현수;조혜미;김범성;김우병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89-493
    • /
    • 2017
  • In this study, the surface passivation process for InP-based quantum dots (QDs) is investigated. Surface coating is performed with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nd thioglycolic acid. The quantum yield (QY) of a PMMA-coated sample slightly increases by approximately 1.3% relative to that of the as-synthesized InP/ZnS QDs. The QYs of the uncoated and PMMA-coated samples drastically decrease after 16 days because of the high defect state density of the InP-based QDs. PMMA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fect passivation. Thioglycolic acid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effective surface passivation of InP-based QDs. Surface passivation with thioglycol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that with the PMMA coating, and the QY increases from 1.7% to 11.3%. Z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P QDs and S in thioglycolic acid show strong bonding property. Additionally, the QY is further increased up to 21.0% by the photochemical reaction. Electron-hole pairs are formed by light irradiation and lead to strong bonding between the inorganic and thioglycolic acid sulfur. The surface of the InP core QDs, which does not emit light, is passivated by the irradiated light and emits green light after the photochemical reaction.

북한 압동 니오븀-탄탈륨(Nb-Ta) 광산의 지질 및 광상 (Geology and Ore Deposit of the Apdong Nb-Ta Mine, North Korea)

  • 이재호;김유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07-413
    • /
    • 2003
  • 알칼리 교대암내에 배태되는 압동 Nb-Ta 광상의 지질은 상부원생대의 퇴적암류와 이를 관입분포하는 고생대 후기에서 중생대 초기의 평강암군에 속하는 호암산 관입암체(알칼리 섬장암류),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 및 제4기의 현무암으로 구성된다. 알칼리 섬장암류는 각섬석-휘석 섬장암, 각섬석-흑운모 섬장암, 흑운-하석 섬장암, 흑운모 섬장암 및 석영-각섬석-휘석 섬장암 등을 포함한다. 후기 마그마 단계에서 수반되는 알칼리 교대작용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교대암은 호암산 관입암체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띠모양이나 불규칙한 맥상 및 렌즈상으로 Nb-Ta 광체를 이루고 있다. 산출되는 광석광물은 파이로크롤과 저어콘을 비롯하여 극소량의 콜럼바이트, 퍼규소나이트, 자철석, 형석, 휘수 연석, 티탄철석, 티타나이트, 인회석 및 모나자이트 등 이다. Nb, Ta, 희토류 및 방사성 원소(Th, U)를 함유하는 파이로크롤은 (1) 부화된 Ta, U 및 Ce, (2) 낮은 함량의 Ta 및 F (3) Th 또는 Ba의 부화 등으로 특징된다. 지화학적 특징과 광석의 구조 및 광물의 산출 특성으로 미루어 광화작용이 알칼리성 광화유체의 교대작용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인삼엽요병에서 효소활성도의 변화 (Study on the Enzyme Activity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2-97
    • /
    • 1989
  • 인삼엽을 강광(100 KLuw) 및 고온($45^{\circ}C$, 암상태)에 처리하여 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catalas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구에서 공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특기 강광에서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활성도 감소는 효소의 thermal stabilities나 coagulation 등과 같은 광에 의한 2차적인 엽온상승 효과에 따른 inactivation이 아니며, proteolytic activity 증가로 인한 효소단백질의 함량감소로 확인되었다. 인삼엽에서 proteolytic activity가 강광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엽(normal leaf)에 inactive 상태로 내재(compartmentation)되어 있는 proteinase가 타 식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lorphyll bleaching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superoxide radical(${O_2}^{-}$)의 광화학적 생성율이 비교식물(Solanum nigrum)보다 높게 나타나고 crude saponin이 superoxide의 생성율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superoxide에 의한 pigment system의 광산화율이 타 식물에 비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otochemical Modulation of Bragg-Reflection Wavelengths in Cholesteric Liquid Crystals Containing a Chiral Azobenzene

  • Lee, Hyoung-Kwan;Goo, Chul-Whoi;Tomiki Ikeda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54
    • /
    • 2000
  • 가시광을 선택적으로 반사하는 광 응답성 코레스테릭 액정을 조제하고, 그 선택적 반사파장의 광화학적 변조를 시도함으로서 포토닉스(Photonices)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했다. 고유의 선택 반사파장의 변조는 아조벤젠 유도체의 트란스(trans)·시스(cis)간의 광이성화에 의해 상전이 온도와 칼라의 변화와 함께 가역적으로 제어되어질 수 있었다. 또한 선택 반사파장의 변화에 수반되는 반사율의 변화는 코레스테릭 액정과 검출광의 광학적 성질에 의해 크게 좌우되어 지고, 반사율의 가역적인 스위칭에 있어서는 검출광에 대한 코레스테릭 액정의 초기 반사파장의 위치는 상반된 스위칭 모드(normal and reverse modes)를 산출하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PDF

폴리우레탄 표면의 광화학적 공유결합을 이용한 새로운 LK 고정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novel method with photochemical reaction for LK immobilization on the polyurethane surface)

  • 김현정;;심재희;유규하;김종원;;민병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6
    • /
    • 1996
  • 광반응을 이용하여 fibrinolytic 활성을 보이는 LK (lumbrokinase)를 생체재료인 PU (polyurethane) 표면에 고정화하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PU표면에 amino 작용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side chain 작용기로 phenylazide 와 amino작용기를 갖는 AzPhPAL을 이용하였으며 광반응은 266nm 이상의 UV light을 약 1분간 조사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LK를 amino작용기가 유도된 PU 표면에 공유결합시키기 위하여 amide결합 형성시 사용되는 수용성 carbodiimide인 EDC를 이용하였다. ESCA측정시, AzPhPAL으로 공유결합시킨 경우 반응하지 않은 PU표면에 비하여 N/C가 0.1717로, LK 고정시 S/C가 0.0043로 증가된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AzPhPAL과 LK가 PU표면에 공유결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atic contact angle 측정으로 표면개질된 PU표면이 소수성에서 친수성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공유결합된 LK의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fibrin plate test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고정화된 후에도 LK의 활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auna Loa (Hawaii)에서 관측된 대기질 특성의 통계적 분석 (The Statistical Identification of Airmass Characteristics during the Manna Loa Observatory Photochemistry Experiment)

  • Lee, Gang-Woong;Barry J. Huebert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10권E호
    • /
    • pp.332-342
    • /
    • 1994
  • 40가지 이상의 대기중 화학성분과 기상조건이 1988년 5월과 6월 사이의 MLOPEX기간 동안 동시 측정되었다. MLOPEX의 기본 목표는 인간의 직접적 오염을 받지 않는 청정 대류권(free tropo-sphere)에 위치한 Mauna Loa(Hawaii) 관측소에서 대기중 여러 화학 물질들의 배경 농도들을 파악하고 그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며, 그 결과를 광화학적 모델에 적응하여 모델의 적합성과 보완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예상과는 달리 청정 대류권내에서도 상당히 복잡하고 다양한 농도의 변화를 보여 모델에 적용시킬 배경농도를 단순히 평균값으로 결정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cluster와 factor 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MLOPEX 기간동안 관측소에 나타난 기단(airmass)의 특성을 분류하고, 그 중 청정대기를 대표할 수 있는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cluster 분석방법은 13가지 분석변수(variable)들을 크게 3가지의 그룹; (1)상대적으로 깨끗하고 오래된 공기를 대표하는 변수들 (2)인위적인 오염을 지시하는 변수들 (3)주위 해양과 화산의 영향을 나타내는 변수들로 분리하였다. 또 factor분석에 의해서는 (1)화산 영향 대기 (2)성층권 대기 (3)오염된 대기경계층 공기(boundary-lay-er air) (4)광화학적 연무(haze) (5)해양성 대기경계층 공기 (6)해양성 청정공기들로 분류되었다. 이 결과를 가지고 계산한 Mauna Loa 관측소의 청정공기 배경농도와 조건값들은 다음과 같다. : $O_3$(41$\pm$10ppbv), HN $O_3$(94 $\pm$ 45pptv), N $O_3$$^{-}$(16 $\pm$ 10pptv), S $O_4$= (60 $\pm$ 0pptv), N $H_4$$^{+}$ (71 $\pm$ 6pptv), $Na^{+}$(5 $\pm$ 1pptv), PAN(13 $\pm$9pptv), MeN $O_3$(methyl nitrate, 3.5 $\pm$ 1.5pptv), 2- butyl N $O_3$(0.6$\pm$0.1pptv), $H_2O$$_2$(1015$\pm$44pptv), $C_2$C $l_4$(3.3$\pm$0.1pptv), 응결핵(249$\pm$13$cm^{-3}$), 이슬점온도(-8.5 $\pm$ 5.3$^{\circ}C$).

  • PDF

시설상추 생산체계에 대한 top-down 방식 전과정평가 (LCA on Lettuce Cropping System by Top-down Method in Protected Cultivation)

  • 유종희;김계훈;소규호;이길재;김건엽;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85-1194
    • /
    • 2011
  • 시설재배 상추생산체계에 대한 LCI DB를 구축하고 상추의 탄소성적산정과 전과정 영향평가를 위하여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상추재배에 관련된 농작업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 GTG 목록작성결과 시설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가 각각 $7.85E-01kg\;kg^{-1}\;lettuce$, $4.42E-02kg\;kg^{-1}\;lettuce$로 비료의 투입량이 가장 높았다. 비료와 에너지의 투입이 시설상추 생산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물질이었다. 영농단계에서 발생하는 직접 대기배출물 $CO_2$, $CH_4$, $N_2O$ 배출량의 합은 $3.23E-02kg\;kg^{-1}\;lettuce$이었다. 시설 상추 1 kg을 생산 전과정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LCI 분석한 결과 시설상추 생산체계 전과정을 통하여 상추 1kg 생산에 발생하는 온난화 가스는 $CO_2$$8.65E-01kg\;CO_2\;kg^{-1}$로 가장 많았고, $CH_4$$N_2O$가 각각 $8.59E-03kg\;CH_4\;kg^{-1}$, $2.90E-04kg\;N_2O\;kg^{-1}$이었다.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공정은 비료생산으로 나타났고, 특히 아산화질소 발생에서 상추재배단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질소 비료 시용에 의한 아산화질소의 대기배출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각 온난화 가스들의 발생량을 $CO_2$-eq.로 환산하여 시설 상추 생산체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탄소 성적값으로 산정하였다. 시설상추 생산체계의 탄소 성적값은 1.14E+00 kg $CO_2$-eq. $kg^{-1}$였다. $CO_2$-eq.로 환산된 탄소 성적에 $CO_2$는 발생 비중이 총 온실가스 배출량에 약 76%, $CH_4$는 16%, $N_2O$는 8%를 차지하였다. LCI 분석결과 영농작업 단계에서 배출되는 온난화 가스의 주요원인은 농기계사용으로 인한 화석연료의 연소 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와 질소비료 시용에 기인한 아산화질소의 대기 발생이었다. 전과정 영향평가 영향범주 중 포장에서 배출되는 $CO_2$, $CH_4$, $N_2O$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영향범주는 지구온난화 영향범주와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범주 이며, 평가결과 지구온난화 영향범주의 특성화 값은 1.14E+00 kg $CO_2$-eq. $kg^{-1}$이었고, 광화학적 산화물 생성 범주 특성화 값은 9.45E-05 kg $C_2H_4$-eq. $kg^{-1}$이었다. 대부분 영향범주에서 비료생산에 의한 환경영향 기여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농자재생산 공정과 에너지생산 공정이 환경영향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