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학직경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천문우주용 정밀 광학거울 제작 기술

  • Yang, Ho-Sun
    • The Optical Journal
    • /
    • s.112
    • /
    • pp.25-27
    • /
    • 2007
  • 국내에는 약 100여 군데의 광학렌즈의 및 거울 가공관련 업체가 있으나 대부분 직경 1 인치 이내의 소형광학계 생산을 주로 하고 있고 면 형태 역시 구면이 대부분이다. 최근 휴대폰카메라등에 비구면 사용이 늘었으나 대부분 다이아몬드터닝 머신 등을 이용한 정밀 가공수준에서 머무르기 때문에 대형광학거울에 같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고 있는 직경 1 m급 정밀 비구면 광학거울은 모두 표준과학연구원에서 제작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표준과학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대구경 정밀 광학거울 제작 시설 및 기술들을 위주로 광학거울 제작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b-micron패턴 형성을 위한 축대칭 이온광학계의 성능해석

  • Lee, Jong-Hyeon;Jang, Won-Ik;Yu, Hyeong-Jun
    • ETRI Journal
    • /
    • v.11 no.1
    • /
    • pp.75-88
    • /
    • 1989
  • 액체금속 이온원에서 추출된 이온빔을 웨이퍼 위에 접속하기 위한 이온광학계에 있어서 축대칭 판형 전극의 전위분포를 계산하는 해석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이온궤적, 수차 및 이온빔 직경등의 광학 특성을 보다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computer code의 개발에 이용되었다. 계산된 광학특성은 Burghard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기존의 Orloff.lens,Kurihara lens의 aperture 직경을 변화시켜 색수차를 줄이면 이온빔의 직경이 20%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두개의 렌즈로 이루어진 이온광학계에 대한 전산모사를 통하여 일반적으로 collimated mode가 crossovered mode에 비해 작은 빔직경을 가지며, 5KeV, 50keV의 빔에너지에서 각각 Orloff lens/Orloff-reversed lens, Kurihara lens/Orloff-reversed lens로 조합된 경우가 빔직경의 관점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광시야 망원경 개발

  • Mun, Il-Gwon;Lee, Sang-Eun;Im, Ju-Hui;Lee, Hyeok-Gyo;Yang, Ho-Sun;Han, Jeong-Yeol;Han, In-U;Jang, Jeong-Gyun;Na, Ja-Gyeong;Choe, Yeong-Jun;Park, Jang-Hyeon;Lee, Jong-Ung;Jin, H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3.2-213.2
    • /
    • 2012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는 빠르게 이동하는 우주물체를 지구상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측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 체계의 주요 부분인 광학 망원경은 직경 0.5 m의 비구면 주 반사경과 직경이 0.2 m인 비구면 부 반사경 그리고 5매의 보정 렌즈로 구성된 카세그레인 타입의 망원경으로 2도의 광시야를 갖도록 상 분석 및 미광 분석을 통하여 광학적 성능을 최적화하였다. 망원경의 광기계 구조는 설치 환경요소 및 관측 환경 요인으로 인한 광학적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광시야 망원경의 광학계 및 광기계 구조 설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 PDF

CIBER 2의 반사경 마운트와 광학계 구조물의 초기설계

  • Park, Gwi-Jong;Mun, Bong-Gon;Lee, Dae-Hui;Nam, Uk-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68.1-68.1
    • /
    • 2012
  • CIBER 2(Cosmic Infrared Background ExpeRiment 2)는 CIBER1의 후속과제로 진행되는 사업으로써 적외선 기기를 NASA Sounding Rocket에 탑재하여 0.5-2.1${\mu}m$ 파장대의 적외선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고 실험하는 과제이다. CIBER 2는 NASA에서 공식 승인되어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며, 미국의 Caltech, 한국의 KASI, 일본의 ISAS/JAXA가 국제협력으로 진행하는 과제이다. 한국의 KASI는 반사경의 광학계 및 광기계부 개발, 전자부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CIBER 2의 광학계는 카세그레인 방식으로써 주경의 직경은 300mm이다. CIBER 2는 77K로 냉각되어 적외선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기 때문에 특히, 열수축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 제작, 조립이 되어야 한다. 또한, 광학계 구조물이 조립되는 로켓의 내경이 400mm이기 때문에 광학계 구조물의 직경에 제한이 따른다. 본 발표에서는 KASI가 주도적으로 개발 중인 반사경 마운트와 광학계 구조물의 초기설계와 광기계 해석결과들에 대해서 논한다.

  • PDF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직경 제어를 위한 금 나노입자의 크기

  • Lee, Seung-Hwan;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44-544
    • /
    • 2012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SWNTs) 전기적, 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어 차세대 나노소자로 많은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갖고 있어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특히, SWNTs의 전기적 물리적 광학적 특성은 튜브의 직경과 뒤틀림도 (chirality)에 직접적으로 좌우 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SWNTs 직경제어의 한 방법으로는, 튜브합성 시 사용하는 촉매입자와 그로부터 성장하는 튜브의 직경은 서로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합성촉매의 크기를 제어하고자 하는 연구가 본 연구그룹을 포함하여 몇몇 그룹에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융점 금속인 금 나노입자를 합성촉매로 선택하였고, 고온 열처리를 통한 금의 증발을 유도하여 나노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고, 나아가 SWNTs의 직경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우선, 열처리 온도와 처리압력 등을 조절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금 나노입자의 크기 변화를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SWNTs는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열화학기상증착법으로 합성하였고, 튜브의 다발화(bundling)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평배향 성장이 가능한 ST-cut 퀄츠를 합성 기판으로 사용하였다. 금 나노입자의 크기 및 합성되는 SWNTs의 직경에 관한 특성 평가는 AFM, Raman, TEM을 이용하였다.

  • PDF

국내 광학부품산업의 현재와 미래-대형 광학거울 제작 기술 동향

  • 양호순;이윤우
    • The Optical Journal
    • /
    • s.118
    • /
    • pp.25-27
    • /
    • 2008
  • 국광학거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공기술과 초정밀 측정기술이 수반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100개 이상의 광학렌즈 및 거울 가공업체가 있으나 대부분 직경 1인치 이내의 소형광학계를 주로 생산하고 있고 면 형태 역시 구면이 대부분이다. 최근 휴대폰 카메라 등에 비구면을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다이아몬드터닝 머신 등을 이용한 정밀급 가공수준이므로 대형 광학거울에 같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본 원고에서는 대구경 정밀 광학거울 가공, 평가 및 코팅기술을 설명하고 관련 기술의 전망에 관하여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 PDF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Form Accuracy of Large Optical Surfaces (대구경 광학표면의 형상정밀도 측정 및 평가)

  • 김승우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6-7
    • /
    • 2002
  • 대구경 광학계는 일반적으로 직경이 100 밀리미터 이상 1 미터에 이르는 거울이나 렌즈를 총칭한다. 이러한 대구경 광학계의 수요는 과거에는 천문 관측용 광학 부품에 주로 한정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인공위성의 지상 또는 우주 관측의 수요가 늘면서 다양한 형상의 대구경 광학계의 생산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전자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복잡한 형상 패턴의 노광 방식에 의한 기술의 사용이 증대되면서 노광기의 핵심부품인 대구경 광학계의 소비자 산업의 수요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중략)

  • PDF

The Fabrication of Microlenses by Photoresist Melting Method (Photoresist 용융법을 이용한 미세렌즈 행렬 제작)

  • 주영구;송현우;이용희;송석호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5 no.2
    • /
    • pp.298-303
    • /
    • 1994
  • Microlens arrays are fabricated by melting "islands" of thick photoresist on a glass substrate. Microlenses with diameters $25\mu\textrm{m}$, $50\mu\textrm{m}$, $100\mu\textrm{m}$are made. Their surface profiles are obtain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 mechanical surface profilometer. The wavefront of the microlenses is measured by phase-shifting techniques using a Mach-Zehnder-like configuration. Thereby wavefront errors, focal lengths. point spread functions are obtained. The microlens with the diameter of $100\mu\textrm{m}$ has focal length of $164\mu\textrm{m}$ and spot diameter is less than $5\mu\textrm{m}$..

  • PDF

서울광학산업(주), 4mm급 대형 가공기 개발 성공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1
    • /
    • pp.34-35
    • /
    • 2007
  • 1974년 렌즈와 프리즘 가공으로 시작, 현재는 고난이도의 각종 비구면 생산과 대형물 가공업체로 변모한 서울광학산업(주)(대표.이지웅/www.seoulopt.co.kr)이 최근에는 총 소요비용 10억원 이상을 투자하고 4년여의 시간과 공을 들여 직경 4m급의 대형 가공기 개발에 성공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 이보다 크고 작은 규모의 노광기 몇 대가 있긴 하나 관련 설비 구축 정도는 일본과 비교해 서울광학산업쪽이 월등하다는 평을 받을만큼 기술과 설비투자에 오랜 기간 노력을 경주해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