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학소자

Search Result 1,37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nterferometric Testing of Fast CNC machined Aspheric Surface (CNC 가공된 급속한 비구면의 간섭계 검사)

  • 김광중;백성훈;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216-217
    • /
    • 2000
  • 영상매체의 발달은 고성능의 정밀한 광학소자의 발전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소자는 제작의 용이함 때문에 주로 구면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구면소자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면수차, 왜곡수차, 비점수차 등의 요인을 극소화하고 광학소자의 소형, 경량화를 위하여 비구면 광학소자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비구면 가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구면광학소자는 제작과정의 어려움과 더불어 품질평가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면의 측정은 3차원측정기에 의한 방법이나 간섭계를 사용한 단순한 null optics 검사로는 정확도와 실험의 한계가 있다. 비구면 광학소자의 평가방법으로는 간섭계를 사용하여 기준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일반적인 null testing과 최근에는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로 재생된 비구면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방법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검사방법으로는 검사가 어려운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포물면(parabolic surface)에 대한 하나의 검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Optical System Design for Laser Scanning Unit with HOE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로 구성된 레이저 주사광학계 설계)

  • 이은미;김영일;조성민;심용식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206-207
    • /
    • 2002
  • 회절현상을 이용한 광학 소자들 중 하나인 홀로그래픽 광학소자(Holographic Optical Element:HOE)는 매우 다양한 응용성을 가지고 있어 최근까지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경박단소화 할 수 있는 HOE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많은 굴절 광학소자가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로 대체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4 크기의 600DPI용 레이저 주사광학계(Laser Scanning Unit)에 HOE를 적용하여 설계하였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홀로그래픽 광학소자(HOE)

  • Kim, Eun-Seok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6 no.2
    • /
    • pp.73-83
    • /
    • 2011
  • 홀로그래픽 광학소자(HOE; holographic optical elements)는 높은 회절효율과 협대역 주파수 특성, 그리고 여러 가지 기능을 하나의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어 비행기와 자동차의 정보 표시를 위한 HUD(head-up display), 증강현실용 HMD(head mounted display), 2D/3D 디스플레이용 스크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홀로그래픽 광학소자(HOE)의 동작특성과 디스플레이에 활용되고 있는 몇 가지 예를 통해 그 활용가치와 앞으로 홀로그래픽 광학소자가 좀 더 보편화되기 위해 풀어야 할 당면과제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Applications of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홀로그래피 광학소자 및 시스템 응용)

  • Kim, Nam;Piao, Mei-La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5 no.3
    • /
    • pp.125-130
    • /
    • 2014
  • Holographic optical elements (HOEs) provide systems of thin-film optics that could include a variety of functions and have many advantages as optical devices in various research fields. Research and developments based on the use of HOEs in the fields of communications and displays are in progress.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perties of HOEs and their applications in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DOEs),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s, and head-mounted displays (HMDs). For widespread use of HOE technology in these various applications some challenges need to be solved, as discussed in this paper.

Application of Injection molding CAE technology for Optical parts (광학소자에 대한 사출성형 CAE 기술 적용)

  • Do, Re-Lee
    • The Optical Journal
    • /
    • s.101
    • /
    • pp.43-45
    • /
    • 2006
  • 근래에 일본을 비롯하여 한국과 대만 등 아시아 여러나라에서 광학소자의 플라스틱화로 흐름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광학소자에 생기는 성형불량을 예측하는 기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도레이 주식회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모델용 시스템을 세계에서 처음 실용화에 성공한 바 있으며, 본 고에서는 이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광학소자에 관한 CAE 해석의 역사는 아직 시작단계지만 요구 정밀도는 상당히 높기 때문에 끊임없이 해석기술의 정밀도화에 노력하고 있다. 또 미세 V(브이)홈에 있어서 전사성 평가에 대해서도 요구가 높기 때문에 예측 기술의 확립을 도모하고 있다.

  • PDF

광학 재료의 연삭 가공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2
    • /
    • pp.18-21
    • /
    • 2006
  • 최근에는 난이도가 높은 다양한 초정밀 광학 소자, 비구면 광학 소자나 마이크로 광학 소자 등 대부분의 가공 공정이 초정밀이면서 초미세한 연삭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초정밀 및 미세 가공 기술로서 자주 예로 드는 반도체 공정 기술에서는 제조가 어려운 다양한 광학 재료, 광학 부품 가공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초정밀 및 초미세 기계 가공으로서의 연삭 가공 기술의 진보가 새롭게 인식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allel Beam Optic for X-ray (엑스선용 평행빔 광학소자 개발 및 평가)

  • Park, Byunghun;Cho, Hyungwook;Chon, Kwo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6 no.6
    • /
    • pp.477-481
    • /
    • 2012
  • An X-ray diffractometer which has various X-ray optics can g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for a sample using a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A parallel beam optic passes the parallel beam and removes divergent beam generated from an X-ray tube. The parallel beam optic used in the X-ray diffractometer was fabricated by wire cut and grading of stainless steel plates and was evaluated its performance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The measured parallelization of 6.6 mrad for the fabricated the parallel beam optic was a very close to the expected value of 6 mrad. An X-ray imaging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parallel beam optics can estimate parallelization for each plate and can be used to other X-ray optics.

광통신용 광학 박막의 최신 기술 동향

  • 황보창권
    • The Optical Journal
    • /
    • v.13 no.1 s.71
    • /
    • pp.60-72
    • /
    • 2001
  • 광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광학 박막을 이용한 광학 소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하고 정교한 광학소자로서 광학박막이 계속 많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광통신 광학박막, 파장 다중 분할 필터(WDM), 이득 평탄 필터, 파장 가변 패브리-페로 필터, 증착 방법을 소개한다.

  • PDF

Research on graphene optical devices for ultrafast photonic applications

  • Yeom,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01.2-101.2
    • /
    • 2016
  • 육각형 구조의 탄소원자가 이차원으로 배열된 그래핀은 고유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기소자, 광학소자 및 광전소자를 구성하는 유망한 물질로써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넓은 파장 대역에서의 일정한 광 흡수 특성, 높은 비선형 광학 계수 및 수백 펨토초의 매우 빠른 비선형 응답시간으로 인하여 최근 그래핀을 기반으로 하는 광대역 광 편광소자, 비선형 광 신호 발생기, 광 포화 흡수체 및 광 제한기 (optical limiter)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그래핀 등 저차원 물질의 비선형 포토닉스 응용에 관한 최근 연구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그래핀 소자의 전기적 조절을 통한 극초단 레이저 펄스의 발생 및 제어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높은 효율을 가지는 도파로 기반 그래핀 광전소자 구현 가능성 및 그 한계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Optical system design for compact digital still camera using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회절광학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디지털 스틸 카메라용 광학계 설계)

  • 박성찬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1 no.4
    • /
    • pp.239-245
    • /
    • 2000
  • In this paper,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diffractive optical element were investigated. Also, this work deals with theoretical approaches for achromatization in DOE's optical system based on thin lens theory. It is found that achromatization could be satisfied by one hybrid lens only, which is composed of a diffractive and a refractive element. In order to have compact optical system, we used the tele-photo type lens composed of a positive and a negative power elements instead of retro-focus lens. From the Gaussian brackets and Seidel aberration theory, the initial design was numerically obtained. The aberration properties of an initial design was aplanat and flat field. In order to correct the chromatic aberrations, refractive and diffractive elements were used on front element. This hybrid lens is also useful for correction of higher order aberra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design composed of refractive lenses only, this approach dramatically improved the compactness of the optical system. Finally, residual aberration balancing results in a lens with focal length of 3.89 mm and overall length of 5.19 mm, which has enough performance over an f-number of 4.0. Also, it is expected to fulfill all the requirements of a digital still camera lens. This optical system is superior to the current refractive lens system in the number of elements, weight, and aberration properties. 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