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투과도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유리 기판 위에 합성된 기능성 나노코팅의 코팅 방식에 따른 특성분석

  • Park, Jong-Guk;Seon, Park-Mun;Choe, Won-Seok;Jeong, Y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52.2-252.2
    • /
    • 2015
  • 야외에 설치 운영되는 태양광발전 시설과 설비들은 여러 요인들로 인해 쉽게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한 효율 저하 및 유지 비용증가로 인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나노코팅을 이용한 태양광 묘듈의 표면 코팅으로 내오염 특성을 향상시켜 오염에 의한 태양광 발전효율과 유지비용의 절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능성 나노코팅은 태양광 모듈 커버글라스와 재질이 같은 유리 기판위에 코팅하였고, 코팅 방식에 따른 변화를 실험하였고, 코팅 방식으로는 딥핑(dipping), 스프레이, 천, 브러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유리 기판 위에 합성된 기능성 나노코팅의 특성분석은 내오염 특성, 광투과도, 접촉각, 부착력을 수행하였고, 실험에 활용된 기능성 나노코팅이 유리 기판 표면 오염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f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ITO films grown on PET substrate by pilot scale roll to roll sputtering system

  • Kim, Cheol-Hwan;Kim, Seong-Hyeon;Lee, Sang-Jin;Lee, Jae-H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81.1-181.1
    • /
    • 2016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가 지향하고 있는 저가, 고속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필름을 기반으로 하는 연속 공정에 의한 대량의 ITO 박막의 증착이 필수적이다. 이로 인해 롤투롤(roll-to-roll)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ITO 박막의 연속 증착 공정이 차세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해결책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폴리머 필름의 경우 증착 시 발생되는 열 또는 플라즈마에 의해 방출되는 수분과 유기 솔벤트 같은 오염 물질들에 의한 ITO 박막의 특성 저하와, 낮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는 기판 특성상 고온(>$200^{\circ}C$)에서 증착이나 후 열처리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낮은 저항과 높은 광투과도 특성을 가지는 ITO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 최적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롤투롤 스터링법으로 PET 필름 위에 Sn함량이 각각 3, 5, 7.5 10% 도핑된 ITO 타겟을 사용하여 ITO 박막을 증착 하였고,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롤투롤 스퍼터링법으로 우수한 전기 전도도와 광투과도 특성을 가지는 ITO/PET 필름의 증착 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또한, ITO 증착 시 필름에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한 ITO 박막의 특성 저하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Optical Transmittance Change of Pd Thin Film by Hydrogen Absorption and Desorption (수소 흡수-방출에 의한 Pd 박막의 광투과도 특성변화)

  • Cho, Young s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2 no.4
    • /
    • pp.287-292
    • /
    • 2001
  • The optical transmittance change of Pd thin film due to hydrogen absorption and desorption was examined at room temperature. Hydrogen absorption and desorption cycling effects on optical transmittance were measured 6 times in the pressure range between 0 and 640 torr. Optical transmittance of Pd film was increasing with increasing hydrogen pressure. Ratio of optical transmittance to the change of pressure at $\beta$ phase is bigger than that of low hydrogen pressure range.

  • PDF

Optical Transmittance of PdHx Thin Film (PdHx 박막의 광투과도)

  • Cho, Young s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12 no.3
    • /
    • pp.201-209
    • /
    • 2001
  • The change of optical transmittance of $PdH_x$ thin film due to hydrogen concentration change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Pd film($312{\AA}$ thick) was made by thermal evaporation on glass substrate. Hydrogen absorption and desorption cycling effect on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4 times in the pressure range between 0 and 640 torr. Ratio of optical transmittance to the change of ln pressure(torr) increases with increasing number of hydrogen A-D cyclings in the ${\beta}$ phase.

  • PDF

Photoalignment of Dye Doped Polyimide Film using Third Harmonic Beam of Nd:YAG Laser (자외선 레이저빔을 이용한 색소첨가 PI 필름의 광배향)

  • 구승호;문정학;유태경;김태국;김영식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304-305
    • /
    • 2003
  • 파장 355 nm인 Nd:YAG 레이저의 3차 고조파 자외선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색소첨가 폴리이미드 필름을 광배향시키고 이것을 사용하여 액정셀을 제작하였다. 광배향으로 제작된 액정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렬성, 광투과곡선, 응답시간 둥을 측정하여 러빙에 의한 액정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광배향 액정셀은 러빙에 의한 액정셀에 비하여 정렬성, 선경사각, 광투과도 등의 특성은 떨어지나 낮은 문턱전압과 빠른 응답시간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heat-moisture treated waxy rice starches (수분-열처리한 찹쌀 전분의 호화 성질)

  • Chang, Myung-Sook;Kim, Sung-K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3 no.3
    • /
    • pp.223-230
    • /
    • 1990
  •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heat-moisture treated Olchal(japonica) and Hankangchalbyeo(j x indica) waxy rice starches were compared. The blue value, light transmittance of starch suspension and viscosity in sodium hydroxide solution were similar between two starches. Olchal starch showed lower water binding capacity, swelling power md peak viscosity by amylograph than Hankangchalbyeo starch. Upon heat-moisture treatments all above parameters were decreased. The critical sodium hydroxide concentration for gelatinization was increased by treatments.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of Olchal starch was higher than that of Hankarlgchalbyeo. All amylograph reference points increased by the treatments, except the maximum viscosity or 2l% moisture-treated Olchal starch. Starches treated at 18% moisture level showd the highest value of consistency index. The activation energy of consistency index for gelatinized Olchal starch was lower than that for Hankangchalbyeo starch. The heat-moisture treatments had no effect on activation energy.

  • PDF

칼코게나이드 유리 소재의 고온압축 성형성 검토를 위한 온도 의존성 연구

  • Park, Heung-Su;Lee, Hyeon-Yong;Cha, Du-Hwan;Kim, Hye-Jeong;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4-204
    • /
    • 2009
  • 적외선 광투과 칼코게나이드 유리를 성형온도, 단위공정시간, 서냉 시 가압력등 성형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고온압축성형하였다. 성형된 칼코게나이드 유리렌즈의 특성평가를 위해 성형조건에 따른 렌즈깨짐 현상, 성형렌즈의 결정성 및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성형과정에서의 내부응력과 소재 자체의 낮은 경도로 인해 성형조건에 따른 렌즈깨짐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고온압축성형시 성형온도 범위 ($330{\sim}340^{\circ}C$)와 단위공정시간(100초~200초) 조건 변화에 따른 성형 렌즈의 광투과도 및 결정성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칼코게나이드 유리 소재의 고온압축 성형성을 확인하여 적외선 광학계 렌즈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 Concentration on the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based Nano-composite Electrodes (금속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유기나노복합체의 광학 및 전기전도성 특성변화)

  • Kim, Y.H.;Park, S.K.;Han, J.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a
    • /
    • pp.125-12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금속 나노입자 함량에 따른 유기나노복합체에서의 광학 및 전기전도도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유기나노복합체 전극은 전기전도성을 가리고 있는 PEDOT : PSS(poly(3,4-ethylenedioxythio- phone):poly(styrenesulfonate))나노 입자를 기반으로 하며 이 복합제에 미량의 Ag nano-particle을 첨가하여 전기전도도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Ag nano-particle은 전체 중량 대비 01 - 0.4%의 범위에서 첨가하였으며 실험결과 0.1%의 첨가 비율에서 약 5% 정도의 전기전도도 특성 향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광투과도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0.4%까지의 Ag nano-particle 첨가 비율에서는 광투과도의 비율이 크게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