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투과

Search Result 1,16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hange of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Light Transmittance of Color Lens (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

  • Lee, Sun-Haeng;Lee, Yoon-Jeong;Cho, Hyun-G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925-929
    • /
    • 2009
  • 본 연구는 착색렌즈의 광투과율에 따른 명소시 대비감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색렌즈를 착용할 때 색상에 따른 적절한 광투과율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상 시기능을 가진 남자 24명과 여자 13명을 대상으로, 광투과율 80~90%, 60~80%, 43~60%, 30~43%로 착색된 4개의 색렌즈(회색, 갈색, 적색, 녹색)를 순서대로 착용시키고 F.A.C.T.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광투과율이 감소될수록 대비감도는 감소되었고, 시감도는 갈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적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비감도 검사결과를 고려한 색상별 권장 광투과율은 갈색, 회색과 녹색 38% 이상, 적색 52%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일상생활에서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색렌즈를 선택할 때 색상과 그 색상에 적절한 광투과율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Acousto-Optic Wavelength-Tunable Bandpass Filter (음향광학 파장가변 대역투과 필터)

  • 이명수;황인각;김병윤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46-147
    • /
    • 2000
  • 광 대역투과 필터$^{(1)(2)}$ 는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선별에 사용되거나 좁은 선폭의 광원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원의 파장을 분석하는 광스펙트럼 분석기나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서 신호처리용 파장 필터 등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중요한 광소자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어 모드감쇠기와 음향광학 가변 필터$^{(3)}$ 를 사용하여 새로운 전광섬유 형태의 광 대역투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본 광 대역투과 필터는 필터의 중심 파장 및 필터의 투과율을 전기적으로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Chemically Deposited CdS Buffer Layer for High Efficiency CIGS Solar Cells

  • Kim, Donguk;Lee, Sooho;Lee,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59.2-459.2
    • /
    • 2014
  • CdTe계와 CGIS계 태양전지의 광투과층으로 CdS 박막이 많이 사용된다. Cds 박막의 필요한 물성으로는 높은 광투과도와 얇은 두께이다. 광투과층으로 사용되는 CdS 막의 광투과도가 높아야 많은 양의 빛이 손실 없이 투과하여 광흡수층인 CIGS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CdS막의 두께가 얇으면 밴드 갭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파장의 빛도 투과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의 효율의 증가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CdS 막의 두께가 얇을 경우, pinhole이 생성되는 등 막의 균질성이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변환 효율을 갖는 CIGS 박막 태양전지 제작에 적합한 chemical bath depostion(츙)법을 이용하여 CdS 박막을 제조하였다. 또한 반응시간, Cd 및 S source 비와 같은 증착 조건에 따른 박막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An improved electrode structure of the Patterned Vertical Aligned Liquid Crystal Cell for high transmittance (새로운 전극구조를 통한 수직배향 액정 셀의 투과특성 향상)

  • Choi, Yong-Hyun;Son, Jung-Hee;Lee, Gi-D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9
    • /
    • pp.1724-1728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electrode structure for high transmittance in the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LC cell. We use the 'TechWiz LCD' for calculation of the director configuration and optical characteristics. We studied the area decreasing the transmittance through the electrode structure for wide viewing angle and proposed new electrode design to change LC director configuration in the area. We show the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optical transmittance between the conventional PVA mode and the proposed PVA mode. From the results, we confirm that the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proposed structure of the PVA cell becomes higher.

ZnO 나노와이어 씨드층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광특성 및 유기 태양전지 특성평가

  • Sin, Hyeon-Jin;Park, Seong-Hwak;Jo, Jin-U;Kim, Seong-Hyeon;Kim,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425-425
    • /
    • 2012
  •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 경로와 투과도는 태양전지 효율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 경로를 길게 하고, 투과도를 개선하기 위해 알루미늄 도핑된 ZnO (AZO) 씨드층을 ICP플라즈마 처리를 하였고, 플라즈마 처리된 기판에 ZnO 나노와이어를 성장하였다. 플라즈마 처리된 AZO 기판과 ZnO 나노와이어가 성장된 기판의 광 투과도를 분석하기 위해 Haze meter를 이용하였으며, FE-SEM을 이용하여 각 기판의 형상을 분석하였다. AZO 씨드층을 플라즈마 처리했을 경우 ITO 기판보다 400-500 nm 영역에서 투과도가 향상되었고, ZnO 나노와이어가 성장한 기판은 400~600 nm 영역에서 투과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ZnO 나노와이어가 성장된 기판을 이용하여 P3HT:PCBM 블랜딩된 유기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을 평가 하였다.

  • PDF

Layout of Long-pass-edge Filter Correspond with the Optical Transmission in Crystalline (수정체 광투과에 대응하는 LPE Filter 설계)

  • Kim, YongGeu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4 no.2
    • /
    • pp.57-63
    • /
    • 1999
  • The optical absorption and transmittance of cow' crystalline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in the 200~800nm wavelength regions. The optical absorptions of crystalline composed of a high absorption band in the UV-A, UV-B, and appeared the light transmittance edge in the 400nm wavelength region, and completely transmitted without the absorption in the high wavelength regions than 400nm. Also, the optical absorption and transmittance had no temperature dependence. The optical transmittance spectrum of crystalline concord with the thin film structure of $n_0/(0.5H)L(LH)^6(0.5H)/n_s$ and $n_0{\mid}(0.5LH0.5L)^kL/1.25{\mid}4.0$ of long-pass edge filter form. In the artificial crystalline and inter lens layout, long-pass edge filter layout can UV cut off.

  • PDF

Advanced Pre-Integrated BRDF for Realistic Transmission Light Color in Skin Rendering based on Unity3D (Unity3D기반 피부 투과광의 사실적 색표현을 위한 개선된 사전정의 BRDF)

  • Kim, Seong-Hoon;Moon, Yoon-Young;Choi, Jin-Woo;Yang, Young-Kyu;Han, Gi-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40-843
    • /
    • 2014
  • 사실적 피부 렌더링은 피부 표면에서 일어나는 확산반사(Diffusion) 및 경면반사(Specular) 뿐 만 아니라 피부층 내에서 산란되어 나오는 산란광과 얇은 피부층을 통과하는 투과광 등을 고려하여 렌더링 되어야 한다. 이를 물리적인 개념들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표현하는 것은 많은 계산량과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확산 반사 및 경면 반사 등을 미리 계산하여 텍스쳐로 저장하고 재사용하는 사전정의 BRDF 방법으로 근사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정의 BRDF를 통해 생성된 피부 투과광색상 텍스쳐 맵은 그 색상이 고정되어있어 조명의 색상이 바뀌어도 피부를 투과하는 빛의 색상이 변하지 않아 부자연스러움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체와 조명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빛의 감쇠비율을 구하고 조명의 색상 값과 감쇠비율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광 색상 텍스쳐 맵의 RGB채널 수정을 통해 피부 렌더링에서의 자연스러운 투과광 표현이 가능함을 보였다.

Evaluation of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of Contact Lenses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 특성 평가)

  • Yu, Dong-Sik;Moon, Byeong-Yeon;Kim, Do-Hyung;Paik, Sun-Mok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2 no.2
    • /
    • pp.37-45
    • /
    • 2007
  • We have measured the spectral transmittances of UV blocking soft contact lenses, regular soft contact lenses and regular RGP lenses using the method suggested in ANSI Z80.20 standard. In order to evaluate visible light transmitting and UV blocking characteristics, we have calculated transmittances by integrating over the specific spectral ranges, i.e., visible light, UVA, UVB and UVC. We found that mean transmittances of visible light for all three categories were over 90.0 %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within acceptable range for a contact lens. The transmittance of the UVA and UVB radiation for the UV blocking soft lenses except some cases was within UVR (Ultraviolet radiation) transmittance standard. The UV blocking ability of regular soft and RGP lenses was poor as rather expected. These results will be expected to assist clinical opticians and practitioners in utilizing the transmittance characteristics about the contact lens.

  • PDF

Optical Transmittance Variation to Thickness of Nickel Thin Films (니켈박막의 두께에 따른 광투과율변화)

  • Yang, Ki-Won;Son, Jeong-Sik;Kwak, Ho-Weon;Lee, Haeng Ki;Park, Sang Chul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3 no.1
    • /
    • pp.49-52
    • /
    • 2008
  • To study the optical transmittance through nickel thin films with various thicknesses. Methods: We measured the optical transmittance through thin nickel film with various thicknesses. Results: The thickness dependence of the optical transmittance through nickel thin films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had been investigated. The optical transmittance rapidly decreased with the Ni film thickness less than 70 nm while it slightly decreased with the thickness more than 70 nm. In the experiment of optical dispersion, most of the light transmitted in the incidence direction.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that optical dispersion was negligibly. Conclusions: Optical transmittance exponentially decreased as nickel thin film thickness increased.

  • PDF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보호 유리 표면 처리를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

  • Han, Deok-Seon;Mun, S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75.2-175.2
    • /
    • 2016
  • 외부에서 운용되는 태양광 시스템에 있어서 셀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용 유리는 다양한 기후 변화를 겪으며 직면 하게 되는 먼지, 비 그리고 바람으로 부터 그 시스템을 보호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유리 자체의 제한된 투과도는 태양으로 부터의 에너지 전달에 있어서 일부 손실을 야기 한다. 많은 연구자들은 유리의 투과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주어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노력 하였다. 한 예로써 패터닝 및 화학 공정을 통해 특정 크기의 표면 구조를 형성 하게 되면 유리의 투과도가 향상됨으로써 태양광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제시 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고비용 장시간을 요하는 공정 대신 1분 이내의 단 시간에 He/CH4/C4F8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공정의 최적화를 통하여 유리 표면에 마이크로 나노 구조 형성 및 표면 장력 에너지를 낮추어 투과도 향상은 물론 자가 세정 기능을 더함으로써 태양광 시스템의 장기적인 외부 운용 효율을 약 0.3% 가량 높일 수 있었다. 또한 표면 처리에 사용한 대기압 플라즈마의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를 통하여 공정의 최적화 과정에서의 반응 가스 온도, 전자 여기 온도 그리고 라디칼 등의 생성 반응 기작을 연구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