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택계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fractometer for liquids based on a side-polished single-mode fiber (측면 연마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용액용 굴절계)

  • Kim, Kwang-Taek;Lee, Kyu-Hyo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4
    • /
    • pp.286-290
    • /
    • 2005
  • We have demonstrated a refractometer for liquid based on a side-polished fiber. The device consists of a side-polished single mode fiber and a rectangular space which plays a role of the multimode planar waveguide when it is infused with a liquid. We presented a simple method to acquire the refractive index of a liquid by use of the spacings of periodic resonance wavelengths of the device. The resolution of the fabricated refractometer was order of $10^{-5}$

Fiber-Optic Distributed Overheating Detection Sensor Using an Optical Time Domain Refrectometry (광시간영역 반사계를 이용한 분포형 광섬유 과열 감지 센서)

  • Kim, Dae Hyun;Kim, Kwang Taek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22 no.4
    • /
    • pp.297-301
    • /
    • 2013
  • We proposed and demonstrated a distributed fiber-optic overheating detection sensor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rectometry. With increased of temperature the optical fiber is bended by a bi-metal and it result in optical leaky loss of the fiber. The sensor structure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signal of overheating is happen when the temperature exceeding a threshold temperature and the optical fiber is protected from excess bending.

저온 플라즈마 및 방전에 의한 섬유의 표면개질과 염색가공에의 반응

  • 협전 등미가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7 no.4
    • /
    • pp.105-112
    • /
    • 1995
  • 방전에 의한 섬유의 표면개질 기술로서, 저온 플라즈마, Sputter Etching 처리에 대해 서술하고 표면개질 효과를 표면장력, ESCA, SEM을 근거로해서 고찰하였다. 더우기 접착성, 염색물의 색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섬유의 염색가공에 있어 젖음, 발수, 발유, 접착, 대전방지, 광택, 촉감 등의 표면에 관련하는 기능적 혹은 감각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섬유재료의 내부(bulk)의 특성을 살리면서 표면특성의 개질에 의해 한층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큰 의미를 가지며, 그와 관련한 표면개질 기술의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종래에는 오로지 습식법에 의한 화학약품 처리나 그라프트 공중합 등이 많이 이용되어져 왔으나 습식가공법은 공업적으로는, 다량의 물, 유기용제, 색재, 수지,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배수처리, 유기용제의 회수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들 습식계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기술로서 최근은 방전처리나 자외선 처리 등의 건식처리가 많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 PDF

Study on Additives of Non-cyanide Cu-Sn Alloy Plating Solution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의 첨가제에 관한 연구)

  • Kim, Dong-Hyeon;Jang, Si-Seong;Bok, Gyeong-Sun;Lee, Seong-Jun;Lee, Gi-Baek;Choe, Jin-Seop;Jeong, Min-Gyeong;Yun, Deok-Hyeon;Jeong, Gw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68.2-68.2
    • /
    • 2017
  • 인체접촉시 니켈도금의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 도금기술인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을 개발함에 있어서, 황산구리5수화물과 황산제일주석을 금속염으로 하여 황산 및 계면활성제, 유화제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첨가제를 포함하였고 특히 은백색조의 외관 색상과 안정적인 Cu-Sn 합금전착을 위해 2종의 착화제인 EDTP (Ethylenediaminetetrapropanol, $C_{14}H_{32}N_2O_4$)와 TEA (Triethanolamine)를 첨가한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을 도출하였다. Cu-Sn 합금도금 피막 조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금 도금액중의 Cu와 Sn 금속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합금 도금액 중 2가 주석이온($Sn^{2+}$)은 수용액 중에서 4가 주석이온($Sn^{4+}$)으로 산화됨으로써 도금액 색상이 백탁이 되고 Stannic Hydroxide($Sn(OH)_4$, $SnO_2{\cdot}2H_2O$)이 생성되어 대량의 침전물이 침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등시간 경과에 따른 도금액의 경시 변화가 발생되었다. 상기 침전물은 연속여과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 합금 도금액 중 $Sn^{2+}$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합금 도금액 중 금속이온 비율이 변동함으로써 합금도금 피막의 조성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Sn^{4+}$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개발하고 또한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도금 피막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외관 개선을 위한 광택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니켈도금과 동등 이상의 기능 특성을 갖는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액을 개발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고아미 2호를 기반으로 한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

  • Lee, Eun-Ju;Seo, Han-Seok;Lee, Seung-Yeon;Kim, Soo-Hee;Hwang, In-Kyeong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2 no.6 s.96
    • /
    • pp.940-948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black sesame gruel with high-dietary fiber rice, 'Goami 2'.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lack sesame gruel with various ratios of black sesame by weight (20, 40, 60%) and various water volumes(1100, 1200, 1300 mL) were investigated using colorimeter, consistometer, viscometer, sensory evaluation panel and consumer evaluation. The black sesame content significantly(p<0.001) affect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color, consistency and viscosity), sensory characteristics(blackness, glossy, nutty, astringent taste, bitter taste and viscosity) and sensory acceptance(color acceptance, taste acceptance, viscosity acceptance and overall acceptance). The water content significantly(p<0.05) affecte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consistency and viscosity), sensory characteristics(viscosity) and sensory acceptance(taste acceptance, viscosity acceptance and overall acceptance). In the black sesame gruel, as black sesame weight ratio increased, the brightness, redness, yellowness and viscosity were decreased while the consistency, blackness, glossy, nutty, astringent taste and bitter taste were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optimal material mixing ratio for gruels was black sesame : Goami 2 = 40(80 g) : 60(120 g), water 1200 mL.

A Study on the Effect of Pigments used in Cosmetic Manufacturing on the Form of Water Dispersible Formulations (화장품 제조에 쓰이는 Pigments 가 수분산 제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im, Hyun Jee;Oh, Ji Won;Kwak, Byeong Mun;Lee, Mi Gi;Bin, Bum 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7 no.1
    • /
    • pp.41-48
    • /
    • 2021
  • Formulations which are dispersed in water are often used in color cosmetics because they are characterized by no powder flying, not sticky, and high adherence while giving a light feeling of us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sidered on the effect of the pigment on the above formulations used in color cosmetics.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ect of pigments on the formulation of pigments, organic pigments, and pearl polish, which are mai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lor cosmetics, on appearance changes, pH changes, and photometric stability. Carmine or ferric ferrocyanide coated titanium dioxide mica-based pigments were not suitable for use due to poor photostability, with colors appearing on the surface from low viscosity formulations. Organic pigments had a good photostability of 1% of the formulation which are dispersed in water, but were not suitable for use because they came out of color on the water surface and did not spread well due to the clumping of powders. The titanium dioxide mica system pigments coated with pearl polish, inorganic pigments, and iron oxide were suitable for use due to their excellent appearance and optical stability in the formulation. Furthermore, the pH of all samples distributed by each pigment seems to be within the range of 3.0 to 9.0, which is suitable for cosmetic applications. This is expected to help manufacture color cosmetics with a stable water dispersible formulations by selecting and using stable pigments in anticipation of the behavior of pigments in the formulations.

수소 제조용 치밀질 세라믹 멤브레인 제조기술 개발

  • Hwang, Gwang-T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1-59
    • /
    • 2005
  • 수소 분리막의 적용 분야는 석탄가스, 천연가스, 메탄가스 혼합기체이며, 고온/고압 및 수소농도가 낮은 혼합기체에서 고순도의 수소를 제조하는 곳이다. 특히 치밀질 세라믹 멤브레인은 고온에서 가스화한 석탄가스나 차세대의 쓰레기 처리 기술인 가스화 용융처리에서 생긴 고온가스로부터 고순도의 수소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한 수소는 고온을 유지하기 때문에 연료전지 발전에 최적이다. 종래의 연료전지는 발전을 위해서 수소의 가열이 필요했으나 이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발전 전체의 효율이 향상된다. 석유화학 산업에서 발생하는 혼합기체에서 수소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남은 기체는 연료로 재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의 재질로는 고분자계가 개발되고 있으며 고분자 지지체에 백금이나 로듐과 같은 촉매를 코팅하는 방법이다. 이는 기공의 제어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고온에서 사용이 불가능하고 입자상 물질에 의해 분리막의 손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비해 치밀질 세라믹 멤브레인은 세라믹의 특성에 의해 고온 및 고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실온이나 저압의 조건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900^{\circ}C$의 고온에서 적용시 세라믹 멤브레인에는 특성열화가 없어 수명이 긴 장점을 가지게 된다. 수소가 포함되어 있는 기체에서 수소 만을 분리하는 방법은 흡착이나 분리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며 흡착에 의한 방법은 일부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고효율의 수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분리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치밀질 수소 분리막의 연구는 외국(미국, 일본 등)에서도 초기 연구 단계이다. 국내에서도 이런 연구가 선행되어 외국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에너지 자원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 치밀질 멤브레인의 소재로는 proton 및 전자전도가 가능한 소재로서 Ba-Ce-Y계를 기본조성으로 하여 내구성과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Ca, La, In, Yb를 치환하였다. 제조한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고, 수소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과 효율을 평가하였다.

  • PDF

면 셀룰로스 재생섬유 표면의 피브릴화 정도 판별시험법 연구

  • Park, Seong-Min;Kim, Ji-Yeon;Kim, Myeong-Sun;Gwon, Il-Jun;Jeong,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101-101
    • /
    • 2011
  • 재생 셀룰로스 섬유의 원료로 사용되는 셀룰로스는 면, 마, 목재 등 고등식물의 주성분으로 매년 수십억톤이 광합성에 의하여 생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석유류와 같은 화석연료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입되고 있다. 또한, 셀룰로스에는 면이나 마류 등과 같이 간단한 정제 처리에 의해 의류용 섬유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목재 섬유와 같이 펄프화하여 종이, 인견섬유, 필름 등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이 있으며, 셀룰로스 유도체도 제조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섬유들 중 대표적인 셀룰로스계 재생섬유인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은 그 제조 방법이 환경적으로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으나 고유의 우수한 드레이프성, 흡습성, 독특한 광택, 시원한 촉감 등을 가지고 있어 그 소비는 꾸준한 상황이다. 이러한 Viscose rayon을 대체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공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Lyocell 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면 셀룰로스 재생섬유는 기존의 Lyocell섬유에 비해 신도는 높고 모듈러스가 낮아 Modal과 같은 촉감을 가지고, 피브릴 발생이 없어 방사공정에서 가교반응이 필요치 않는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 공법인 Lyocell 공법으로 개발된 면 린터 원료를 이용하여 면 린터 셀룰로스 재생섬유 제조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면 린터 셀룰로스 재생섬유의 기술적인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면 린터 셀룰로스 재생섬유소재 피브릴화 정도의 표준화 시험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사용원단으로 Tencel A-100, Tencel standard, Modal, Lyocell LF, 면 린터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세탁, 염색, 알칼리조건 처리에 따른 물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물성 변화는 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 PDF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ZT(20/80)/PZT(80/20) Heterolayered Thin Films Prepared by Sol-Gel Method (Sol-Gel법으로 제작한 PZT(20/80)/PZT(80/20) 이종층 박막의 구조 및 유전 특성)

  • 심광택;이영희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0 no.10
    • /
    • pp.983-988
    • /
    • 1997
  •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PZT(20/80)/PZT(80/20) heterolayered thin films that fabricated by the alkoxide-based Sol-Gel method. PZT(20/80)/PZT(80/20) heterolayered thin films were spin-coated on the Pt/Ti/SiO$_2$/Si substrate with PZT(20/80) film of tetragonal structure and PZT(80/20) film of rhombohedral structure by turns. Each layers were dried to remove the organic materials at 30$0^{\circ}C$ for 30min and sintered at $650^{\circ}C$ for 1hr. This procedure was repeated several times to form PZT(20/80)/PZT(80/20) heterolayered films and thickness of the film obtained by one-times of drying/sintering process was approximately 80-90nm. PZt-1, 3, 5 films with top layer of PZT(20/80) film of tetragonal structure showed fine grain structure and PZT-2, 4, 6 films with top layer of PZT(80/20) film of rhombohedral structure showed the dense grain microstructure without rosette-typ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loss of the PZT-6 film were approximaterly 1385 and 3.3% respectively. Increasing the number of coatings remanent polarization was increased and coercive field was decreased and the values of the PZT-6 film were 8.13$\mu$C/cm$^2$and 12.5kV/cm respectively.

  • PDF

Variable Optical Attenuator Incorporating Dual Fiber Collimator and Bi-metal Actuator (이중 광 콜리메터와 바이메탈 엑추에이터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

  • Kim, Kwang Taek;Kim, Duck Bong;Koh, Hanju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9 no.1
    • /
    • pp.28-31
    • /
    • 2018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nd demonstrated a variable optical attenuator (VOA) incorporating a dual-fiber collimator and a bimetallic actuator. The optical attenu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single-mode fibers was tuned by tilting the angle of a reflection mirror fixed on the bimetal. The bimetal was heated or cooled by a thermoelectric cooler (TEC) and then moved the reflection mirror, due to bending and unreeling. The desired optical attenu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adjusting the electrical input into the TEC. The fabricated device showed 0.5 dB of insertion loss, 0.2 dB of maximum polarization-dependent loss, and 40 dB of dynamic range. The response time was measured to be about 5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