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택계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n Tin Antioxidant and Brightener of Non-cyanide Cu-Sn Alloy Plating Solution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의 Sn 산화방지제 및 광택제에 관한 연구)

  • Jang, Si-Seong;Kim, Dong-Hyeon;Bok, Gyeong-Sun;Lee, Seong-Jun;Lee, Gi-Baek;Choe, Jin-Seop;Jeong, Min-Gyeong;Yun, Deok-Hyeon;Jeong, Gwa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12-112
    • /
    • 2016
  • 인체접촉시 니켈도금의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 도금기술인 비 시안계 Cu-Sn 합금도금을 개발함에 있어서, 황산구리5수화물과 황산제일주석을 금속염으로 하여 황산 및 계면활성제, 유화제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첨가제를 포함하였고 특히 은백색조의 외관 색상과 안정적인 Cu-Sn 합금전착을 위해 2종의 착화제인 EDTP($C_{14}H_{32}N_2O_4$)와 TEA(Triethanolamine)를 첨가한 비 시안계 Cu-Sn 합금 도금액을 도출하였다. Cu-Sn 합금도금 피막 조성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합금 도금액중의 Cu와 Sn 금속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합금 도금액중 2가 주석이온($Sn^{2+}$)은 수용액중에서 4가 주석이온($Sn^{4+}$)으로 산화됨으로써 도금액 색상이 백탁이 되고 Stannic Hydroxide($Sn(OH)_4$, $SnO_2{\cdot}2H_2O$)이 생성되어 대량의 침전물이 침강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도금액의 경시 변화가 발생되었다. 상기 침전물은 연속여과에 의해 제거 가능하나 합금 도금액중 $Sn^{2+}$ 농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는 합금 도금액중 금속이온 비율이 변동함으로써 합금도금 피막의 조성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Sn^{4+}$ 침전물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를 개발하고 또한 산화방지제의 첨가에 따른 도금 피막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외관 개선을 위한 광택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니켈도금과 동등 이상의 기능 특성을 갖는 비시안계 Cu-Sn 합금도금액을 개발하여 실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The Fabrications of Fiber Optical Mach-Zehnder Interferometer Sensor Using Side Polished Fiber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형 마흐-젠더 간섭계 센서 제작)

  • Kim, Jun-Hyong;Shin, Eun-Soo;Kim, Kwang-Taek;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400-401
    • /
    • 2006
  • 광-바이오센서로 이용하기 위해 광섬유 형태의 마흐-젠더 간섭계와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결합한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를 제작 및 특성 평가하였다. 마흐-젠더 간섭계 구성은 1310nm와 1550nm 파장에서 광 파워 분기비가 50:50인 $2{\times}2$ 광커플러 2개를 제작하여 구성하였으며, 센서부로는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였다. 제작된 광섬유 형태의 마흐-젠더 간섭계 센서의 센서부 표면에 다양한 굴절률 용액을 이용하여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Study on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Epoxy Resins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Ceramics (도자기 복원에 사용되는 에폭시계 고분자수지의 요구 특성 연구)

  • Nam, Byeongjik;Jeong, Seri;Jang, Sungyoo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13 no.4
    • /
    • pp.171-181
    • /
    • 2012
  •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ventional 12 kinds of epoxy resins which have been used for restoration of the ceramic relic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standards of the effective materials in this study. The result of durability analysis showed that a liquid type is more effective in ceramic relics (low damage, high strength), and a paste type is more effective in earthenware relics (high damage, low strength). The result of workability analysis appears that the liquid type is higher than the paste type, and a slow curing type is higher than a fast curing type in surface hardnes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liquid type which is hard to reprocess due to high surface hardnes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by adding filler. The result of the gloss analysis on epoxy resins showed that the liquid type (colorless) has higher gloss than the paste type, and the slow curing type has higher gloss than the fast curing type in liquid types. CDK-520A/520B and Araldite SV 427-2/HV 427-1 showed the most similar gloss to $700^{\circ}C$ earthenware, Devcon 5 minute, EPO-TEK 301-2, and Quik Wood showed the most similar gloss to celadon and whiteware, Quik Wood, EPO-TEK 301-2, and Devcon 5 minute showed the most similar gloss to buncheongware. It is necessary for conservator to decide the range of the restoration surface by predic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restoration surface because most of the epoxy resins caused the volume change in curing process.

Fiber to planar waveguide type tunable comb filter using thermo-optic effect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광섬유 -평면도파로 결합형 파장 가변 빗살필터)

  • 김정훈;권광희;김광택;송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2-193
    • /
    • 2002
  • 지금까지 측면이 코어 가까이 연마된 잔일모드 광섬유와 평면 도파로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소자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소자들로는 광필터, 광변조기, 광스위치, 굴절계, 편광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파장분할다중화(WDM)에서 인접채널간의 채널분리를 위한 소자로서 빗살필터의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측면이 코어 가까이 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빗살필터를 제작하였으며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파장 가변 빗살 필터를 구현해 보았다. (중략)

  • PDF

Linen-like Finishing of Cotton Fabric Using N-Methylmorpholin N-Oxide (N-Methylmorpholin N-Oxide를 이용한 면직물의 의마가공)

  • 손현식;김진호;윤경훈;이양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1-284
    • /
    • 2002
  • 마 섬유는 흡습성이 좋고 건조가 빠르고, 습윤 시 강도가 증가되며 열전도율이 크고 통기성이 크며, 강도와 내열성이 천연 섬유 중 가장 우수하며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있어서 광택과 방오성이 좋다. 그러나 세사방적이 어렵고 강연도가 지나치게 커서 의복소재로서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최근에는 큰 강연도를 장점으로 활용하여 여름용 의복소재로 다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면, 레이온, 셀룰로오스계 섬유제품들에 대하여 마 제품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의마가공법이 개발되어왔다[1,2]. (중략)

  • PDF

Dynamic Analysis of the Engine-Resilient Mount System (엔진-탄성마운트 시스템의 동적특성해석)

  • 김영중;유광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119-125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6자유도의 비대칭 강체가 3방향 탄성계수를 갖는 마운트에 지지되어 있는 6장도계의 진동해석기법을 확립하고, 고유진동, 강 제진동응답 및 진동전달력해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실제 응용된 사례와 타종의 마운트를 적용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설계의 타당성 을 검증하였다.

  • PDF

새로운 재생셀룰로오스 섬유$(enVix{\circledR})$의 직접 염료에 대한 염색성

  • 심우섭;고준석;김성수;김재필;김익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78-82
    • /
    • 2003
  • 셀룰로오스계 재생섬유 중 가장 먼저 개발된 Viscose rayon은 셀룰로오스 펄프를 17-18%의 가성소다 수용액에 팽윤시켜 알칼리 셀룰로스를 만든 뒤 이황화탄소(CS$_2$)에 반응시킨 후 방사하여 제조하며 흡습성, 제전성, 드레이프성 및 광택이 우수한 쾌적성 섬유이다. 그러나 탄성 회복율이 좋지 않으며 강력이 적고 특히 습윤시의 강력 저하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이황화탄소의 환경 유해성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선진국들이 점차 설비를 폐쇄하거나 개도국으로 이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The study of Blacken treatment for EMI Shielding copper foil (전자파 차폐용 동박의 흑화후처리에 관한 연구)

  • 김상겸;조차제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74-176
    • /
    • 2003
  • 유기첨가제 첨가법을 통해 개발된 저조도 전해동박을 전자파 차폐용 필터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흑화표면처리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검토된 흑화표면처리 방법 중 흑화도, 전도성, 치수안정성 공정성에 있어서 전기도금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흑화도금액계는 흑색도금조직을 $0,2{\mu}m$이하로 미세하게 노듈화시킴으로 인해 외부 빛을 산란시켜 광택을 줄이고 흑화도를 증가시켰으며 전착된 흑화도금층의 묻어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성으로 구성되었다.

  • PDF

The effect of polyethypeneglycol on the electrocrystallization of Zn electrodeposition (아연 전기도금의 전착성에 미치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glycol)의 영향)

  • 김현태;김태엽;이재륭;장삼규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9 no.6
    • /
    • pp.590-596
    • /
    • 1999
  •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Zn electrodeposition in chloride-based electrolyte were investigated using circulation cell with three electrodes system. The cathodic polarization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olyethylenglycol (hereafter PEG) in electrolyte. This was attributed to the adsorption of the additives on the electrode and the inhibition of migration of metal ion. The PEG, however, did not have any noticeable effect on the properties of plating solutions at the concentration used. The effect of PEG on the electrocrystallization was related to its molecular weight. With the increase of molecular weight, the cathodic polarization increased, while the surface roughness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 of brightness. Especially, the PEG mix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was the most effective. The orientation and the type of the deposited grains were changed and refined by PEG, which resulted in the modification of deposited surface roughness and brightness.

  • PDF

Reactive Dyeing Properties of Raime/Rayon Blends Fabrics (Ramie/Rayon계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성 비교 고찰)

  • Kim, Kyung-Hak;Park, Eun-Ho;Choi, Byung-Hun;Koh,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21-21
    • /
    • 2011
  • 개인적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사회적인 삶의 가치를 추구하여 인체친화적이며 동시에 환경 친화적인 제품 소비에 가치를 두는 LOHAS 트렌드의 영향으로 의류 제품에서는 소비자의 요구 수준에 맞춘 고급화, 고기능화된 의류 상품 및 소재 중심의 소비와 함께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 소재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Ramie 복합 소재는 이러한 트렌드에 적합한 대표적인 소재로서 고감성/웰빙 신섬유 제품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이 가능한 아이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Ramie는 땀에 대한 흡습성과 속건성이 우수하고 청량감이 있어 주로 여름 소재로 활용되어 왔으나 촉감이 좋지 못하고 광택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촉감이 좋고 광택성이 뛰어난 레이온 계열의 소재와 혼방하여 고급스럽고 환경 친화적인 의류소재로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레이온계 섬유 중에서 상품성이 modal 섬유 Tencel 섬유를 각각 혼방한 Ramie/Modal(28's,30's), Ramie/Tencel(28's) 복합소재의 반응성 염료에 대한 염색특성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실험은 Heterobifunctional type 반응성 염료 3종(Red, Yellow, Blue)을 이용하여 흡진 거동, 빌드업 특성, 겉보기 색상농도 등을 비교하였으며 1/1 standard 농도에서의 제반 견뢰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