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원 변조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RSOA기반 반송파 억제된 광변조를 이용한 양방향 WDM-PON 구현 (Demonstration of RSOA based Bidirectional WDM-POM by using Suppressed Optical Carrier Modulation)

  • 김동현;이대원;원용욱;박수진;한상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B호
    • /
    • pp.809-81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중앙국(Central of office)에서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을 생성하여 파장에 무관한 RSOA기반 양방향 WDM-PON구조를 제안 하였다. 중앙국에 위치한 마흐젠터 모듈레이터 (LiNbO3 Mach Zehnder Modulator)를 이용해서 5 GHz 변조된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Suppressed Optical Carrier)을 만들어 상향 신호 광원으로 전송을 하고 이와 더불어 하향 신호용 광원은 반사형 광증폭기(Reflective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를 이용해서 데이터 변조 후 전송을 하게 된다. 상향 신호는 반송파가 억제된 광원을 광망 전달 장치(Optical Network Unit)보내 다시 데이터 재변조를 하고 증앙국(Central Office)으로 재전송함으로써 파장에 무관한 새로운 양방향 WDM-PON 구조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공초점 원리와 광섬유 광원 변조를 이용한 무한보정 현미경 자동초점 (Autofocus of Infinity-Corrected Optical Microscopes by Confocal Principle and Fiber Source Modulation Technique)

  • 박정재;김승우;이호재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583-590
    • /
    • 2004
  • 비전을 이용한 광학식 검사공정이나 그 밖의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측정에 있어서 초점조절은 곧바로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핀홀 대신 광섬유를 사용하는 공초점 현미경 구조와 하나의 광섬유가 광원과 검출기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반구성(reciprocal scheme)을 적용함으로써 간결하게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광축 정렬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압전소자(PZT)를 이용한 광섬유 광원의 광축 방향 변조를 통해 방향 정보가 실린 초점오차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빠른 초점조절을 구현하였다. 대물렌즈 변조방식과 달리 광원 변조방식은 현미경 시스템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의 장치에 탑재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변조 진폭과 시편의 반사도 및 기울기 변화에 따른 초점오차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거울 시편에 대한 초점조절을 통해 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해 보았다. 또한 종방향 특성곡선의 반치폭 비교실험을 통해 광원 변조는 광축 방향 분해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공유광원 및 원격변조방법을 이용한 광가입자 전송링크에 관한 실험적 고찰 (Experimental study on the optical subscriber loop transmission link utilizing shared light sources and remote modulation method)

  • 이용기;강용훈;채창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1-380
    • /
    • 1997
  • 초고속 광가입자망을 효율적으로 구축하지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오고 있는 가운데,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한 방안으로 공유광원 및 원격변조방법을 이용한 광가입자망 전송시스템을 제안하고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을 고찰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상하향 전송링크에 외부변조방식을 채택하고 전송에 필요한 모든 캐리어 광원은 전화국에서 공급된다. 또한 캐리어 광원은 각각의 링크별로 두지 않고 소수의 광원을 다수의 링크가 공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시뮬레이션 결과, 하나의 공유광원으로 하향전송(2.5Gb/s)시에는 약 2,000 가입자링크의 수용이 가능하고 상향전송(155Mb/s)시에는 약 500 가입자링크를 수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Erbium 첨가 광섬유 증폭기형 광원을 이용한 광섬유 gyroscope (Fiber-Optic Gyroscope Using Erbium-Doped Fiber Amplifier Source)

  • 박희갑;김병윤
    • 한국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0-75
    • /
    • 1995
  • Erbium 첨가 광섬유를 광원겸 광증폭기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회로 형태의 광섬유 gyroscope를 구성하였다. Erbium 첨가 광섬유를 거쳐 5mW 이상의 gyro 출력광 power와 7nm의 파장선폭을 얻었다. Loop 광섬유로부터 광증폭기형 광원으로의 feedback으로 인하여 회전속도에 따라 scale factor가 변화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변조된 gyro 출력신호광의 평균 power가 회전속도에 무관하도록 위상차의 변조진폭을 $\PHI_m=2.405 rad$으로 한 경우에 회전속도와 무관한 일정한 scale factor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자이로용 Er-첨가 광섬유 광원에서 편광 스크램블링을 이용한 편광효과의 억제 (Suppression of polarization effects in Er-doped fiber source for gyroscope by polarization scrambling)

  • 김택중;진영준;박희갑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49-453
    • /
    • 2003
  • 자이로스코프용 광대역폭 erbium 첨가 광섬유 광원에서 중심파장의 편광의존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펌프광의 편광을 변조함으로써 스크램블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원통형 PZT에 광섬유를 감은 형태의 편광변조기에 적정진폭의 변조를 가함으로써 펌프광의 편광도(시간평균치)를 1.4%까지 낮출 수 있었다. 펌프 편광 스크램블러와 출력단 depolarizer를 함께 사용한 경우에 임의의 편광변화에 대한 광원의 중심파장 변화가 측정기의 측정한계(∼5 ppm) 이하로 관찰되었다.

2-종모드 레이저의 비트 주파수를 이용한 헤테로다인 간섭계용 광원 개발 (A Light Source for Heterodyne Interferomtry using Beat Frequency between Two-axial Modes of a He-Ne Laser)

  • 김민석;김승우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1년도 제12회 정기총회 및 01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92-93
    • /
    • 2001
  • 주파수 안정화 레이저 광원은 10-6 이상의 상대 불확도가 필요한 간섭계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특히 변위 측정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쓰이고 있다. 상용화된 많은 변위 측정 시스템은 신호 대 잡음비가 우수하고 광학계의 정렬이 더 쉬운 헤테로다인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서로 수직 선형 편광인 다른 주파수의 광을 내보내는 광원이 필요하다. 현재 헤테로다인 변위 측정 시스템에 쓰이고 있는 광원은 이중 주파수 광원을 만드는 방식에 따라 지만 효과(Zeeman effect)를 이용한 지만 레이저(HP사)와 음향-광 변조기(Acousto-optic modulator)를 이용한 이중 주파수 레이저(Zy해사)가 있다. (중략)

  • PDF

Self-seeding FP-LD을 이용한 파장 가변 레이저 광원 (Tunable laser source using a self-seeding FP-LD)

  • 김정민;이혁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04-10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self-seeding FP-LD (Fabry Perot Laser Diode)를 이용하여 WDM-PO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Passive Optical Network)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파장 가변 광원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파장 가변 광원을 이용한 WDM-PON의 기존 구현은 AWG (Arrayed Waveguide Grating) 소자의 중심 파장과 광원의 중심 파장을 세밀히 정렬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파장 가변 광원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며, 가변 파장이 AWG의 중심 파장에 자동 정렬되는 장점을 갖는다. 구현된 파장 가변 광원은 약 14 nm 정도 이상의 파장 가변 대역을 보였고, 상대적 세기 잡음, RIN (Relative Intensity Noise)은 최대 약 -124dB/Hz로 나타났으며, 외부 변조기를 통해 변조한 결과 10Gb/s 신호에 대한 변조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ach-Zehnder 변조기를 이용한 Loop-back System (Loop-back System Using Mach-Zehnder Modulator)

  • 김희주;강동성;전금수;반재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7호
    • /
    • pp.479-48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광원이 불필요하며 단일 광섬유를 통하여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BS(base station)용 광송 수신기 모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에서는 BS의 송신단에서 Ring type으로 구성된 Mach-Zehnder 변조기의 양방향 변조를 이용하여 CO(central office)에서 제공된 광원을 변조하여 다시 CO로 전송한다. Ring 타입으로 구성된 변조기의 등가모델을 도출하였으며, 등가모델과 측정결과가 매우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Ring type에서 Mach-Zehnder 변조기의 광학적인 대칭이 RF 신호 전송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공유 레이저 광원 및 LED 광원을 이용한 WDM-PON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DM-PON System Using Shared Laser and LED Light Sources)

  • 이용기;이영호;박봉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4A호
    • /
    • pp.573-578
    • /
    • 2000
  • 본 논문은 공유 레이저 광원 및 LED 광원을 이용하는 WDM-PON 구조의 새로운 광 가입자 전송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을 실험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찰하였다. 본 시스템은 고속의 하향전송을 위해서는 공유 레이저 광원을 외부변조하여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였고, 상향전송을 위해서는 LED광원을 직접변조하여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광 선로구간에서의 파장다중화를 위해서는 채널 결합 및 분기기능을 갖는 AWG(Arrayed Wave-guide Grating) 소자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송시스템의 특징은 저가로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하향전송에 대해서는 안정된 고가의 레이저 광원을 공유함으로써 가능하고, 상향전송에는 동일한 LED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WDM-PON을 위한 광 송수신장치(ONU; Opticla Network Unit)의 광원 안정화 및 규격화가 쉬워짐에 따라 대량생산을 통한 저가 구현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의 기술적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전송속도가 2.5Gbps인 하향전송과 51.84, 155.52 및 622.08Mbps인 상향전송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상하향 각 전송속도에 있어서 잘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 PDF

광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고속 광 간섭계 (High-speed optical interferometry using optical phase modulator)

  • 황대석;이영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24-26
    • /
    • 2005
  • 광 간섭계는 광을 이용한 다양한 계측분야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광 간섭계의 지연단은 기계적인 광지연에 의해 저속이며, 시스템 구성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간섭계 지연단의 기계적 방식을 배제한 광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지연단을 설계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광 간섭계는 1310nm 10GHz의 반복율을 갖는 광원과 광위상변조기를 이용한 전(全) 광섬유 형태로 안정한 구성을 하였다. 구성된 광간섭계는 광위상 변조기의 변조 전압, 변조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광지연시간의 쉬운 변조가 가능하였으며 최대 20ps 의 광지연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