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양만

Search Result 9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operties of Deposits and Geomorphic Formative Ages on Marine Terraces in Gwangyang Bay, South Sea of Korea (광양만 일대 해안단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 형성시기)

  • Lee Gwang-Ryul;Park Ch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3 s.114
    • /
    • pp.346-360
    • /
    • 2006
  • In order to analyze synthetically geomorphological processes of marine terrace in Korea, this study deals with the distribution of marine terraces, stratification of sedimentary layer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posits, and formative ages of marine terraces based on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absolute age at coastal area of Gwangyang Bay in central part of the South Coas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diverse geomorphic materials, there is not enough distinction in them, because of recycling and mixing of materials at Gwangyang Bay having a geomorphic closure. In Gwangyang bay coast, marine terraces are discovered at least 3 levels and have a small area. Formative age of 1st Terrace, as the lowest level ranging in $10{\sim}13m$ above the sea level, is estimated at MIS(Marine Isotope Oxygen Stage) 5a, based on OSL age dating and properties of deposits. Uplifting rate is calculated at 0.141m/ka in Gwangyang bay coast. For application to this rate, 2nd terrace($18{\sim}22m$) is estimated at MIS 5e, 3rd terrace($27{\sim}32m$) is latter part of MIS 7. Consequently, we might conclude that uplifting and geomorphic process of marine terrace in South Coast is similar to East Coast during the Late Pleistocene in Korea.

Analysis of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 Focusing on Exogenous Specified Input-Output Model -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외생화 산업연관모형을 중심으로 -)

  • Kim, Min-Seong;Na, Ju-Mo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9 no.2
    • /
    • pp.77-95
    • /
    • 2023
  • The regional infrastructure industries of Gwangyang C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Gwangyang Port and Gwangyang Steel Mi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In this study, a multi-stage approach using the RW and the LQ methodology using the national input-output tables in 2015 and 2019 is used to prepare the regional interindustry analysis chart in Gwangyang City, and an exogenous demand induction model that reclassified the port logistics industry was applied.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by figuring out the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quantitatively in Gwangyang C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dustries with high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forward/backward linkage effec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were analyzed as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land and air logistics sectors. And the industries in which the added value inducement effect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ere analyzed as an industry related to the service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to foster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s a way to promote these industrie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of Gwangyang City. To this end, it is desirable to improve policies and system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Gwangyang port maritime cluster and provide various policy support for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Gwangyang C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gional economy of Gwangyang City based on the results of exogenous analysi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owever, It seems that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i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광양항 원료부두 7선석 해상교통안전 진단 사례 소개

  • Kim, Jong-Gwan;Lee, D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4-376
    • /
    • 2012
  • 항만개발 등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광양항 원료부두 7선석 해상교통안전진단 사례 소개를 통하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해상교통안전 진단 방법을 소개하고,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광양항 개발에 따른 해양환경의 변화

  • 박일흠;이문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77-178
    • /
    • 2000
  • 파랑의 내습에 대하여 안전하고 공업용수가 풍부한 내만에 위치한 광양만은 급격한 경제개발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항만 및 산업단지의 조성을 위한 매립 및 준설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산어장의 면적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으며 아울러 수질이 악화일로에 있다(Lee et al., 1998). 해양수산부(1998)에 의하면 광양항을 동북아 중심항만의 기능으로서 창출하기 휘하여 1997년 현재 접안시설 규모는 총선석 52선석, 총연장 11,348m이지만, 광양항 개발에 따른 추가 시설계획 선석은 2006년에는 40선석, 2011년에는 51선석, 연장으로는 2006년까지 8,590m 그리고 2011년까지 12,100m로 계획되어있다.(중략)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광양만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 후기자어의 먹이생물과 선택성

  • 차성식;박광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61-562
    • /
    • 2001
  •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는 우리 나라의 연안에서 어획되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며, 광양만에서는 여름철에 출현하는 자치어 중 중요한 어종이다(Cha and Park,1994). 최근에 보구치에 대하여 분포(Baik et al.,1999)를 비롯하여 성장과 성숙 (Song,1988; Kwon et al.,1999), 산란(Song,1988; Kang et al.,1999), 자원량과 자원관리방안(Zhang et al.,1999a, b)과 같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초기 생활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략)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the Sediments of Kwangyang Bay in Korea (광양만 연안 퇴적토 중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의 분포특성)

  • Chung, Hung-Ho;Jeong, Ho-Seung;Choi, Sang-W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7 no.2
    • /
    • pp.210-216
    • /
    • 2006
  • The concentrations of 16 priority PAHs (US EPA standard) were analyzed in the surface sediments obtained from 23 sampling sites near Kwangyang Bay in Korea. There was a local variability in the total PAHs ranged from 0.01 to 171.39 mg/kg, with a mean value of $8.13{\pm}24.8mg/kg$. The major pollution sources of PAHs near Kwanyang Bay were Taeindo, Sueo stream and Wallae stream, whose concentrations were 114.81, 38.37 mg/kg and 19.05 mg/kg, respectively. It showed that PAHs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particle size and with the increase of organic carbon contents in three fractioned sediments. From the analysis of PAHs source using LMW/HMW, Phe/Ant, and Fla/Pyr, pyrolysis by-products were mostly showed in Kwangyang Bay and some place showed the mixure of pyrolysis by-products, and crude oil by-products. Besides, the toxic effects assessment on benthic ecosystem for three major pollution sources showed that the PAHs concentration of Taindo which was mainly accumulated with carcinogenic PAHs exceeds ERM value and the PAHs of Sueo and Wallae streams are the degree of ERL value.

동서 광역개발 협력체계구축 방안 - 광양만, 진주권 개발을 중심으로 -

  • Mun, Deok-Hy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59-79
    • /
    • 1998
  •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는 강 하나를 사이에 둔 아주 가까운 이웃이며, 주민생활권이나 지역경제권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다.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와 보유자원의 여러 측면에서도 상로 본완적 성격을 갖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대승적 차원에서 볼 때 국토의 균형박전을 도모하고 진정한 동서화합을 위해 상로연계성을 갖고 있는 광양만, 진주권 광역새발을 공동으로 추진하여 동시화합의 대전기를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동서지역의 광역개발 필요성을 요약하면, 첫째, 최근 일정지역의 행정구역을 넘어서 인구와 물자 및 자원의 이용이 활발하게 이러나고 있어 통합적 계획 및 집행이 요구된고 있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개발은 2개도에 걸쳐 광역개발권역을 설정한 우리나라 최초의 시범적인 계획으로써 세계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신산업지대의 조성과 연계교통망의 구축이 요망된다. 셋째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에 대응한 지방거점 도시권의 육성이 팽배하며, 넷째, 중북투자를 피하고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극대화하여 진정한 동서화합에 대한 시대적 여청이 증대되고 있는 시절이다. 따라서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의 기본구상은 우선 경제적 물리적통합으로 실절적인 동서이익을 보색하는 차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함을 국제물류의 중심지로 확충하고 주변지역에 대규모 물류 유통 및 국제기능을 유치하여 국제적 교류거점으로서의 기반 조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또한 국제관광벨트 및 신산업지대의 형성과 함께 세계화 고속화에 걸맞는 교통기반시설을 정비하는 한편 자연친화적인 개발전략을 이룩함으로써 지구촌 경제하에시 지역균형개발과 지역의 국제경쟁역 확보차원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나아가 과양만권과 진주권의 경제 사회적인 통합을 달성함으로써 국민적 염원인 동서화합의 장으로 승화 발전 시킬 수 있도록 공간구조 및 기능의 분담배분이 요구된다. 기능은 동시지역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기능 분담으로 과양만은 생산 및 물류지원기능의 강화와 전주 사천권은 첨단산업 연구 및 지원기능의 강화차원에서 배분이 요구된다. 이러한 광역개발계획이 세계적으로 추진될 때에 진정한 동서화합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도서화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광역개발을 실펀하기 위한 제도적인 협력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동서지역의 광영개발을 위한 협력체계의 구축 방안은 첫째, 양 지역간에 협약제도르 도입함으로써 광역개발의 집행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즉, 개별 개발사업별로는 협약이 체결됨으로써 자치단체간의 역활분담이 분명하고 여차별 예산의 확보는 물론 사업시행이 구체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는 양 자치단체간의 광역행정을 진담하는 기구의 절차가 필요한다. 광역개발 계획 추진 뿐만아니라 실질적으로 양권역이 공존공영을 위해 필요한 사업들을 추진 할 수 있도록 협의회 기능을 보완한 새로운 전담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광양만 진주권 광역개발 계획은 동서지역의 화합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동서지역간의 진정한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제주도개발 특별법과 같은 �G동서지역개발 특별법�H을 제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 하여야 한다. 지역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자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PDF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 최동림;현상민;이태희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1
    • /
    • pp.35-43
    • /
    • 2003
  •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s of Gwangyang Bay are studied based on bathymetric maps, surface sediments, and seismic profiles. As a result of the reclamation of coastal area for an industrial complex construction, the coastline of Gwangyang Bay has rapidly been changed and the area of it has now been reduced by about 25 % in the last 30 years. In addition, the bottom topography is actively modified by dredging for navigation channels. In surfical sediment distributio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is dominated by mud facies, whereas the eastern part of the Bay is dominated by sand-mud mixing facies. Depositional sequences above the basement are divided into two units: Unit I in upper layer and Unit II in lower one. These depositional units are unconformably bounded by middle reflector-M. Unit II, mostly occupying the channel areas, is interpreted as fluvial-origin deposits during sea-level lowstand. Unit I typically shows a progradational pattern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to the Yeosu Strait, which is interpreted as deltaic deposits supplied from the Seomjin River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highstand. The shallow gas within the sediments Is widely distributed in most area, and locally exposed onto the sea-bed due to dred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