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양

Search Result 98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광양항 항로 상 선박충돌사건에 대한 고찰

  • Jeong, Dae-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66-368
    • /
    • 2015
  • 광양항은 4개의 항로가 설정되어 있다. 광양항 제1항로는 광양항 항계에서 "해사안전법" 제10조에 따른 교통안전특정해역(여수구역)과 연결되어 있고, 낙포각 사포부두(원유부두 북측) 전면 해상에서 광양항 제2항로와 광양항 제3항로 및 제4항로가 분기 합류된다. 이 글은 광양항 제1항로에서 제2항로로 진입하고 있던 선박과 광양항 제3항로에서 제1항로로 진입하고 있던 선박 사이에 발생한 충돌사건의 개요와 원인을 살펴보고, 개항내 항로가 분기 합류되는 수역에서 합의항법이 적용될 수 있는 점과 현행 광양항 항로의 재배치 필요성, 여수지방해양항만청 고시로 규정하고 있는 광양항내 안전한 속력을 광양항에 입출항하는 모든 선장 및 항해사가 알 수 있도록 해도 및 "Guide to Port Entry"에 반영할 것, 그리고 VTS관제사가 광양항에 입출항하는 선박이 안전한 속력을 준수하도록 권고 또는 지시 필요성 등의 교훈 및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PDF

Tidal current and river plu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Kwangyang Bay (광양만 개발 전·후 조류 및 하천유출류 변동 특성)

  • Kim, Cha Ky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2-102
    • /
    • 2021
  • 광양만의 해수교환은 주로 여수해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만의 동측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으로의 해수교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만의 북측에는 섬진강을 끼고 있다. 광양항 건설 전 만내의 수심은 약 10 m 이내로 얕았으며, 만의 입구인 여수해만과 노량수로에서의 수심은 약 20 m 이상이었다. 광양만은 1982년 광양제철소의 건설을 시점으로 하여 광양항의 확장 개발, 폐기물처리장 건설 등으로 인한 매립이 진행되었다. 특히, 섬진강 하구는 광양만 개발 전에는 넓은 조간대 퇴적층의 발달로 다양한 생태계환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광양항 건설 및 하구에서 모래 준설 등으로 인해 근래에 와서는 해수의 역류가 심각한 상태이다. 1982년 광양제철소 건설이후 계속적으로 광양만을 개발함으로써 해양환경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 개발 전·후의 조석 및 해수유동의 변화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조석 및 조류에 대한 현장관측과 3차원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한 후 남해도를 둘러싸고 있는 광양만, 진주만 등의 조석 및 조류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광양만 개발 전·후의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김 등(1999)에 의해 개발된 3차원 layer·level 혼성 해수유동 모델을 광양만, 진주만을 포함하는 남해도 주변해역에 적용하여 30일간의 수치계산결과를 이용하여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모델에서 격자간격은 동서-남북방향 동일하게 200 m, 시간간격은 20 sec, 계산영역은 동서방향으로 52 km, 남북방향으로 65 km인 260×325 격자체계로 구성 운영하였다. 외해 개방경계에서 조위는 수로국에서 관측한 조위와 본 연구에서 관측한 조위를 보간하여 사용하였다. 광양만 개발전·후의 조류의 변동특성을 수치해석한 결과 여수해만에서는 광만만 개발전이 개발 후보다 유속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노량수로에서는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훨씬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로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조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여수해만에서는 유속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노량수로에서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증가한 것은 여수해만을 통해 유입한 해수가 개발 후에는 광양만의 해수면적 감소로 광양만의 서측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감소한 반면에 광양만의 북측(섬진강 하구) 또는 동측(노량수로)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Real-time Tidal Prediction for the Kwangrang Bay by Rapid Estimation Method (신속추정법에 의한 광양만 조석의 실시간 예보체계)

  • 최병호;고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60-165
    • /
    • 1993
  • 1980년 중반에 완공된 광양 제철소의 철광석 운반하역을 위한 광양항에는 25만톤급 광석 운반선이 출입하고 있으며 광양만 내역에는 광양콘테이너 부두가 건설중에 있고 호유부두, 원료 및 CTS부두, 중흥부두등에 많은 대형선박들이 빈번히 출입하고 있어 여수 해만 입구로 부터 광양만 내역에 이른 접근 수로에 대한 신뢰성 있는 조석 예보가 실시간적으로 제공되어야할 필요가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Population Change of Region and Location of Gwangyang Works of POSCO: 1981~2001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의 인구변화: 1980∼2001)

  • 이정록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1
    • /
    • pp.83-96
    • /
    • 2004
  • Location of firms and construction of new industrial complex generally have an effect on the population change of reg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population change of Gwangyang city,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 of new firm, Gwangyang Works of POSCO, and population change of region. The first construction of Gwangyang Works of POSCO was finished in 1987. The number of population of Gwangyang city increased from 78,478 individuals of 1981 to 138,468 individuals of 2001, and the number of household also increased from 14,917 household of 1981 to 43,176 household of 2001 with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Gwangyang Works of POSCO. The growth of population was greatly revealed during the period of 1987 through 1991 with social increase of pouplation transferred into Gwangyang city from another area. This period related with the completion of Gwangyang Works of POSCO. In addition, population increase was mainly appeared in Eastern Gwangyang area, neighboring area to Gwangyang Works 13,211 peoples of 1981 to 74,956 peoples of 2001. Therefore, it is clear that location of Gwangyang Works of POSC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growth of Gwangyang city since 1981.

  • PDF

자랑스런 안전인 - 광양제철소는 안전(安全)과 함께 오늘도 뜨겁게 타오른다 -광양제철소 김성철 안전팀 파트장

  • Hyeon, Cheon-Il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6
    • /
    • pp.18-19
    • /
    • 2012
  • 우리나라 해양경영의 요충지인 광양만. 이곳에는 광양제철소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제철소가 자리 잡고 있다. 광양국가산업단지의 중심업체인 광양제철소는 자동차 강판 및 에너지용 강재 전문 제철소로 직원 1만 7천여 명이 1년 365일 밤낮없이 용광로의 불꽃을 지키고 있다. 광양제철소는 (주)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이 포항제철소에 이어 건설한 제2제철소다. 1985년 연간 270만 톤의 조강능력을 갖춘 1기 설비 건설에 착공하여 1992년 종합 준공하였으며, 그 이후 1999년 3월에는 5고로를 준공했다. 그 외에 2005년 LNG 터미널 준공 2006년 TWB 공장 준공, 2008년 자동차강반기술센터 준공 등을 거치면서, 지난해 세계 1위의 후판 생산업체로 도약했다. 광양제철소는 단일 제철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600만 평의 부지에 조강 생산량은 연간 1,950만 톤(2010년 기준)에 달한다.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올해에는 2,300만 톤의 목표를 달성해, 세계적인 제철소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져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처럼 무한한 철강의 꿈을 인류와 함께 실현해나가고 있는 광양제출은 산업안전 분야에서도 명성이 높다. 세계적 기업답게 선진 안전관리가 펼쳐지고 있는 것. 그 중심에는 제철소 현장의 전반적인 안전을 담당하는 김성철 안전팀 파트장이 있다.

  • PDF

Spatial Structure Change of Triangle-Cities in Gwangyang Bay Region: From Central Place Structure to Network City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 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1
    • /
    • pp.93-10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of Gwangyang Bay Region on the change of urban system and spatial structure between triangle-cities located in Gwangyang Bay, Yeosu City, Suncheon City, and Gwangyang City, one of the famous industrial zones in Korea.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Gwangyang Bay Region such as construction of the Second Oil Refinery in the mid-1960s, completion of the POSCO Gwangyang Steelworks in the mid-1980s, construction of the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in 1987 and designation of the Gwangyang Bay Area Free Economic Zone in 2003, and EXPO 2012 Yeosu Korea, affected to changes of the urban system and spatial structure between triangle-cities in Gwangyang Bay Region. The above four-development projects transformed the urban and spatial structures between the three cities in the Gwangyang Bay Region from a mononuclear urban system centered on Suncheon to a network city system. Historically, Suncheon has served as an exclusive center in the eastern region of Jeonnam, including the Gwangyang Bay Region. However, the hosting of the 2012 Yeosu Expo Korea is reorganizing the three cities into a network-type spatial structure with the strengthening of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in the region.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Projects of Gwangyang port to Develop Industrial Core Port (산업중핵항만으로 발전하기 위한 광양항의 과제)

  • Lee, Tae-Hwee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8 no.2
    • /
    • pp.1-10
    • /
    • 2022
  • Looking at the cargo trend of Gwangyang port (GWP) during past decade, petrochemical items grew by 26% and steel item grew by 12%, but container cargo just grew by 4%. Thus, Yeosu-Gwangyang Port Authority (YGPA) sets the port development initiative targeting at industrial core port considering GWP's strength as multi function port and industrial port and GWP's weakness as lower container cargo growth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posing the projects about the GWP's industrial core port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a prerequisite for development as an industrial core port, it was suggested to form a consensus on the modification or change of the port performance index of univariate port cargo volume. The following three tasks were presented for GWP to develop as an industrial core port. It can be said that it is most necessary to derive, manage, and monitor GWP industrial core performance indicators. Nex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industrial support in port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added value of the port area of GWP hinterland.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평가

  • 최진우;이우진;유옥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81-106
    • /
    • 2002
  •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 (44.8 %), Lumbrineris longifolia (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 단각류의 Corophium sinense (4.5 %),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3.6 %), Sigambra tentaculata (1.7 %)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군집분석결과 7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양만의 서부해역은 종조성이 다양한 군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저서오염지수(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에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적인 상태에 있었지만, 광양만 입구지역에서는 유기물오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었다.

  • PDF

광양만 수질 및 표층퇴적물의 환경특성

  • 이충일;곽영세;유종수;최만영;김대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02-203
    • /
    • 2000
  • 광양만은 여천산업단지, 광양제철소, 광양콘테이너부두, 하동화력 등 국가기간 시설이 밀집되어있고, 여러 도시로 둘러 쌓여 있는 반폐쇄적 내만으로 해양생태학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역중의 한곳이다. 광양만은 1982년 10월 연안오염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이후 많은 조사가 수행되었고, 앞으로 대단위 연안 매립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안환경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박 등, 1984; 윤과 박, 1992; 여수대학교, 1997; 환경부, 1998; 수산진흥원, 1999), 본 연구는 광양만 수질 및 해양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광양만권역 종합오염도 평가 및 해양생태계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