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 내시경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33초

비글견에서 캡슐 내시경의 위장관 이동분석 평가 (Assessment on Gastrointestinal Transit Movement of Capsule Endoscopy in Beagle Dogs)

  • 장화석;양희택;김상영;우동철;박우대;용준환;최보영;김휘율;최치봉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2호
    • /
    • pp.125-130
    • /
    • 2008
  • 수의 임상에서 캡슐 내시경(capsule endoscopy, CE)의 사용에 기본적인 기준과 유용성을 정립하기 위하여 정상 중형견($7{\sim}13\;kg$)에서 캡슐의 위 통과시간(gastric transit time, GTT), 작은창자 통과시간(small intestinal transit time, SITT), 완전통과율(complete transit time, CTT)을 측정하고 통과율을 분석하였다. 1군(capsule 투여), 2군(capsule+water 투여), 3군(metoclopramide+capsule 투여) 그리고 (metoclopramide+capsule+water 투여)의 총 4군으로 나누어 방사선 촬영을 통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GTT는 평균 $45{\sim}20\;min$ (group 1), $117{\pm}35\;min$ (group 2), $150{\pm}40\;min$ (group 3), $154{\pm}65\;min$ (group 4)였으며 SITT는 평균 $75{\pm}20\;min$ (group 1), $195{\pm}55\;min$ (group 2), $75{\pm}15\;min$(group 3), $76{\pm}15\;min$ (group 4)로 나타났다. 완전통과율(complete passage rate)은 각각 20% (group 1), 40%, (group 2), 20% (group 3), 50% (group 4)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캡슐이 유문부를 통과하기만 하면 내시경 캡슐 배터리 수명인 8시간 이내로 위장관을 모두 통과하였으며 물을 위내로 투여한 후 volume의 증가에 의한 위 운동성의 증가는 캡슐의 유문부 통과에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metoclopramide의 투여는 유문부의 통과와 SITT의 시간에 대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간 이식 소아에서 발생한 이식 후 림프 증식 질환: 단일 기관에서의 21년 경험 (Posttransplantati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Pediatric Patients: Report from a Single-center Over 21 Years)

  • 이정화;고재성;서정기;이남준;서경석;이건욱;강경훈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99-206
    • /
    • 2009
  • 목 적: 간 이식 소아에서 발생한 PTLD의 경험을 통해 발현 양상, 발병 위험 인자, 진단 방법, 치료 및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방 법: 198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간 이식을 받은 소아 148명 중 PTLD로 진단된 8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이식당시 나이, 이식 후 PTLD 증상이 나타날 때 까지의 기간, 임상적 증상, 조직학적 소견, EBV 검사 결과, 치료 및 경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간 이식 후 PTLD의 유병률은 5.4%였고, 발생시기는 조기 PTLD가 6명(75%), 후기 PTLD가 2명(25%)이었다. 대상 환아의 간 이식 당시 나이는 평균8.1${\pm}$4.4개월로, 12개월 미만이 7명(87.5%), 12개월 이후가 1명(12.5%)이었다. PTLD 진단 시 주증상은 발열, 설사, 혈변이었고 모두 장이나 장간막 림프절 침범이 있었다. 3명은 개복 수술로 5명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이나 대장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로 진단되었다. 조직학적 진단은 early lesion이 3명, polymorphic PTLD 2명, monomorphic PTLD 1명, Burkitt 림프종 1명, B 세포 림프종이 1명이었다. EBV는 7명에서 양성을 보였다. 치료는 전례에서 1차 치료로 면역억제제를 중지하고 항바이러스제(ganciclovir)를 투여 하였다. 4명의 환아들에서 rituximab을 추가하였고 Burkitt 림프종과 B 세포림프종으로 진단된 환아들은 각각 항암 치료를 병행하였다. B 세포 림프종으로 진단되어 치료 중에 패혈증으로 1명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7명은 호전되었다. 결 론: 1세 미만에 간 이식을 받은 경우가 PTLD 발생의 주요한 위험 인자였으며, EBV viral load의 지속적인 감시와 위장관 내시경을 통한 조직 검사가 PTLD 조기진단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Cowden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캔디다 식도염 1예 (Candida Esophagitis in a Patient with Cowden's Syndrome: A Case Report)

  • 강경지;윤혜정;류성렬;류남희;강유나;황진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1호
    • /
    • pp.46-50
    • /
    • 2009
  • Cowden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추적 관찰 중인 21세 여자에서 위장관 용종의 정기적 관찰을 위하여 시행한 내시경 검사 중 캔디다 식도염이 발견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면역학적 이상, 진균 식도 감염의 선행 질환, 투약의 병력이 없었고, 뚜렷한 식도 감염의 임상 증상도 없었다.

  • PDF

소아에서 반복성 복통을 동반한 위 아니사키스증 1례 (A Case of Gastric Anisakiasis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in a Child)

  • 권재훈;엄지현;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74-77
    • /
    • 2004
  • 저자들은 내원 2개월 전 붕장어 회를 먹은 후 하루에 수차례 나타나는 반복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10년 1개월 된 여아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된 위아니사키스증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와부 복통으로 내원한 5세 소아에서의 위 선근종 1례 (A Case of Adenomyoma of the Stomach in a Child Presenting Epigastric Pain)

  • 허미영;정지아;최금자;성순희;서정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9-103
    • /
    • 2001
  • 심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5세여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위유문동에서 중심요와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주름을 관찰하였다. 복통이 계속되어 이소성췌장으로 생각하고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위 선근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딥러닝 기반 상부위장관 내시경 이미지 자동분류의 데이터 구성별 성능 분석 연구 (Performance analysis of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classification of upper endoscopic images according to data construction)

  • 서정민;임상헌;김영재;정준원;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51-460
    • /
    • 2022
  • Recently, several deep learning studies have been reported to automatically identify the location of diagnostic devices using endoscopic data.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design to determine whe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set resulted in differences in the accuracy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perform image classification. Studies that are based on large amounts of data are likely to ha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dataset or its proportion.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determine the existence and extent of accuracy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dataset by compiling it into three main types using larynx, esophagus, gastroscopy, and laryngeal endoscopy images.

단일병원에서 관찰한 최근 10년간의 소아 우발사고에 관한 연구 : 이물흡인을 중심으로 (Clinical Study of Childhood Accidents from a Hospital Over Ten Years with Regard to Foreign Body Aspiration)

  • 김철민;송준영;김자형;김기수;홍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134-1140
    • /
    • 2002
  • 목 적: 소아에서 우발사고는 경제 및 문화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생활의 기계화와 자동화에 의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소아기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응급실을 방문한 우발사고 환아들을 대상으로 상부 위장관이나 기도내 이물흡인과 중독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소아 우발사고의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만 10년간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만 15세 미만의 외상, 추락, 화상, 이물흡인 및 중독 환아 64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고의 유형별 분석 및 이물질의 종류, 성과 연령, 위치, 치료 방법에 대하여 병원의 입원기록지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사고의 유형별 분포를 보면 외상환아가 5,038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추락 803례, 화상 353례, 이물 흡인 188례, 중독 28례의 순으로 발생하였고, 남녀비는 1.8 : 1이었다. 2) 이물흡인의 경우 총 188례 중 남녀비는 2 : 1이었으며, 연령별 발생 분포는 6세 이하가 169례(89%)로 가장 많았고 특히 1-2세가 57례(30%)로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중독의 경우 남녀비는 1.3 : 1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2세가 12례(42%)로 가장 많았고 1세 이하에서 6례(21%), 6세 이상에서 6례(21%)가 관찰되었다. 3) 이물흡인의 위치는 상부 위장관이 112례(5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호흡기관 57례(30%), 외이도가 15례(7%) 순이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식도가 69례(61%)로 가장 많았고 위가 43례(38%)를 보였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우측 및 좌측 주 기관지가 각각 27례(47%)로 동일한 분포를 보였다. 4) 이물의 종류를 보면 상부 위장관의 경우 동전이 65례(58%)로 가장 많았고, 핀이 12례(10.7%), 장난감 및 열쇠가 각각 6례(5.3%), 반지 및 바둑알이 각각 5례(4.5%)였으며, 기도내 이물의 경우 땅콩이 36례(63%)로 가장 많았고, 장난감 부속품이 11례(19%)였다. 5) 이물흡인의 치료 방법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경우 경성 식도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60례(54%), 굴곡성 내시경으로 제거된 경우가 29례(26%), 수술을 받은 경우가 7례(6%)였으며, 16례(14%)는 자연 배출되었다. 식도내 이물과 위내 이물 중 핀과 같은 날카로운 경우 진단 즉시 내시경으로 제거하였고, 위내 이물 43례 중 20례는 진단 후 24시간 이내에 제거하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시 시행한 단순 복부 방사선사진에서 위내 이물이 십이지장을 지난 23례 중 16례(70%)는 2주 이내에 모두 합병증이 없이 자연 배출되었고, 7례(30%)는 장폐쇄 증상 등이 동반되어 수술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수술 후 합병증은 동반되지 않았다. 기도내 이물의 경우 51례에서 경성 기관지내시경으로 제거되었으나 6례에서는 이미 심한 질식과 뇌손상으로 사망하였다. 6) 중독의 원인별 분포를 보면 약물이 원인인 경우가 14례(50%)였고, 그 중에서 경련성 질환을 가진 환아에서 Carbamazepine이 5례(18%), Valproic acid가 4례(14%)였다. 결 론: 지난 10년간 우발사고의 원인으로 외상이 가장 많았고, 추락, 화상, 이물흡인 그리고 중독의 순이었다. 최근에 이물흡인과 중독이 영유아에서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도내 이물흡인의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기 때문에 기도 유지를 위한 적절한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최근 18년간 한국 소아 Helicobacter pylori 유병률의 변화: 기능성 반복성 복통 소아에서 연도별 내시경 진단 양성률의 감소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Biopsy-prove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with Functional Recurrent Abdominal Pain Over the Last 18 Years)

  • 이소연;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50-155
    • /
    • 2009
  • 목 적: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 유병률은 사회 경제적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 우리나라가 경제적 성장을 이루면서 H. pylori 유병률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소아를 대상으로 한 보고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능성 반복성 복통 환아를 대상으로 지난 18년간의 H. pylori 유병률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1년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반복성 복통으로 서울대병원을 찾은 1,194명(남아 499명, 여아 695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나이는 9.2${\pm}$3.1세였다. 모든 환아들은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 받았으며 CLO test로 H. pylori 감염을 판단하였다. 지난 18년간 H. pylori 감염률의 변화와 성별, 연령에 따른 감염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반복성 복통 환아의 H. pylori 감염률은 1991~1993년 25.1%, 1994~1996년 23.1%, 1997~1999년 19.3%, 2000~2002년 16.1%, 2003~2005년 11.3%, 2006~2008년 10.8%로 지난 18년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성별, 연령과 상관없이 모두 감소하였다. 결 론: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지난 18년간 H. pylori 감염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사회 경제적 발전에 의한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소아에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삼제 병합 요법의 치료기간별 Helicobacter pylori 제균율 (Effect of One- or Two-Week Triple Therapy with Omeprazole, Amoxicillin, and Clarithromycin on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 최인경;이승연;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19-25
    • /
    • 2002
  • 목적: H. pylori에 대한 제균요법은 제균 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환자의 순응도와 경제성 등의 기준에 따라 약제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PPI제제가 포함된 삼제 병합요법은 성인에서 H. pylori 감염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소아에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OAC) 삼제병합 요법의 H. pylori 제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OAC 삼제 병합요법을 1주 및 2주 투여군으로 나누어 그 제균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상부위장관 증세로 내원하여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받고, 생검조직의 CLO검사와 H&E염색 또는 Alcian yellow 염색에서 H. pylori 감염으로 진단받은 후 omeprazole (0.7 mg/kg/day), amoxicillin (50 mg/kg/day), clarithromycin (25 mg/kg/day)을 투여한 34례를 1주 투여한 군과 2주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서 H. pylori 제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H. pylori 제균은 투약종료 4주 후에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얻은 생검조직의 CLO검사와 H&E 또는 Alcian yellow 염색에서 모두 음성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환아 34례 중 1주 투여한 군이 21명, 2주 투여한 군이 13명이었으며, 1주 투여한 군의 평균 연령은 $9.5{\pm}3.0$세, 남녀 비는 남자 11명, 여자 10명이었고, 2주 투여한 군의 평균 연령은 $9.9{\pm}4.0$세였고, 남녀 비는 남자 4명, 여자 9명이었으며, 내시경 진단은 결절성 위염이 19례(52.9%)로 가장 많았으며, 표재성 위염이 7례(20.6%), 소화성궤양이 4례(11.8%), 자반성 십이지장염이 2례 (5.9%)였고, 정상소견이 2례(5.9%)였다. 총 34례 중 28례(82.4%)에서 H. pylori가 제균되었는데, OAC를 1주 투여한 군에서는 21례 중 17례(81.0%), 2주 투여한 군에서는 13례 중 11례(84.6%)가 제균되었다. 제균되지 않은 6례에서는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Denol^{(R)}$), metronidazole 등을 추가하여 치료하였으나 H. pylori는 제균되지 않았고, 그 후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상부위장관 증세를 가진 H. pylori 감염 환아에 대한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삼제 병합 요법의 제균율은 82.4%로 성인에서의 85~95%와 유사하여, 일차치료로서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치료기간별 H. pylori 제균율은 1주 투여한 군에서 81.0%, 2주 투여한 군에서 84.6%로 두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785).

  • PDF

맥파 모델링을 통한 만성위염 분류 기법 (Classification method of chronic gastritis by modeling of pulse signal)

  • 최상호;신기영;신지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44-151
    • /
    • 2012
  • 한국에서 만성위염은 10명당 한 명 꼴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서양의학에서는 만성위염을 진단하기 위해서 내시경 조사를 하지만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전통한방의학에 따르면, 오른쪽 손목의 '관' 위치는 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오른쪽 손목의 '관' 위치의 맥파를 측정하면 만성위염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맥진은 한의사들의 지식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맥파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처음에 맥파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그 다음 맥파에 가우시안 모델을 적용시킨 후, 맥파의 주요 인자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t-검증과 통계적 차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민감한 파라미터들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선택한 파라미터들은 분류를 위해서 Fuzzy C-Means (FCM) 알고리즘에 입력된다. 분류 결과 건강한 사람은 95% 만성위염 환자는 87%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