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종양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4초

대퇴부 지방육종 수술 후 발생한 반대측 근위 경골의 유잉육종/원시 신경 외배엽 세포종 (Double Primary Presentation of Liposarcoma and Ewing's Sarcoma: A Case Report)

  • 박형원;정성택;나선윤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99
    • /
    • 2011
  • 악성 연부조직 종양 수술 후 이시성(metachronous)으로 발생하는 악성 골졸양은 매우 드물다. 이시성 종양은 두 경부 또는 복부에 주로 발생하며, 사지에 발생하는 경우는 더욱더 드물다. 저자들은 48세 남자환자에서 근위 대퇴부 악성 지방 육종의 광범위 변연 절제술 후 발생한 근위 경골 유잉육종/원시 신경 외배엽 세포종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육종 환자들에게서는 이와 같이 이차적으로 악성 종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추시 기간 동안 잠복 종양(occult tumor)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겠다.

제 1족지에 발생한 섬유골성 가종양: 1예 보고 (Fibro-osseous Pseudotumor of the Great Toe: A Case Report)

  • 송우석;최준철;김학수;한은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1-94
    • /
    • 2010
  • 섬유골성 가종양(fibro-ossous pseudotumor)은 빠르게 성장하면서 동통을 유발하는 매우 드문 양성 병변이다. 이 병변은 악성으로 오인되기도 하지만 국소절제술만으로 치료가 되는 비침습형 질환으로, 주로 수부에 발생한다. 제 1족지 원위 지골의 종물과 동통으로 내원한 20세 여자 환자에서 발생한 섬유골성 가종양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경골 근위부에 발생한 거대세포형 골육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Rich Osteosarcoma of the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김정렬;장규윤;이상용;손경락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0
    • /
    • 2006
  • 거대세포형 골육종은 드문 종양으로 거대세포종과의 구분이 어렵다. 이들 종양은 발생 부위 및 방사선학적 소견이 동일하다. 또한 이들 종양의 조직학적 소견도 구분이 어렵다. 이들 두 종양의 서로 다른 예후와 치료 방법 때문에 처음 진단시 반드시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한다. 본 논문은 처음 진단 당시 침생검에 의해 거대세포종으로 진단되었던 경골 근위부의 거대세포형 골육종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슬와 낭종을 형성한 슬관절의 미만성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 1례 보고 -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Knee Presenting as a Popliteal Cyst - One case report -)

  • 김명구;고석면;오인석;김려섭;신진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0
    • /
    • 1999
  •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은 슬관절에 호발하고 슬와부로 팽창되는 경우는 드물며 이 경우 베이커씨 낭종이나 악성 종양으로 오진될 수도 있다. 저자들은 슬와부로 팽창되어 낭종을 형성한 미만성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을 관절경적 활액막 전 절제술과 낭종 제거술로 치료하였고 1년 이상의 추시 기간상 재발이 안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거골에 발생한 골육종 - 증례 보고 - (Osteosarcoma of the Talus - Case Report -)

  • 김병석;임호영;조재현;김태홍;이기범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0-95
    • /
    • 2002
  • 42세 남자 환자가 우측 족관절부에 4개월 동안 증가하는 동통 및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 및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상 우측 거골 경부의 골내부 및 피질골 파괴소견을 보였다. 병리소견은 고악성도의 골형성 골육종이었다. 두 사이클의 수술전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족관절부의 종괴는 커졌고 폐전이로 진행되었다. 원발 병소에 대하여 슬관절하 절단, 폐전이에 대하여 쐐기모양 폐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수술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술후 10개월에 폐전이로 환자는 사망하였다.

  • PDF

근위 상완골 종양 치료 실패 후 역 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구제술 (Salvage with 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 after the Failure of Proximal Humeral Tumor Treatment)

  • 전대근;조완형;김범석;박환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05-512
    • /
    • 2018
  • 목적: 상완골 근위부 절제 후 다양한 재건술이 시도되었으나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도입으로 기능적 결과의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광범위한 골결손을 동반한 경우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와 비수술적 치료 실패 후 지연 재건하면 기능회복의 정도가 어떤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근위부 재건술 후 실패한 11예는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을, 비수술적 치료가 실패한 6예는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후 기능적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합병증을 기술하였다. 결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과 동종골 조합술로 일차 수술이 실패한 11예 전부에서 안정된 재건술이 가능하였으며 수술 전 주 증상도 해소되었다. 골 접합부 평균 골유합 기간은 5.5개월이었다. 수술 전, 후 근골격계 기능 점수는 평균 20.3점에서 25.7점으로 증가하였다. 일차 수술 후 4년 이내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로 치환한 6예 중 4예에서 $90^{\circ}$ 이상의 상지 거상이 가능하였으며, 일차 수술 후 4년 이후에 수술한 5예는 견관절의 안정성은 얻었으나 전부 $90^{\circ}$ 이상 거상이 불가능하였다. 합병증은 관절탈구와 무균성 감염이 각각 1예로 폴리에틸렌 교체와 반흔 조직 절제술로 치료하였다. 비수술적 치료 실패로 지연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한 6예에서 기능평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전 예에서 상지의 $90^{\circ}$ 이상 거상은 불가능하였다. 결론: 중첩 동종골과 역 견관절 전치환술의 조합술은 대량의 상완골 골결손이 발생한 환자에서 간단하고 합병증이 적은 골질 회복방법으로 생각된다. 진단 시 근위 상완골 전 절제가 필요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는 조기에 역 견관절 전치환술을 하는 것이 기능유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악성 골 및 연부조직 종양에서 $^{18}F$-FDG PET/CT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s of $^{18}F$-FDG PET/CT in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Tumors)

  • 신덕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4
    • /
    • 2008
  • $^{18}F$-FDG PET/CT는 해부학적 영상과 함께 생리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영상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진단적 영상검사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고, 근골격계 종양을 평가하는데 새롭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등장 하였다. 최근 PET/CT는 골 전이를 찾는데, 골 연부조직 종양의 시기 결정 및 재시기 결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에 대한 평가와 치료 후 추시에서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를 찾아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향후 근골격계 종양에 대한 PET/CT의 연구 자료가 축적되고, 발전된다면 초기 진단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은 근골격계 종양의 평가를 위한 $^{18}F$-FDG PET/CT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사지에 발생한 거대 지방육종 (A Case of Huge Liposarcoma in Thigh)

  • 강신택;황태혁;박범석;김대중;신향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2-197
    • /
    • 2008
  • 지방육종은 연부 조직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지에서 발생할 경우 근위부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67세 남자의 좌측 대퇴부의 거대 지방육종을 변연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하였다.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종양은 변연절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적출 하였으며, 종양적출 후 6개월간 재발하지 않았다. 환자의 신장은 153 cm이며, 체중은 43 kg인데 반하여 종양은 $34{\times}20{\times}9\;cm$, 2.82 kg이였다.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비하여 종양은 매우 거대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잘 분화된 지방육종(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으로 판명되었다. 저자들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크기에 관련된 증례가 많지 않고 이에 따른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변연절제를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한 잘 분화된 거대지방육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전완부의 점액섬유육종과 직장의 선암이 동반된 동시성 다발성 원발성 종양 (Synchronous Double Primary Malignant Neoplasm Consisted of Myxofibrosarcoma of the Forearm and Adenocarcinoma of Rectum)

  • 정기연;전영수;한정수;최일헌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6-151
    • /
    • 2008
  • 근골격계와 소화기계에 동반된 다발성 원발성 종양은 매우 드물다. 52세 남자 환자에서 전완부의 점액섬유육종과 직장의 선암이 동반된 동시성 이중성 원발성종양이 발견되었다. 환자는 1년전부터 발생한 전완부의 통증 및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전완부의 병변은 조직학적으로 점액섬유육종으로 확진되었다. 전신적 검사상 결장경 검사에서 직장의 선암이 발견되었으며 CT 검사상 폐로의 전이와 심장내 종양이 발견되었다. 병리학적 확정진단 후에 전완부의 수술적 절제술과 술 전,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환자는 술 후 2달 후에 종양 색전에 의한 폐동맥혈전색전증으로 사망하였다. 저자들은 매우 드문 근골격계와 소화기계에 동반된 다발성 원발성 종양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저 악성도 연골 육종에서 발생한 미분화 연골육종 - 1례 보고 - (Dedifferentiated Chondrosarcoma from Low Grade Chondrosarcoma)

  • 박종훈;고한상;이수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18
    • /
    • 2005
  • 미분화 연골육종은 연골육종 중 가장 악성도가 높은 종양으로서, 연골육종의 약 10%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분화 연골 육종에 의해 발생된 악성종양은 방사선 및 화학요법에 반응을 하지 않아 광범위 종양 절제술만이 근치적 치료법이다. 본 연구는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저악성도 연골육종을 보존적으로 수술하고 추시 관찰 중, 골육종으로 미분화한 연골육종 1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