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내

검색결과 1,110건 처리시간 0.022초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과부 골절의 치료 (The Treatment of Tibial Condylar Fractures Using Arthroscopy)

  • 신동민;이상홍;유재원;이병호;하상호;나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37
    • /
    • 2000
  • 목적 : 경골 과부 골절 환자 전례를 대상으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골절 뿐만 아니라 동반된 연부 조직 병변에 대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여 관절경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경골 과부 골절 환자 31례를 대상으로 하여 전 례에서 관절경을 시행하여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보존적 요법 9례, 수술적 치료는 22례에서 시행 하였다. 저자들은 사고 원인, 분류,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 치료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Schatzker골절 분류상 제 1형이 15례$(18\%)$로 가장 많았으며, 동반된 관절내 병변 및 인대 손상은 총 21례$(67\%)$에서 관찰되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16례로 가장 많았고, 파열 형태로는 변연부 박리가 7례$(4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Schatzker I, II형에서 가장 많은 연부 조직 손상이 동반 되었으며 특히, 내측 측부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경골 과부 골절시 관절경 검사는 골절의 치료뿐만 아니라 관절내 병변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배드민턴 선수의 양측 슬개 내 추벽 증후군에 의한 대퇴골 내과의 거대 연골 결손 - 1례 보고 - (Badminton Player's Huge Cartilage Defect of Medial Femoral Condyle Due to Both Medial Patellar Plica Syndrome)

  • 문찬삼;노행기;김종민;김형규;홍성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3
    • /
    • 2009
  • 슬개골 추벽은 슬관절 형성이 시작되는 태생기 관절낭을 나누는 활막이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유물이다. 추벽은 위치에 따라 슬개 상, 슬개 내, 슬개 하, 슬개 외측 추벽으로 분류된다. 위치에 따른 4가지 형태의 추벽중 임상적으로 문제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것은 슬개 내측 추벽이다. 이러한 슬개 내측 추벽 증후군으로 인한 대퇴골 내과의 연골 연화증 및 연골 결손에 대한 문헌은 보고되어 있다.하지만 Outerbridge 분류 Grade III-IV, $2{\times}1.5cm$ 크기 이상의 양측성 거대 연골 결손에 대한 문헌은 없어 관절경적 치료 후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 환자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For Partial Articular-Surface Tendon Avulsion (PASTA) Lesion)

  • 이봉근;조남수;박근호;문성철;이용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2-248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에 시행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적 및 해부학적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9월까지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로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받은 12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수술시 평균 연령은 46.9세(19~64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18.3개월(12~36개월)이었다. 12례 모두 depth가 6 mm 이상의 파열인 grade 3에 해당되었다. 3예는 완전 파열로 전환하여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9예는 남아있는 건을 보존한 상태에서 경 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운동시 평균 VAS 점수는 수술 전 6.2점에서 최종 추시시 2.0점으로 감소하였고(p<0.001), 평균 전방 거상 범위는 수술 전 163.3도에서 최종 추시시 169.8도로 향상되었다(p=0.038). UCLA 점수는 수술 전 18.4점에서 최종 추시시 30.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 우수 2예, 양호 8예, 보통 2예였다. KSS 점수는 수술 전 61.8점에서 최종 추시시 76.8점으로 향상되었다. 수술 후 최소 6개월 이후 총 5예에서 자기공명영상 추시 검사가 시행되었고 모두 완전 치유된 회전근 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회전근 개 관절내 부분 파열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은 1년이상의 추시에서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남아있는 건의 상태가 양호할 경우 경 건 봉합술이, 남아있는 건이 불량할 경우 완전 파열을 만들어서 봉합하는 술식이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견관절의 결절종 제거수술후 발생한 SLAP병변 -증례보고 1예-

  • 김원유;지종훈;김진영;양영준;오세철;김지창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5년도 제13차 춘계학술대회
    • /
    • pp.107-111
    • /
    • 2005
  • 29세의 남자 환자는 내원 2년전부터 견관절 심부의 간헐적인 동통과 근력약화 증상을 보이다가 내원 2개월전부터 지속적이고 심한 견관절 통증 및 야간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MRI검사 및 근전도 검사로 결절종에 의한 상견갑 신경 포착증후군으로 확진되었으며 관절경하에서 후상방 관절낭부위를 탐침하여 관절낭 절개술을 시행하여 결절종 제거수술을 시행하였다. 이때 관절경 소견상 후상방 관절와순은 정상소견을 보였으며 SLAP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후 환자는 큰 불편함은 없었으나 술후 2년 경과후에 외전 및 외회전시 나타나는 통증 및 경도의 견관절 후방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MRI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때 결정종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SLAP 병변이 의심되어, 관절경검사를 시행한후 SLAP 병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현재 환자는 술후 6개월째로 만족스러운 상태로 직업에 복귀한 상태이다.

  • PDF

공기 주입과 동시에 시행한 견봉하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개 파열의 정도 평가 (Bursoscopic Evaluation for Degree of the Rotator Cuff Tear with Air Infusion Method)

  • 문영래;손홍문;김남형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6-130
    • /
    • 2002
  • 목적 : 견봉하 점액낭에 가려져 부분층 파열로 여겼던 회전근개 전층 파열을 견관절 내 공기 주입 방식을 사용한 견봉하 점액낭 관절경적 관찰로 효과적인 진단의 가능 여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65예 중 견관절 관절경상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인 18예를 제 1군으로, 전층 파열로서 봉합을 시행 한 37예를 제 2군으로 나누어 견관절에 $50\~100ml$의 공기주입으로 확장을 시킴과 동시에 견봉하 관절내로 누출 되는 공기 방울을 관찰하였다. 결과 : 제 1군 중 3예에서 공기 누출을 보고 전층 파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 2군 중 2예에서는 다량의 공기 누출 부위가 발견되어 불완전한 봉합임을 확인하고 추가 봉합을 시행 할 수 있었다. 결론 : 공기 주입 방식은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과 전층 파열을 감별하고, 비후되고 유착된 점액낭에 가려져 있는 전층 파열을 발견할 수 있으며, 술 후 봉합 부위의 평가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서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in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 이정환;윤경호;배대경;김정원;박수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3-57
    • /
    • 2008
  •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7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6예(15명)의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9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0.5개월이었다. 당뇨병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의 기존 질환이 있었던 경우가 8예 였으며 과거력상 슬관절에 침을 맞거나 관절내 주사를 시행 받은 경우가 14예였다. 결과: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43.8%)였다. 술 후 정맥 내 항생제를 평균 25.5일 사용하였으며 경구 항생제를 평균 22.5일 사용하였다. 슬관절 강직 5예, 이차성 관절염 2예, 슬관절 주위 만성 골수염 1예, 사망 3예 등 총 11예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3주 이상 부목 고정을 시행한 경우 슬관절 강직이 유의하게 많았으나(p=0.032) 증상 발현 후 1 주일을 기준으로 치료까지의 기간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93). 배양 검사 상 원인균이 동정된 경우 더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p=0.034). 결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후 관절 강직의 발생 빈도와 고정 기간과 상관 관계가 있었다. 합병증 발생 빈도는 증상 후 치료까지의 기간과는 연관이 없었으나 원인균의 동정된 여부와는 연관이 있었다.

  • PDF

Bankart 수술 후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못 합병증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Metallic Suture Anchor Failures after Bankart Repair)

  • 신상진;정재훈;김성재;유재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0-76
    • /
    • 2006
  • 목적: 금속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 수술 후, 여러 원인에 의하여 발생한 금속 봉합 나사 못 돌출 합병증을 보고하고 발생 원인, 임상 양상 및 관절경적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습관성 전방 탈구로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Bankart 수술을 시행 받은 후 운동시 들리는 관절내 마찰음 및 통증 또는 불안정성을 호소하며 내원하여 관절경 재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처음 수술 이후 재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5.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관절경 재수술시 봉합 나사못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며 관절경 술식을 이용하여 돌출 봉합 나사못을 제거하였다. 결과: 주 증상은 4명에서 통증을 동반한 관절내 마찰음이었으며 이 마찰음은 외전 및 외회전시 분명하게 들렸다. 1명은 통증과 함께 견관절 불안정성을 호소하였다. 견관절 운동 범위는 외회전만 약간 감소되었을 뿐 거의 정상 소견을 나타내었다. 돌출되었던 봉합 나사못의 위치는 5시 방향 1명, 4시 방향 2명, 2시 및 3시 방향 각각 1명씩이었다. 그 중 2명은 전방 관절와연에서 5 mm 정도 내측 관절면 위에 위치하였다. 나머지 3명은 올바른 위치에 삽입되어 있었으나 나사못 주변의 연골 마모 및 골소실이 관찰되었다. 재수술시 5명 모두 상완골두에 연골 손상이 발견되었으며 1명은 관절와에도 연골 결손이 동반되었다. 재수술 후 2년째 추시 결과 재탈구나 불안정성을 보이는 환자는 없었으며 통증에 대한 VAS 점수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2로 감소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수술 전 65점에서 수술 후 89점으로 증가하였으며 ASES 점수도 수술 전 67점에서 수술후 88점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봉합 나사못 합병증으로 인한 증상은 불안정성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재활 운동 시점부터 증상이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수술 후 통증과 구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돌출된 봉합 나사못은 상완골두 연골의 파괴를 유발하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므로 봉합 나사못 돌출이 의심되면 관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