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상

Search Result 2,04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ffect of Humidified High Flow CO2 Gas Insufflation on the Coronary Endothelium (가습화한 고유량의 이산화탄소가스 통기가 관상동맥 내피세포층에 미치는 영향)

  • 최재성;김준성;서정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2
    • /
    • pp.131-138
    • /
    • 2004
  • High-flow gas insufflation to get a bloodless field dur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may have adverse effects on the coronary endothelium. This study was designed (1) to elucidate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gas insufflations on the coronary endothelium at different flow rates and (2) to assess the protective effect of humidifcation against the coronary endothelial damage. Material and Method: In nine pigs,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LAD) was exposed after a median sternotomy. The LAD was divided into 4 segments and a coronary arteriotomy was made in each LAD segment in the beating heart. The far distal arteriotomy was exposed to room air for 10 minutes and was harvested as a control. Non-humidified carbon dioxide gas at a continuous flow rate of 5 L/min (Group I), humidified carbon dioxide gas at a continuous flow rate of 5 L/min (Group II), and humidified carbon dioxide gas at a continuous flow rate of 10 L/min (Group III) were insufflated for 10 minutes on each coronary arteriotomy site, respectively. After harvesting the coronary segments, hematoxylin-eosin staining, elastic fiber staining, and immunostaining with a CD34 monoclonal antibod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pth of endothelial damage and to count the residual endothelial cells, Result: In all three groups (Group I, II, and III), internal elastic laminae were preserved, however, the endothelial layers were significantly damaged by carbon dioxide gas insufflation. The mean percentages of remaining endothelial cells were 20,9$\pm$16.7%, 39.3$\pm$19.6%, and 6.8$\pm$5.3%, in groups I, II, and III,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remaining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than in groups I and III (p=0.008). The percentages of remaining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I (p=0.008). Conclusions: The harmful effect of carbon dioxide gas insufflation on the coronary endothelium was dependent on the flow rate. The addition of humidification did not protect the coronary endothelium from denudation injury caused by high flow carbon dioxide gas insufflations.

Preoperative Risk Factors for the Prognosis of Mitral Regurgita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and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lone (승모판폐쇄부전증을 동반한 관상동맥협착증 환자에서 시행한 단독 관상동맥우회술 후 승모판폐쇄부전증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수술 전 요인)

  • Jin, Ung;Park, Chan-Beom;Choi, Si-Young;Kim, Chi-Ky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5
    • /
    • pp.410-415
    • /
    • 2004
  • Background: In the operation for coronary artery stenosis, the procedures for mitral regurgitation are restricted to cases of more than moderate mitral regurgitation or for the lesions in leaflets. Thi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less than mild regurgitation are a form of reversible change results from ischemia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We studied the changes and prognostic factors of mitral regurgita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and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lon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90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and mitral regurgitation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lone by a single surgeon from Jan. 1995 to Dec. 2002, We grouped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postoperative changes of mitral regurgitation, and then we statistically compared the findings of echocardiogram between preoperative and last follow up. Result: There were 24 cases with progression of mitral regurgitation, 12 cases without changes, 54 cases with improvements of mitral regurgitation in total 90 patients. The bypass to LAD was proven as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of mitral regurgitation. The preoperative end diastolic left ventricular volume index were higher in aggravated group with 105.38$\pm$38.89 $m\ell$ compared to 71.75$\pm$28,45 $m\ell$ in improvement group, and 84.00$\pm$11.66 $m\ell$ in no change group. The grade of preoperative mitral regurgit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 The mitral regurgitation in patient with coronary artery stenosis can be improved after the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alone. However,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s based on the degree of preparative mitral regurgitation can not be justified, therefore, the procedures for mitral regurgitation should be aggressively considered even in the cases of mild mitral regurgitation. Also, further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identify the exact prognostic factors of mitral regurgitation including the left ventricular volume index, and whether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has been bypassed.

심혈관계 질환의 조기진단을 위한 생화학적 지표 설정을 위한 연구

  • 강재헌;한정순;김경아;송홍지;성은주;이선영;김규남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6.2-417
    • /
    • 2004
  • 심혈관계 질환(CVD, Cardiovascular disease, CHD, Coronary heart disease)은 심장의 관상동맥에 염증반응과 혈전으로 인해 죽상경화중이 생겨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결과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말초혈관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중풍 등이 포함된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에는 서구화된 식생활, 유전, 나이, 성,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흡연, 가족력 등이 있다. 그러나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과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 및 관련 기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중략)

  • PDF

Software Development for Image Analysis of Luminal Cross-Section in Elastic Stained Coronary Image (관상동맥 내강 절단면의 영상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 최익환;양우익;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145-14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의 객관적 분석을 위해, 혈관단면영상에서의 ROI(Lumen, Media, Plaque)에 대한 정확한 분할과 분할한 영역에서 질병을 유발시키는 요소들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Visual C++ 6.0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현미경으로부터 획득한 관상동맥 단면영상에 적용하여 Lumen, Media와 Plaque를 분할하고, 각 영역의 형태학적 특징을 추출하여 분석 결과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심장질환의 객관적 진단을 위한 보조판단근거로써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keleton Extraction of 3D Coronary Artery for Topological Shape Analysis (3차원 관상동맥의 위상적인 형상분석을 위한 골격 추출)

  • Lee, Jae-Jin;Kim, Jeong-Sik;Choi, S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00-702
    • /
    • 2005
  • 3차원 관상동맥처럼 위상 구조가 중요한 객체의 형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혈관의 분기점, 극단점, 혈관의 계층적 구조 관계 등의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골격 추출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CT 혈관조영술(3D CT Angiography)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관상동맥의 3차원 골격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CT 혈관조영술부터 획득한 슬라이스 이미지로부터 3차원 조작 및 수술 시뮬레이션 등을 위하여 혈관의 3차원 표면에 대한 메쉬 모델을 생성한다. 생성된 메쉬 모델이 임의로 변형된 후에도 자동으로 골격을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메쉬 모델을 복셀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얻어진 복셀모델로부터 유클리디언 거리 맵을 구성하여 discrete medial surface (DMS)을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골격을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3차원 골격은 관상동맥 수술 시뮬레이션 등에서 다양한 형상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Single Breath-held Right Coronary Artery Imaging by Cardiac Magnetic Resonance (심장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호흡정지 우관상동맥영상)

  • Park, Jin-Ho;Kim, Pan-Ki;Ahn, Chang-Be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031-2032
    • /
    • 2011
  • 일반적으로 심장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우관상동맥을 영상화 하기 위해서 3차원 데이터를 얻는다. 그렇게 하는 경우 데이터를 받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받은 3차원 데이터에서 차원 원하는 부분만을 2차원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반면에 호흡 정지상태에서 우관상동맥의 위치를 잘 선택하게 되면 한번 숨을 참을 수 있는 시간안에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관상동맥을 찾아서 그 부분만 영상화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한 영상에 같이 나타내기 어려운 대동맥에서 시작하여 심장 뒤편으로 돌아 들어가는 전체 우관상동맥을 쉽게 찾고, 한번 호흡을 참는 시간안에 영상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 ng without Extracorporeal Ci rculation One Case Report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우회술-1례보고-)

  • 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3
    • /
    • pp.326-329
    • /
    • 1997
  •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CPB) is now an accepted technique of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in selective cases of coronary arterial occlusive disease. The lesion was total(100%) occlusion of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RCA) without any evidence of dis,Base in the rest of coronary arteries.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PTCA) was tried but unsuccessful. We herein report a case of successful CABG to right coronary artery without CPB on a patient with complete occlusion of RCA and symptomatic wit minimal activity.

  • PDF

Segmentiation of Luminal Cross-Section in Elastic Stained Coronary Image (Elastic Stain된 관상동맥영상에서 내강 절단면의 분할)

  • 최익환;이병일;최현주;최흥국;양우익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873-876
    • /
    • 2001
  • 관상 동맥 질환은 관상 동맥 내벽에 플라크(Plaque)가 침착된 결과 혈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질환으로, 혈관이 좁아져 심장으로의 혈류가 감소하고, 혈전이 동맥을 막아 심장 발작을 일으킨다. 본 논문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의 객관적 분석을 위한 분할 방법론과 분할된 영역으로부터 정량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동맥 단면영상으로부터 정량 분석을 위해 획득한 단면영상을 현미경으로부터 12.5배 배율로 얻었으며, 정량 분석을 위해 혈관의 각 영역을 분할하여 분할영역의 크기, 최대 장축 등의 정보를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 작업에 의한 혈관 단면 분석을 자동화하면, 3차원적 변화량에 따른 정량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특집 - 당뇨가 혈관에 주는 영향

  • Son, Seok-Man
    • The Monthly Diabetes
    • /
    • s.210
    • /
    • pp.8-10
    • /
    • 2007
  • 대혈관 합병증은 중간크기 이상의 혈관(동맥 및 정맥)에서 동맥경화증이나 죽상경화증에 의한 변화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상동맥, 뇌혈관 및 말초혈관에 주로 발생하며 당뇨병환자의 주된 사망원인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환자에서 대혈관 합병증인 죽상경화증은 가장 흔하고 중대한 만성합병증으로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및 뇌혈관질환이 발생합니다. 발생률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2$\sim$5배 높으며 제 2형 당뇨병뿐만 아니라 제 1형 당뇨병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이 됩니다. 대혈관 합병증과 관련된 질환은 유병기간이 오래된 당뇨병환자에서 이환율, 장애 정도, 사망률 및 치료비용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당뇨병환자의 사망은 대부분이 대혈관 합병증과 관련이 있으며, 이중에서도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2$\sim$4배 증가합니다.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은 건강관리를 위한 지출에 상당히 영향을 미칩니다. 총 의료관리 예산의 약 25%가 당뇨병 및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의 치료에 지출됩니다. 위험요소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면 만성합병증의 85%가 지연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미국의 경우 매년 170억 달러의 의료관리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 PDF

Aortic Dissection during th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 case report- (관상 동맥 우회술 중 발생한 대동맥 박리증 -1예 보고-)

  • 박지권;양주민;김영학;강정호;정원상;김경수;신진호;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10
    • /
    • pp.865-867
    • /
    • 2004
  • Development of intraoperative aortic dissection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is extremely rare with catastrophic outcomes resulting in high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rognosis is highly dependant upon prompt diagnosis and emergent treatment. We report our experience on a 72 year old female patient who successfully received ascending aortic graft replacement for acute intraoperative aortic dissection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