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능평가

Search Result 2,37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Sensory Evaluation and Affective Test of Foundation (파운데이션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선호도 조사에 대한 연구)

  • 선보경;정수정;김수정;문성준;장이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64-170
    • /
    • 2000
  • 화장품의 관능평가는 크게 분석형 관능평가와 기호형 관능평가로 나눌 수 있으며 본 보고에서는 메이컵 화장단계 중에 사용되는 파운데이션의 분석형 관능평가를 통해 파운데이션 사용 시 느껴지는 관능적 특성 용어의 도출과 정의를 내린 후 실제 소비자들을 통해 여러 가지의 파운데이션을 사용하면서 느껴지는 관능적 특성 강도 및 그에 따른 선호도 등을 기호형 관능평가로 수행하여 파운데이션 사용 시에 만족 및 불만족 요인으로 작용하는 관능속성 및 주요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파운데이션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커버력 요인과 화장상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밀착감과 화장지속력, 화장상태의 자연스러움이 제품의 선호도와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파운데이션에 대한 관능속성과 만족도를 결합하져 소비자가 선호하는 관능속성의 제품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관능적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제품개발에 활용하였다.

  • PDF

Sensory Evaluation of Foundation Product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pomnent (파운데이션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사례 연구)

  • 김수정;양윤정;선보경;이성호;문성준;장이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3-261
    • /
    • 2001
  • 화장품의 사용감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나타내며 상대적이고 감성적인 개념들이 우선하게 된다. 이러한 관능특성들을 보다 객관적이며, 과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분야가 바로 관능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단계 중 베이스 메이크업에 속하는 제품인 파운데이션의 관능 특성을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게 평가, 분석하는 전문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내 여성을 대상으로 discriminative 및 descriptive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적합한 패널을 선정하였고 일정하게 규정된 일련의 교육과정들을 통해 패널을 훈련시킴으로써 베이스 메이크업 전문 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후 파운데이션에 대해 질감별 제품을 평가하도록 한 후 이러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신뢰성 있는 통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감 특성이 위치되니 2차원적 공간영역과 제품별 사용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된 결과를 자사 브랜드 메이크업 라인의 파운데이션 제품에 응용하여 제품을 차별화 시키도록 설계하고 질감별 특징적 사용감과 적합한 특성강도를 제시한 후 이를 나타내는 처방의 제품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출시된 제품을 실제 소비자들을 통해 기호형 관능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실제 느끼는 사용감각 특성과 상품개발 계획 시 소구하고자 했던 관능특성이 일치하게 나타나 사용감 설계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관능평가를 제품개발에 응용한 활용방안으로 보고자 하였다.

  • PDF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Sensory Evaluation of Face Powder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페이스파우더의 관능적 특성 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선보경;정수정;최경호;문성준;장이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98-303
    • /
    • 2001
  • 화장품은 그 어떤 제품보다도 소비자가 사용 시 느끼는 관능특성 및 그에 대한 만족도가 중요한 제품이다. 자연스러우면서도 가벼운 메이컵이 유행함에 따라 페이스 파우더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관능특성을 가진 페이스 파우더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전 조사에 따르면 페이스 파우더 사용자들의 사용이유는 자연스러운 화장 및 가벼운 화장, 화사해 보임(블루밍 효과) 등이 주를 이루며 페이스 파우더 사용 시에 주요하게 느끼는 관능특성으로는 파우더 입자에 관한 사항과 화장상태에 관한 사항이 동시에 고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평상시에 페이스파우더를 주로 사용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페이스파우더들을 실제 화장단계에 따라 사용하면서 인지되는 페이스 파우더의 관능특성들을 도출하게 한 결과 중 19가지 관능특성 평가 용어가 도출되었으며 이 용어들은 다시 입자 및 도포 요인/촉촉함 및 매트함 요인/색상 및 블루밍 요인의 세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페이스파우더의 주요 관능특징요인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능특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각각의 소비자군들이 선호하는 관능속성의 제품을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개발하였고 주후 제품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음나무 껍질의 fructose 및 threonine첨가에 따른 볶음처리시 관능적 특성

  • 박난영;우승미;노정은;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1.1-141
    • /
    • 2003
  • 향미가 우수한 음나무 차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기질물질 선별 실험으로 당, 아미노산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여러 종류의 당(fructose)과 아미노산(threonine)을 첨가 및 혼합하여 그 혼합용액에 3시간 침지시킨 후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10$0^{\circ}C$, 4분 동안 볶음처리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색상에 관한 관능평가에서 fructose 12%, threonine 2% 첨가한 음나무 껍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ructose 9%, threonine 1.5% 첨가한 음나무피가 향미에서 가장 높은 관능평가를 나타내었다. 맛에서는 fructose 6%, threonine 1% 첨가한 음나무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 기호도에서는 fructose 6%, threonine 3%와 fructose 6%, threonine 1% 첨가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 평가에서는 아미노산보다 당의 함량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관능적 품질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맛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당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당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일정시점 이후로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 PDF

Sensory Evaluation of Cigarette (I) - Sensory Evaluation Outlines - (담배의 관능평가 (I) - 관능평가 개요 -)

  • Lee, Whan-Woo;Lee, Seung-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 /
    • v.31 no.2
    • /
    • pp.121-128
    • /
    • 2009
  •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담배를 구매하기 전 디자인, 색상, 상표명 등을 평가하고, 피우기 전에는 포장된 필름의 찢김성, 필터부위의 오염여부 등의 외관과 외향을 감지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흡연하면서 담배의 다양한 향과 맛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한다. 담배의 본질적인 특징은 물리 화학적인 측정기기를 이용한 이화학적 데이터와 사람의 오감을 이용해 감지한 향미특성을 종합함으로써 분석 할 수 있다. 이들 특성이 소비자 기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개발(Carter & Riskey, 1990)하는 데 중요한 연결고리를 관능평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미국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IFT)에서는 관능평가를 '식품과 물질의 특성이 시각, 후각, 미각, 촉각 및 청각으로 감지되는 반응을 측정, 분석 및 해석하는 과학의 한 분야'로 정의하고 있다(IFT Sensory Evaluation Division, 1981).

An Assessment of Factory Odor Evaluation with Indirect Olfactory Method (간접관능법에 의한 사업장 발산악취 평가)

  • 김학민;정의석;김선규;김선태;박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83-184
    • /
    • 2002
  • 악취현상 평가방법은 냄새유발물질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화학성분분석법과 복합취기물질에 의란 감각수준을 다수의 악취판정인이 평가하는 관능측정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특히, 관능측정법의 경우 자극의 세기를 표현하는 직접관능법과 최소냄새감지한계회석배수를 구하는 간접관능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환경악취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성분분석과 감각수준을 평가하는 두 방법에 의한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Sensory Quality Assessment of Reheated Cook/Chill and Sous-Vide Spinach Soup for Foodservice Operations (단체급식소에 적용하기 위한 cook/chill 및 sous-vide 시금치국의 재가열 방법에 따른 관능적 품질평가)

  • 류은순;이동선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8 no.3
    • /
    • pp.325-33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everal reheating treatments (immersing the package into hot water, heating the soup in the pot and convection ovens after taking out of the opened package. heating the soup package in microwav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chill and sous-vide spinach soup. Sensory evaluations were made on 5 sensory attributes by a 12-member panel using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QDA). The fresh cooked spinach soup had a significantly(p<0.01) higher score in color than the reheated sous-vide one. The latter, however, had a significantly(p<0.05) higher score in taste than the former.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ous-vide spinach soup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fresh cooked one, which supports the potential of the product in foodservice oper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eal plan. Reheating treatments didn't show any differences in taste, flavor, color, texture,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any reheating treatment nay be used for cook-chill and sous-vide spinach soup.

Assessment of Sensory and Safety Evaluation of Cook/Chill Pajeon (Cook-chill 파전의 관능성 및 안전성 평가)

  • Lyu, Eun-Soon;Jeong, Dong-K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5
    • /
    • pp.674-680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effect of several reheating treatments (heating in the frying pan, convection oven and microwave oven) o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o evaluate the safety during storage period of cook/chill Pajeon. The sensory evaluations were made on 5 sensory attributes by a 9-member panel using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The fresh cooked Pajeon and the Pajeon reheated in the frying pan obtained a significantly (p<0.01) higher score in taste than the ones reheated in a convection oven and microwave oven. The reheated cook/chill Pajeon had a significantly (p<0.01) lower score in flavor than the freshed cooked one. Regardless of the reheating methods, sensory scores in texture of the Pajeon reheated at $v$ for 1 day we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fresh cooked one. However, the scores of the reheated ones in a convection oven and in a microwave oven decreased with storage time up to 5 days at $3^{\circ}C$. On the other hand, the Pajeon reheated in the frying pan, even after 3 days' storage at $3^{\circ}C$, was not found to be inferior to the freshed cook one in every quality attributes except flavor. Therefore, the reheating treatment in frying pan may be superior to those in a convection oven and a microwave oven. The safety of Pajeon was also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count, coliform count, psychrotrophic count,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during 5 days of storage periods at $4^{\circ}C$. Total counts of Pajeon was ranged from not detectable to $5.2\times10^2$ CFU/g. The coliform and psychrotroph were not detected at all experiments. The acid values were ranged from 1.90 to 4.03 mg of KOH/g of fat until 5 days at $4^{\circ}C$. And the peroxide values were ranged from 3.63 to 12.50 meq of peroxide/kg of fat until 5 days of storage period.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ajeon is microbiologically and chemically safe during 5 days of storage period at refligeration temperature.

Effect of Resveratrol on Win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Resveratrol이 포도주의 관능평가에 미치는 영향)

  • Kim, Tae-Hee;Yi, Dong-Heui;Kim, Hyung-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12
    • /
    • pp.1740-1745
    • /
    • 2009
  • In this study, effect of resveratrol concentration on wine taste was investigated. Content of resveratrol in 14 different wines were quantified using HPLC.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s in the Australian wine samples (grape species: Syrah) with 3 vintage years were analyzed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esveratrol were observed (2.89-3.84 mg/L). Variation in wine grape species with the same wine manufacturer (Chile, 2006) and variation in different manufacturing country of origin with same wine grape species (Cabernet Sauvignon, 2006) also produced the variations in resveratrol concentration. The preference analysis (color, aroma, taste,astringency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ample wines were determined by 15 panelists using 5-point hedonic scale. Whe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s in the sample wines were compared with the preference analysis of sample wines, the resveratrol concentration in the wine produced the positive effects in the wine preference analysis in the factors of aroma, taste and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