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광행태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관광지에 대한 인지행동론적 연구 동향

  • 한병선;신대봉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35-39
    • /
    • 1992
  •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미지의 지역에 대한 동경과 아울러 그 지역을 방문해 보고자 하는 기본적인 심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경제적 여유가 신장되고 관광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대단히 높아지면서 우리 주변에 산재하고 있는 관장자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관광객들 개개인의 서로 다른 욕구와 취향, 또는 외부적 여건으로 인한 지각(Perception)의 결과 관광 환경에 대한 상이한 Image가 형성될 것이며, 이는 곧 관광 주체로 하여금 관광지를 선택하게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관광지리학 분야에서의 관광자원 또는 Wildness에 대한 인지행동론적 연구는 1960년대의 주관적 환경을 강조하는 행태지리학에서 시작되었으며 관광 목적지에 대한 지각, 인지, Mental Map, 관광행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계량적이고 실증적인 시대의 전형적인 산물로서 관광객들의 직접적인 관광형태로 나타나게 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중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인지는 과거에 개인의 경험과 현재의 다양한 주변 여건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오늘날 인지행태론적 연구는 관광지리학 뿐만 아니라 심리학, 사회학, 인류학 등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관광지 및 관광자원에 대한 국내외의 인지행태론적 연구를 검토해 보고 이러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DS 분석법을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체험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

  • 유영준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1-60
    • /
    • 2001
  • 관광자들이 나타내는 행태상의 특징은 매우 다양하다. 관광자들은 쇼핑, 휴식, 호기심 충족, 스포츠, 친지 방문 등 자신들이 관광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교통수단이나 숙박 장소의 선택과 비용, 목적지 내에서의 행동 등에 있어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낸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관광행태가 가족 중심적이고 실제 체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으며, 자신의 개별적인 호기심이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일반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omestic Behavioral Patterns of Korean Tourists b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ces (관광자의 거주지 특성에 따른 관광행태 연구)

  • Song, Young-Ch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1
    • /
    • pp.83-97
    • /
    • 2002
  • In this study we shall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Korean tourists' behavioral patterns according to tourists' residences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on questionnaires for 1,372 tourists around Korea. In conclusion, we found varying degrees of influences among touristic behaviors in relation to residences, We documented 11 out of 14 categories of touristic behaviors in urban/rural areas around Korea. And there were 4 out of 14 categories of those found in provincial areas. Characteristics of urban/rural are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uristic behaviors compared to provincial areas. Therefore, tour authorities provide for a balanced policy of travel around Korea. As mentioned above, these touristic behaviors had many differences according to urban/rural areas and provinces. We are concerned that these differences are likely to cause psychological disturbances among social classes. I hope that these results will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policies of tourist goods and tour sites.

  • PDF

Tourists' Circulations and Behaviors in Dark Tourism Site (Focused on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다크투어리즘 관광자의 관람동선 및 관람행태(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대상으로))

  • Triana, Lolitasari Ade;Yun, Hee 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198-2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urists' circulations and behaviors at one of the representative dark tourism sites in Seoul, named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This study conducts direct observation and behaviour tracking or follow-up survey based on traffic circulation and visitors' Muse-Ethogram extracted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tourists' actual circulations shows that main tourists' flows of study areas consist of 3 approaches; suggested, unstructured and directed approaches. And tourists' behaviors such as moving(M), stop looking(SL), and reading(RE) reveal with the highest frequency. This study finds the 'expressing feeling(EXP)' as a new visitor' behavior in dark tourism site. The highest frequency of visitors' movement patterns is stop looking-reading-move(SL-R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of dark tourism related to exhibition circulation, visitors' behaviors and development of exhibition content.

Analysis on th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문화.생태지역에 대한 관광행태와 만족도 분석: 광릉지역을 사례로)

  • Kim, Su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3
    • /
    • pp.336-350
    • /
    • 2005
  • The prim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ourist's behaviors and satisfaction of the Gwangneung area and get a reading on the tourist's socio-economic traits and the propensity of activities. In addition, it highlights surveys of the tourist's consciousness of cultural,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tourism resources available in the Gwangneung area and the possibilit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ays to make the most of these resources. This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Gwangneung is mostly a place for one day family outings. the tourist's demand for actually unreachable ecological resources is high while existing cultural tourism resources have less than the expected drawing power. It was also found that tourists recognize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the tourism resources of Gwangneung and its potential for furth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particular, most tourists to Gwangneung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preservation of its cultural and ecological resources and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ccessibility, tourism facilities, and management are estimated at less than desired. Gwangneung would benefit by making efforts for the positive use of its tourism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convenience facilities, management and operation.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to the Water Recreation Space on Sightseeing Agricultural Park in China (중국 농촌지역 수변놀이공원의 방문객 특성 분석)

  • Yoon, Jun-Sang;Lee, Kyung-Jin;Piao, Yong-Ji;Bae, Sung-Eui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6 no.1
    • /
    • pp.181-200
    • /
    • 2009
  • 중국에서는 관광, 휴식, 체험교육의 목적으로 농촌지역의 놀이농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 수변공간의 놀이공원에 대한 이용의 증가는 수변공간에 대한 경관 및 단지 설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동성 등주시의 수변놀이농원의 이용자 1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관찰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이용 행태와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용자들은 연령대에 따라 다른 이용행태 및 요구를 보이고 있다. 먼저 이용행태에서 20대 이하는 흥미와 동적인 놀이의 이용행태를 선호하며,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덜 동적인 이용행태를 선호하였다. 또한 모든 이용자들은 새롭고, 흥미롭고, 편안한 이용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경관요소에 대한 평가에서 20대와 41살 이상의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20~40살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0대의 이용자들은 시설이용에서 안전성과 레크리에이션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41살 이상의 이용자들은 휴식시설과 공간의 확대를 요구하였다. 또한 이용자들의 대부분이 휴식시설에 대한 요구에서 그늘, 편안함, 양적인 차원에서 시설확대 및 보완의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농촌관광에서 여가공간의 이용하는데 있어서 방문객의 태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들은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편의시설의 확대와 질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의 한국관광 및 방문에 대비하여 중국인의 관광시설선호와 이용만족 증가를 위한 실증적인 자료수집과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 PDF

관광라이프스타일과 관광지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Sin, Hyeon-Ho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1-24
    • /
    • 1999
  • 소비시장은 소비자들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천한다. 다가오는 21세기에는 소득수준의 향상과 다원화사회가 이룩되면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행태도 새롭게 형성될 전망이다. 이는 21세기 소비자행태와 소비시장변화를 소득수준의 향상과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 자유시간의 증대, 신소비계층의 출현 등의 변수를 통해 예측된다. 최근, 사회 경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급격한 변화 등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소비자들의 관광지 선택행동에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과거 저가격위주의 관광을 하던 관광자들이 점차 그들의 생활의 질을 추구하기 위해서 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서도 보다 매력적인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이 이러한 변화의 한 예라 할 수 있겠다. 관광자가 관광지를 선택하는 과정은 기본적으로 소비자의 점포선택이나 제품에 대한 선택과정과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점포선택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기되는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나 관광지선택에 따른 관광자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선택속성은 그 구성면에서 유사하기 때문이다. 관광자 행동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연구는, 다양화되어 가는 생활양식에 기인하여 관광지 선택행동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ourism Behavior in the New normal Era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뉴노멀(New normal)시대의 관광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Kyoung-mi Yoo;Jong-cheon Kang;Youn-hee Choi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167-181
    • /
    • 2023
  • This study utilized TEXTOM, a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to analyze changes in current tourism behavior after travel restrictions were ease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Data on the keywords 'domestic travel' and 'overseas travel' were collected from blogs, cafes, and news provided by Naver, Google, and Daum. The collection period was set from April to December 2022 when social distancing was lifted, and 2019 and 2020 were each set as one year and compared and analyzed with 2022. A total of 80 key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and centra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NetDraw. Finally, through the CONCOR, the correlated keywords were clustered into 4. As a result of the study, tourism behavior in 2022 shows tourism recover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segmentation of travel based on each person's preferred theme, prioritization of each country's corona mitigation policy, and then selecting a tourist destina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and tourism products for the newly emerging tourism ecosystem after COVID-19.

Tourist Behaviour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 Case of the Butterfly Festival 2002 (함평나비축제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 제4회 축제를 사례로)

  • 이정록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2
    • /
    • pp.339-353
    • /
    • 2003
  • In recent, events tourism of community festival is a particular form of tourism which has experienced considerable growth in Korea, and is become the important strategy for tourist inducement and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Many events of community festival were mainly established since 1995, and most of local government such as city and county adopted the event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Among these community festival,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of Hampyeong-gun of Jeollanamdo, is recognized as one of famous events all over the country. In particular,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o be held since 1999, attracts over 1 million tourists annually, and provides a lot of opportunities educational shows and exhibitions, including ecology experiences and learning sites, as well as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learning sites, folklore customs,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play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the tourist behaviour of Butterfly Festival 2002. Most tourist have positive attitude and evaluation about festival, in particular, tourists present show high satisfaction with many programs of festival. Howev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festival, Hampyeong-gun have to concern with some improvements such as the expansion of tourists' facilities, active publicity activities, and matketing of special products of Hampyeong-gun.

  • PDF

Tourists' Behaviors and Attitudes of Ecological Tourist Place: Examining the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 National Garden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태와 태도: 순천만습지와 순천만국가정원을 사례로)

  • Lee, Jeong-Rock;Park, Jong-Ch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 /
    • pp.300-312
    • /
    • 2016
  • After holding the ICEXPO 2013, the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and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n Suncheon city are becoming a famous ecological tourist place in national wid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ourists behavior visited to the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and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Data are collected from 540 tourists from April to October 2015.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ourists living at Gwangju & Chonnam provinces are 38.4% of total; one-day tourists, 20~40 aging tourist group, and internet using for destination informations, accounts for about 75.2%, 72.6%, and 44.8% respectively, of total tourists; tourists' motivation and purpose are related to natural landscape watching and family travel; tourists satisfaction for destination are very high, and particularly in the spring; 30% of total in tourism expenditure amount per capita ranges from 50,000 to 100,000 won; mount of tourists expenditure are not so mu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