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광자원화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1초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 특성에 관한 연구 -경주와 교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Tourism Resources on the Historical Sites -In case of Kyungju and Kyoto-)

  • 전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3-101
    • /
    • 2006
  • 경주와 교토는 역사적인 고도(古都)로서 문화유산 관광에 관심을 가진 관광객에게 문화유적지로서의 관광매력을 제공한다. 문화유적지의 관광자원화는 관광자원의 고유성과 역사성 주변 환경의 진정성 및 종교성과 예술성으로 구성된 관광자원의 특성과 관광인프라의 구축, 관광마케팅 전략이 조화를 이루어 관광자원화한 것이 특징이다. 경주와 교토는 8C를 중심으로 한 시대적 배경과 불교관련 예술품들이 관광자원으로 작용하며 두 도시가 가진 독특한 이미지와 경관, 분위기가 어울려 관광상품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문화유산의 보존정책과 관광자원 유적지의 원형보존을 통한 전통숙박공간과 전통음식, 쇼핑자원의 개발이 어울려 문화유적지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일본의 철도를 이용한 관광자원화

  • 임준홍;권태목
    • 열린충남
    • /
    • 통권36호
    • /
    • pp.229-237
    • /
    • 2006
  • 우리 가슴 속에 철도는 추억과 설렘이 있다. 엄마 손을 잡고 기차 안에서 삶은 계란과 사이다를 먹던 추억과 은하철도999를 보면서 설레는 마음으로 미래를 꿈꾸게 했던 것 역시 기차이다. 이처럼 기차는 우리의 마음 한 구석에 자리 잡고 있다. 일본은 이러한 과거의 향수와 관광자원을 연계하여 열차 운행의 수익성 향상뿐만 아니라 지역관광 발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철도를 이용한 관광자원화에 노력하고 있다.

  • PDF

경주의 전통공예산업과 관광자원화 - 경주민속공예촌을 중심으로 -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Tourist Development - A Case of Kyungju Folk Craft Village -)

  • 박경용
    • 고문화
    • /
    • 57호
    • /
    • pp.233-261
    • /
    • 2001
  • 본 논문은 경주민속공예촌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공예산업이 경주의 역사문화적 배경과 관련하여 관광자원으로서 어떻게 활용가능한지를 분석하여 경주 역사문화자원의 경제적 가치창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계획되었다. 경주시에서는 경주민속공예촌을 공예장인들의 생활공간으로 조성하여 문화상품 생산활동을 지원하고 공예기능의 보존과 전승은 물론 관광경제적 효과까지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서 전통공예장인의 공예촌 입주와 공방 생산품의 전시$\cdot$판매를 원칙으로 생산과정과 그 결과물을 방문객들에게 완전공개하고 생산과정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와 신라역사과학지식의 학습을 도모하는 등 공예촌 전체를 아예 관광자원화 하고자 하였다. 공예촌의 자연경관 보존과 시설물에 대한 전통적인 외관조성을 비롯하여 지역의 역사문화전통을 가미한 문화상품 개발전략, 각 공방의 상품제조과정 개방과 상품전시$\cdot$판매장 설치, 체험학습장 개설, 신라역사과학지식의 공유, 인근 관광지와의 연계도모 등은 모두 이러한 구체적인 관광자원화 전략들에 해당한다. 경주민속공예촌의 이와 같은 관광자원화 전략들은 공예장인을 포함한 경주시민 전체의 정체성 강화와 관광효과의 극대화로 귀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경주의 관광개발 과정에 있어서 경주가 지니고 있는 역사문화적 고유성과 지역성 및 전통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가운데 이를 현대적으로 잘 활용하는 것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 PDF

해양문화 보급을 위한 상징화 방안연구

  • 김비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5-466
    • /
    • 2010
  • 해양문화를 시민과의 친숙한 문화 공감대로 확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상징화 작업과 그 상징물의 관광자원화를 통한 해양문화의 보급과 상실된 한민족의 대양문화 회복에 대한 소고.

  • PDF

등대를 통한 해양문화의 상징화와 관광자원화 II (Lignthouse : A beacon of Marine culture II)

  • 김비태;최부림;김시내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4-248
    • /
    • 2011
  • 해양문화에 관한 관심과 중요성은 증대하고 있으나 시민과의 친화적 문화로 자리 잡고 있지는 못한 것도 사실이다. 역사적 연유로 위축 상실된 해양성을 회복할 필요성은 이론의 여지가 없는 명제일 수밖에 없다. 시민을 배제한 문화를 존재할 수 없고 해양문화는 시민과의 소통을 시급히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한 방법론으로써의 상징화 작업, 수단으로서의 관광자원화를 논하고자 한다.

  • PDF

역사적 시간과 장소의 문화콘텐츠적 성격과 관광자원화 -서울을 사례로- (The Nature of Historical Time and Place as Cultural Contents and Their Potential as Tourist Resources :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 이현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08-420
    • /
    • 2006
  • 이 연구는 역사도시의 시간성과 장소성은 문화콘텐츠적 성격을 지닌다는 시각에서 장소에 내재된 시간성을 관광자윈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관광에 대한 기존 연구는 관광시설, 관광지 조성, 경제적 효과, 문화정책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도시에 대한 문화적 접근을 통해 시간에 의한 장소의 의미 형성, 장소를 통한 시간성의 탐색을 통해 한성부의 시공간적 특성이 관광자원화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성부의 주요 장소는 당시의 기능과 문화적 의미에 의해 분류되며 이는 지역구조와 연관된다. 한성부는 자연지표, 조선시대의 문화적 특성에 의해 중심부, 경제의 공간, 주변부로 분리되며 한성부 원경관, 왕조도시적 성격의 반영, 성 안의 주변부, 성곽도시적 특성, 전근대 생활양식을 반영한 지역의 차이에 의해 영역별로 관광자원화 될 수 있는 요소가 다르게 나타난다.

  • PDF

서삼릉의 사회적 변용과 특성으로부터 본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 (Tourism Resources Strategy of Royal Tomb: from Seosam-noung's Social Transfiguration and Characteristic Perspectives)

  • 박구원;박진우;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50-261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왕릉의 활용논의가 가장 활발히 전개되는 있는 서삼릉을 대상으로 그의 사회적 변용과 이용 및 공간적 특성을 통해 왕릉의 관광자원화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 왕릉의 관광레크레이션적 가치는 왕릉이라는 문화적 요인 못지않게 주변지역의 특성적인 환경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왕릉의 개발수요는 기본적으로 관광개발에 앞서 시민휴식공간으로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바, 시민휴식공간과 관광레크레이션을 어떻게 양립시켜 나갈 것인가가 공간개발의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왕릉의 특성은 문화적 요인,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왕릉을 구성하는 인물적 특성과 왕릉을 둘러싼 식생 또는 경관학적 특성에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공간, 식생, 인물 구성에 대한 스토리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