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광안내서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Message Structure of Persuasive Storytelling in Travel Guide Booklets of Great Chungchung Visit Year (관광안내서의 스토리텔링적 방문설득 메시지 구조 -대충청 방문의 해 공식 안내서를 중심으로-)

  • Lee, Ju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380-390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message structure of persuasive storytelling which are expressed in the official travel guide booklets of 2010 Great Chungchung visit year.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echnique proposed by Creswell was used. The results were: First, travel guide booklets used '~haseyo', '~hapsida' styles to persuade the readers in friendly manners. Second, booklets used adjectives such as 'beautiful', 'delightful' to emphasize the attractiveness of tourism product and events. With those adjectives, the message sounds more subtle and emotional to the readers so that the readers will be easily persuaded. Third, booklets used the polite ways of speaking to the readers by using '~supnida', '~hapnida'. Fourth, English version of booklets lacked of storytelling structure in message.

질높은 테마여행 안내서가 필요하다

  • Park, Nam-Ju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3
    • /
    • pp.16-16
    • /
    • 1995
  • 대부분의 여행 정보서는 유명 관광코스의 기초적인 정보를 소개한 것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나름의 주제에 따라 질높은 여행을 원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할 고급 안내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주로 화가나 문인들에 의한 문화나 예술기행들이 테마여행 안내서의 구실을 대신하고 있다.

  • PDF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City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 Focusing on the Contents Analysis of Tourist Guidebooks - (서울 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 - 관광안내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 Park, Su-Ji;Kim, Han-Ba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4
    • /
    • pp.42-5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preferable city tourist attractions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of non-academic literatures such as tourist guidebooks and web materials. The most preferable Seoul tourist attractions were selected by their frequency in literatures including Namsan and Hangang as 'natural' places, Dugsu Palace and Gyungbok Palace as 'historical' places, Itaewon and Daehak-ro as 'lively-cultural' places that were classified by their relativistic character.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plac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were synthesized in urban, regional and place scale respectively. While 'contrast'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urban context, 'connectivity'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regional context. In addition, both 'visibility' an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s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place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ces seem to be the universal fascination factors of city tourist attractions currently recognized by ordinary citizens. We expect to further strengthen the city identity and the city tourism effect by adopting those research results systematically to th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vitalize the urban tourist attractions that we make them to be more 'contrasting' with urban areas surrounding them, more 'connective' with vicinity areas and more 'visibly fascinating' and 'experienced actively and meaningfully' in each place of tourist attractions.

The results of geologic landscape utilization research and its facing problem. (지질경관 활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 Jeong, Hyeong-Eun;An, Geon-Sa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2-22
    • /
    • 2010
  • 우리들은 초 중등교육을 통해 암석의 종류와 특징, 지질형태와 퇴적구조, 그리고 화석에 대해 지속적으로 교육 받아왔다. 그러나 암석이나 노두를 보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학생은 매우 드물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을 보며 지질학적으로 형성과정을 해석할 수 있는 사람도 매우 드물 것이다. 여기서는 지질경관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지질경관을 알려주는 연구 성과를 크게 나누면 3종류가 있다. 첫째, 지질학습장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 부류의 수집된 자료는 학위논문(29편)과 전문학술지(27편)로 현재 56편이나 검색에 따라 더 늘어날 것이다. 이들은 야외 노두에 대한 효과적인 지질학습을 위한 자료개발을 위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전문가 양성에는 대단히 좋은 프로그램이지만 청소년이나 일반대중들에게 너무 어려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육청에서 주관하는 탐방계획으로 "경기도 지구과학교사 연구회"가 있는데, 주로 경기도 한탄강유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회 자료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린 야외지질학습장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볼 수가 있다. 두 번째로 과학전람회 자료로서 현장교사와 학생들의 야외학습에 대한 인식이 잘 나타나 있다. 수집된 자료는 총 55편으로 야외지질조사를 통해 관찰 자체에 중점을 두었는데, 최근에는 노두관찰에 덧붙여 탐구학습 태도와 창의성을 함양하는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 세 번째 자료는 일반대중을 위한 서적이다. 이 서적들은 저자들의 전공에 따라 그 내용이 다소 다르다. 즉 일반여행안내 책자는 노두나 암석은 소개하고 있으나 지질학적 설명이 전혀없으며(예, 남도해안 2000리), 지리학자들의 저술에는 지형의 형성을 지질학적으로 설명하려 애쓴 흔적이 보인다(예, 한국지리이야기). 다음으로 지구과학들의 저술은 전형적인 지질답사 안내서에 가까워 내용 자체는 좋으나 흥미가 다소 떨어진다(예, 가족이 함께 떠나는 지질여행, 제주도 지질여행). 지질학과 흥미를 적절히 혼합한 책으로 '우리 땅 과학 답사기'정도가 있다. 최근 한국암석학회에서는 "우리의 명산"을 지질과 경관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심포지엄을 2차례 가졌다. 그러나 그 내용면에서는 경관지질이라는 개념을 정립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미흡 하나, 황상구 교수의 주왕산에 관한 내용은 앞으로 경관지질 연구에 대한 발전의 여지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지질경관에 대하여 지질학적 야외답사나 과학지식 습득에 국한시키지 말고,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린 관광 또는 민속과 연계하여 지구과학적 학습효과와 더불어 인성교육에 도움이 되는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일반 대중이 우리나라의 빼어난 지질 경관을 손쉽게 이해하고 즐기게 되면, 세계자연유산이나 세계지질공원을 지정 받는 과정도 더 쉬워질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