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City Tourist Attractions in Seoul - Focusing on the Contents Analysis of Tourist Guidebooks -

서울 도시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 - 관광안내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 Park, Su-J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Kim, Han-B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박수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한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3.06.21
  • Accepted : 2013.08.25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preferable city tourist attractions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of non-academic literatures such as tourist guidebooks and web materials. The most preferable Seoul tourist attractions were selected by their frequency in literatures including Namsan and Hangang as 'natural' places, Dugsu Palace and Gyungbok Palace as 'historical' places, Itaewon and Daehak-ro as 'lively-cultural' places that were classified by their relativistic character.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essential plac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were synthesized in urban, regional and place scale respectively. While 'contrast'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urban context, 'connectivity' was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regional context. In addition, both 'visibility' an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the most distinguished characters of the tourist attractions in the place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ces seem to be the universal fascination factors of city tourist attractions currently recognized by ordinary citizens. We expect to further strengthen the city identity and the city tourism effect by adopting those research results systematically to the urb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eded to vitalize the urban tourist attractions that we make them to be more 'contrasting' with urban areas surrounding them, more 'connective' with vicinity areas and more 'visibly fascinating' and 'experienced actively and meaningfully' in each place of tourist attra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안내서 등 현대 도시사회에서 시민들의 여가와 관광활동의 정보매체가 되는 비학술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탐방선호장소들의 장소적 특성을 연구하려는 것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은 서울 내의 유형별 탐방명소들을 대상으로 관광안내문헌에 나타나는 장소별 빈도와 내용분석을 통해 대표적 장소적 특성을 규명하려 하였다. 유형별 탐방명소는 '자연형 탐방명소', '역사형 탐방명소', '생활문화형 탐방명소'로 대별되었다. 유형별 대표장소는 빈도분석에 의해 각각 남산과 한강, 덕수궁과 경복궁, 이태원과 대학로로 선정하였다. 상기 문헌연구와 이를 보완하는 현장연구를 종합하여 전도시적 차원, 주변맥락의 차원, 장소적 차원의 세 단계에서 서울 탐방명소의 장소적 특성을 도출, 해석하였다. 각 유형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유형이 공유하는 지배적인 장소적 특성은 배경을 이루는 도시공간과의 가시적, 용도적 '대비성'과 주변지역과의 활동적, 의미적 '연계성', 그리고 단위 탐방명소 내부에서의 '가시성'과 '체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배후도시의 환경과는 가시적, 용도적으로 명료하게 대비되면서 주변지역들과는 연계 관광적 여건이 원활하고, 장소 내부에서는 가시적 독특함과 체험적 다양성이 갖추어질 때 탐방명소로서 효과가 강화될 수 있다고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동시대 사람들이 느끼는 도시 탐방명소의 보편적 매력요인이자 장소적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이들 특성들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탐방명소와 그 주변의 도시환경을 조성, 관리할 때 도시 전반의 정체성과 관광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지, 윤혜진, 장미(2011) 서울 100배 즐기기 2012-2013, City 100. 서울: 랜덤하우스.
  2. 김숙현, 김우선, 박동식, 유연태, 유정열, 이동미, 정철훈, 황교익(2010) 서울 여행사전. 파주: 터치아트.
  3. 김영록, 박미경(2011)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걷기여행 서울․수도권. 파주: 터치아트.
  4. 김정준(2009) 관광지 유형에 따른 관광동기, 관여도와 관광매력성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종은, 이상춘(2006) 관광지리자원론. 서울: 백산출판사.
  6. 박선희, 김연금(2011) 1인 미디어 블로그(Blog)가 포착한 선유도공원 경관. 한국조경학회지 39(3): 64-73. https://doi.org/10.9715/KILA.2011.39.3.064
  7. 박진주(2013) 작은 지구촌 명동(트래블마인드 2013-07). 서울: 자유여행신문.
  8. 서태양, 손호기(2006) 여가와 관광. 서울: 현학사.
  9. 설은영, 장치선, 조은영, 최경애(2011) 서울, 여자가 걷기 좋은 길. 서울: 그리고책.
  10. 손성일, 강세훈, 강주미, 김난(2011) 서울 사계절 걷고 싶은 길110. 서울: 비타북스.
  11. 송수영(2013) 뻔한 서울? Fun한 서울!(여행스케치 2012-03 특집). 서울: 하이미디어.
  12. 오세훈(2011) 오후의 서울산책. 서울: 미디어윌.
  13. 유철상(2012) 서울여행 바이블. 서울: 상상출판.
  14. 윤인규(1993) 도시경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이규목 (1988a) 인간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방법연구. 대한건축학회지 4(1): 35-45.
  16. 이규목(1988b) 도시와 상징. 서울: 일지사.
  17. 이규목(200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미술책방.
  18. 이동미(2008) 골목이 있는 서울, 문화가 있는 서울. 서울: 경향신문사출판본부.
  19. 이재곤(2005) 해양 관광 매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관광정책학회지 11(2): 43-61.
  20. 이창연, 김한배(2010)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6): 73-84.
  21. 이하람(2010) 두근두근 서울산책. 서울: 랜덤하우스 코리아.
  22. 임승빈(1991) 경관분석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서울: 집문당.
  24. 임승빈, 정윤희, 허윤선, 권윤구, 변재상, 최형석(2011) 장소 경험 분석을 통한 도시 내 장소성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6): 46-56.
  25. 임주연(2002) 문화관광지 속성에 대한 기대와 성과가 관광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기범, 윤영주(2012) 시크릿 Seoul. 서울: 시공사.
  27. 한은실, 박상필, 김기호(2006) 서울의 물리적 이미지 요소 해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7(1): 23-36.
  28. Appleton, J. H.(1975) The Experience of Landscape. London, New York :Wiley.
  29. Coltman, M. M.(1981) Introduction to Travel and Tourism; An International Approach. New York: Van Nostran Reinhold.
  30. Cresswell, T.(2004) Place. Oxford: Blackwell Pub. Ltd.
  31. Cullen, G.(1961) A Concise Townscape. London: The Architectural Press.
  32. Kozac, M. andM. Rimmington(1999) Measuring tourist destination competitiveness: Conceptu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findings. Hospitality Management 18: 273-283. https://doi.org/10.1016/S0278-4319(99)00034-1
  33.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Mass.: M.I.T. Press.
  34. Relph, E.(1976) Place and Placeless. London: Pion Ltd.
  35. Ritchie, J. R. B. and M. Zins(1978) Culture as determinant attractiveness of an tourism reg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5(2): 252-266. https://doi.org/10.1016/0160-7383(78)90223-2
  36. Steinitz, C.(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AIP Journal 34(4): 233-248.
  37. http://www.visitseoul.net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38. 국내여행총정리. GREATBLUE INC.
  39.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40. 어디갈까. (주)모바일페이스.
  41. 서울관광가이드북. 서울특별시.
  42. 서울 베스트 100. 서울특별시.
  43. 서울관광지도2011. 서울특별시.
  44. i Tour Seoul. Seoul Tourism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