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관련 진로

Search Result 50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Questionnaire for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cus on the Recogni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과학교육 관련 자기이해와 변화역량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 -초등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Jo, Kwanghee;Joung, Yong Jae;Choi, Jaehyeok;Kim, Heek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6
    • /
    • pp.901-9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tion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for science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s with it.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we made a tool to investigate the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s. The former half of the questionnaire was related to self-understanding with factors such as 'self-concept clarity,' 'career identity' and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as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12 items) and 'self-understanding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12 items). Its latter half was about the change capacity with factors such as 'change sensitivity,' 'goal consciousness,' 'collaboration,' 'reflection,' and 'mastery.' It consisted of three parts: 'general change capacity,' 'change capacity as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nd 'change capacity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with 17 items, respectively. With this tool, we surveyed 15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a positive recognition about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but the recognition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a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were relatively less positive. Second, factors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a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speci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of self-understanding and 'goal consciousness' and 'mastery' of change capacity.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Analysis for Trends and Causes of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 Kim, Hyunjung;Kang, Hunsik;Lee, Jaewon;Kim, Yool;Jeong, Jihyeon;Jeong, Eunyoung;Yoon, Hye-Gyoung;Park, Jisun;Lee,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215-226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and causes of the decline in Korea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To do this, 4th to 10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by grade at genera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sk the students about their PES and the causes for their decline. The results of one-way ANOVA for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IPE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and school level in the overall mean of TIPES scores. However,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sub-component. That is, in 'science academic emotion,' the mea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mean of 4th grad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of middle school 1st graders, middle school 3rd graders, and high school 1st graders, respectively. The mean of high school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In the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 the differences in scores according to grade and school leve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causes of the decline in each sub-components of PES wer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PES were sought according to grade and school level.

Ways to Restructure Scienc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 Kwak,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4 no.2
    • /
    • pp.112-122
    • /
    • 202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science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head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not guaranteed science subject choice for students with non-science/engineering career aptitud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by randomly sampling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1,738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3 science elective courses such as Science History, Life & Science, Convergence Science.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2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eld operation of these three courses, which will be classified and revised as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these three courses as science literacy courses, and find these difficult to learn due to lack of personal interest, and difficulties in content itself. The reason students choose these three courses is mainly because they have aptitude for science, or these courses have connection with their desired career path. Teachers explained that students mainly choose Life & Science,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avoid Science History because the course content is difficul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composed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ore concepts with high content accessibility,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with core concepts related to AI or advanced science, developing module-based courses, and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who will teac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lectives.

태양 활동과 대서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equatorial plasma bubble 사이의 상호 관계

  • 이재진;민경욱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31-31
    • /
    • 2003
  • Equatorial Plasma Bubble(EPB)은 적도 지역에서 Rayleigh-Taylor Instability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층 플라즈마의 불안정성 현상으로, 주변의 플라즈마 밀도에 비해 좁은 영역에서 플라즈마 밀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겨울철에는 대서양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여름철에서는 태평양 지역에서 많이 관측된다. 이러한 불안정 현상은 단파 통신 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 대상이 되어왔지만, 아직까지 태양 활동이나 지자기 변화에 의한 상호 연관성이 규명되지 못 하고 있다. 이것은 Rayleigh-Taylor Instability를 발생시키는 여러 인자들이 매우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인데,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EPB에 한정하여 태양 활동과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한 발생 빈도에 대한 통계적인 처리가 아닌, EPB하나 하나에 대한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EPB의 발생과 관련한 보다 명확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분석에 필요한 data는 KOMPSAT-1의 Langmuir Probe(LP)에 의해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얻은 이온층의 전자 밀도를 사용하였는데, KOMPSAT-1의 LP는 같은 기간 활동한 다른 위성에 비해 좋은 시간 분해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EPB의 통계 처리에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분자동역학 모의실험을 이용한 Lennard-Jones 이성분 혼합물의 섞임 자유에너지 및 섞임 엔트로피 계산

  • Lee, A-Yeong;Jeong, Yu-Ji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4.03a
    • /
    • pp.311-323
    • /
    • 2014
  • 분자동역학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간단한 van der Waals 상호작용하는 이성분 혼합물 계의 섞임 자유에너지 및 섞임 엔트로피 등 섞임과 관련된 열역학 함수들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각 혼합물의 과잉 자유에너지는 열역학 적분 (thermodynamic integration)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이성분 혼합물의 섞임 관련 열역학 함수들은 Hess의 법칙을 확장함으로써 구한다. 계산 결과로부터 온도가 증가할수록 계의 섞임 Helmholtz 자유에너지는 감소하며, 섞임 내부에너지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섞임 엔트로피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이상기체의 섞임 엔트로피에 접근함을 알 수 있다. 섞임 Helmholtz 자유에너지에 대한 섞임 내부에너지와 섞임 엔트로피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이 계의 섞임 과정을 주도하는 추진력은 엔트로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방법과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학부생들이 혼합물의 열역학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 PDF

Th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준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

  • Oh, Kyyeong-Seon;Lee, Ki-Young;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3 no.3
    • /
    • pp.91-1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framework reflecting the interests of students in practical problems and social issues regarding perennial problems which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was carried into a literature review and 406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he 9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x perennial problems are ascertained, Next,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27 items of practical problems such as mapping out their career path, self-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inall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mportant social interests are adolescence issues, job preference bias, career choice, suicide and addiction to computer, appearance and money management behavior, house ownership and conspicious consumption, and lack of time to spend with family. This study suggested the framework which cor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PDF

미국에서 치아우식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불소사용의 권장사항

  • Park, Gi-Cheol;Kim, Jo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2 s.391
    • /
    • pp.1039-1055
    • /
    • 2001
  • 불소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미국인들의 구강건강이 확실하게 증진되었으며 수돗물의 인공적인 불소참가 사업은 지난 2000년 동안에 건강과학이 이룩한 가장 획기적인 건강관리 예방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음료수에 불소를 적정량 첨가하여 치아우식증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극적 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치과의학의 과학적인 연구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치과의학이 현대 건강과학의 지도적 위치를 확보하는 과정에 중요한 임무를 담당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중앙건강관리 및 예방 연구소는 정기적으로 불소사용과 관련된 연구 업적들에 대하여 관련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로 하여금 조리 정연하게 주기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불소사용법에 대한 안내서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 중앙 질병 관리 및 예방연구소는 평생을 불소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11명의 전문가들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22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그 동안에 발표된 관계문헌 270개를 분석 검토하여 2년동안에 걸쳐 작성한 최근의 불소 사용 안내서를 지난 2001년 8월 17일 발표했다. 그 내용이 중요하고 한국의 치과의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CDC의 허락을 받고 한글판을 작성하게 되었다. 한국의 관심 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분들이 실무진에 참여한 연구자들 및 과학자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책과 현재의 소속을 밝혔으며 이 안내서에 사용된 문헌 270개 참고문헌 전체를 소개한다

  • PDF

Recommendations for Using Fluoride to Prevent and Control Dental Carie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치아우식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불소사용의 권장사항)

  • Park, Gi-Cheol;Kim, Jo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1 s.390
    • /
    • pp.915-925
    • /
    • 2001
  • 불소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미국인들의 구강건강이 확실하게 증진되었으며 수돗물의 인공적인 불소참가 사업은 지난 2000년 동안에 건강과학이 이룩한 가장 획기적인 건강관리 예방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음료수에 불소를 적정량 첨가하여 치아우식증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극적 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치과의학의 과학적인 연구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치과의학이 현대 건강과학의 지도적 위치를 확보하는 과정에 중요한 임무를 담당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중앙건강관리 및 예방 연구소는 정기적으로 불소사용과 관련된 연구 업적들에 대하여 관련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로 하여금 조리 정연하게 주기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불소사용법에 대한 안내서를 마련하고 있다. 미국 중앙 질병 관리 및 예방연구소는 평생을 불소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11명의 전문가들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22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그 동안에 발표된 관계문헌 270개를 분석 검토하여 2년동안에 걸쳐 작성한 최근의 불소 사용 안내서를 지난 2001년 8월 17일 발표했다. 그 내용이 중요하고 한국의 치과의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CDC의 허락을 받고 한글판을 작성하게 되었다. 한국의 관심 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분들이 실무진에 참여한 연구자들 및 과학자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책과 현재의 소속을 밝혔으며 이 안내서에 사용된 문헌 270개 참고문헌 전체를 소개한다

  • PDF

Recommendations for Using Fluoride to Prevent and Control Dental Caries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치아우식증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불소사용의 권장사항)

  • Park, Gi-Cheol;Kim, Jo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0 no.1 s.392
    • /
    • pp.42-53
    • /
    • 2002
  • 불소의 적절한 활용을 통하여 미국인들의 구강건강이 확실하게 증진되었으며 수돗물의 인공적인 불소첨가 사업은 지난 2000년 동안에 건강과학이 이룩한 가장 획기적인 건강관리 예방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음료수에 불소를 적정량 첨가하여 치아우식증을 퇴치하기 위하여 적극적 예방책을 마련함으로써 치과의학의 과학적인 연구의 기틀을 확고히 하여 치과의학이 현대건강과학의 지도적 위치를 확보하는 과정에 중요한 임무를 담당했다. 그러므로 미국의 중앙건강관리 및 예방 연구소는 정기적으로 불소사용과 관련된 연구 업적들에 대하여 관련 분야의 세계적인 학자들로 하여금 조리 정연하게 주기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불소사용법에 대한 안내서를 마련하고 이다. 미국 중앙 질병 관리 및 예방연구소는 평생을 불소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는 11명의 전문가들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22명의 과학자들과 함께 그 동안에 발표된 관계문헌 270개를 분석 검토하여 2년 동안에 걸쳐 작성한 최근의 불소 사용 안내서를 지난 2001년 8월 17일 발표했다. 그 내용이 중요하고 한국의 치과의사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에 CDC의 허락을 받고 한글판을 작성하게 되었다. 한국의 관심 있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분들이 실무진에 참여한 연구자들 및 과학자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그들의 직책과 현재의 소속을 밝혔으며 이 안내서에 사용된 문허 270개 참고문헌 전체를 소개한다.

  • PDF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네트워크분석에 기초한 과학학습의 목적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 Park, Kyeong-Jin;Chung, Duk-Ho;Ha, Minsu;Lee, Jun-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6
    • /
    • pp.571-58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from one hundred and sixty high schools nationwide, which were selected through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eachers and students responded on open-ended questionnaire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learn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ur study illustrates three major finding: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intrinsic value related to cognitive domain as the more important purpose of science learning, while students recognized the extrinsic value related to personal usefulness domain as more important. Second, teachers'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eaching career. Beginning teachers believed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were equally important, while experienced teachers believed the cognitive domain about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was more important than intrinsic valu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urpose of sci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experienced teachers is greater than the beginning teachers. Finally, students' respons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cademic track. Humanity major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science made their everyday-life easier while science major students recognized that learning science should be related to their future care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as th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 of teachers and students related to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