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자 직업평가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mage of Scientists and Perception on the Science-Related Career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및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 Song, Youngwook;Cho, Hyuk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5
    • /
    • pp.753-763
    • /
    • 2018
  • The image of scientists that learners have has an important impact on science learning and on science-related career choices. The image of the scientist was mainly analyzed using the drawing analysis method. Drawing analysis has limitations on drawing, mainly analyzing the external image of scientist. Science teachers' images of scientists and their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s are important factors in students' science learning and science-related career choices. However,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is lack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easurement tool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cientist image measurement tool through the semantic analysis method,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image of scientists and science-related professions of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9 male and 55 female for a total of 134 students in the 2nd and 3rd grade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at a teachers colle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imag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four components: 'ability,' 'evaluation,' 'activity,' and 'emotion,' in 24 item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to the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image of the 'evaluation,' 'ability,' and 'activity' elements of the scientist were high, but 'emotion' was low.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t is found that science-related career perceive them as 'hard,' 'professional,' 'smart,' and 'complex.' In particular, male students perceive themselves as 'hard and difficult' while female students perceive it as 'challenging and complicated'. Finally, we discussed the usefulness of using the image measurement tool of the scientists, the image of the scientists of the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science-related career.

과학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상 (이미지)

  • Kim, Hak-Su;Hong, Hye-Hyeon;Park, Seong-Cheol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11 no.2
    • /
    • pp.41-69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The concept of impression is assumed to reflect our significant view of an object better than that of image. That is, the basic assumption is that we tend to behave toward an object, based on its impression which is conceived to be "significant". I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2002, a national survey for 1,204 youth (406 for 5th grad; 381 for 8th grade; and 417 for 11th grade) was conducted to find the Korean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Our major finding is that the Korean youths' most impressions of the scientist were re his or her activities such as inventing, experimenting, researching, etc. And the major sources of those impressions were found to be television, book, and class. Other findings were about youths' impressions of the science teacher and opinions of the scientist as a profession. Finally, some policy-related implications based on survey results were presented at the end.

  • PDF

영국의 중의학: 의사, 의사가 아닌 시술자, 중국인 시술자

  • Stollberg, Gunnar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14-15
    • /
    • 2003
  • 중의학은 서양의 의료 다원주의의 한 부분이 되었다. 특히 침과 같이 서양의 개념과는 분명히 다른 의료 기법에 있어서는 두드러진다. 그밖에 뜸, 안마, 기공, 중약 및 복합 처방들도 있다. 서양에서 전문직업인화는 보건의료 관련분야에서 중심적인 인력양성 방법이 되었다. 이는 대학이 기반을 다진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19세기에는 법인들이 전문직업인 모임으로 바뀌어 가면서 개인적 환경을 변화시키고 직업의 체계를 개발하였다. 변호사, 교사, 사제, 의사가 그 예이다. 의료에 있어서 학교교육을 통해 수련된 의사들이 조산사나 안마사들을 지배하게 되었는데 이런 경향은 1950-60년대에 극에 달한다. 그러다가 이들의 지배는 대중매체, 환자, 다른 주변 의료 보조인력들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이와 비슷한 양상을 이단적인 의료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전문직업인의 우세와 시점이 비슷한 생물의학의 우월적 지배는 많은 다양한 의료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그러나 생물의학의 우월함의 약세가 시술자들의 전문직업인화 까지를 포함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침술과 같은 치료술들을 전문직업인인 의사나 의사가 아닌 시술자들이 함께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직능간의 분쟁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이단적 개념을 기존 의료계로 통합하는 것이 전문직업인들인 의사들의 노력으로 이해되었다. 이 견해는 두 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의사들을 단일한 속성으로 보고 있다는 것인데, 실제로 현대의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나라들 사이에도 매우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 둘째로 의료인이 아닌 시술자들도 다양한 분야로 통합되었는데, 통합은 어쩌면 하급의 전문인들의 노력의 결과로 설명되어야 하는 것이 더 알맞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도 전문직업인의 조직구조를 가져야 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파편으로 남을 것이다. 전문직업인주의는 언제나 과학과 연계하고 있는데, 독일 정부와 직업인 조직은 의료과학 집단에게 이단적 시술들의 임상효과를 검증하게 하였다. 이것은 이단 의료계에 우호적인 단체나 적대적인 단체 모두에게 적용되었다. 매우 강한 힘을 가진 냉소적인 조직 가운데 하나는 National Committee of SHI-Physicians and Sickness Fund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2 인데, 2001년에, 이 단체에서 출판한 자료에는 침의 효용성은 침을 시술하는 사람에 달린 것 일뿐 시술자의 수련이나 침 시술의 배경 개념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침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효과를 검증받지 못한 다른 치료법들의 범주에 머물러 있다.(cf. Bundesausschuss 2001: 8). 1990년대,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은 생물의학이 아닌 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알맞지 않고 비윤리적이라고 강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 1995년에 WHO는 침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이 실험기법을 추천하며, 이어 2001년에,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Medical Acupuncture and Related Techniques(ICMART)는 침연구와 시술을 위한 헌장(Acupuncture Charter Berlin an Evidence Based Medicine (EBM)3 for acupuncture)을 채택 공표한다. 독일 보험 회사들도 침의 효과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규모 실험을 시작했다. 100,000 명이 넘는 환자들이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을 통해 평가되고 있는데 이 실험은 병원이나 일차의료기관의 외래에서 진행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이 분야의 유력한 Edzard Ernst가 위의 개념과 비슷한 구도를 설정 공표하는데 보완의학 분야의 많은 다른 전문가들의 견해를 무릎 쓰고, 그는 증거기반 의학에 대한 그의 신념을 표방한다. "무작위 표본추출 대조군 실험이 보환의학 분야의 시술을 검증하기 위한 알맞은 방법이 아니라고 끝없이 주장하지만 우리는 거의 모든 치료법을 포괄하는 분야에 이들 실험을 발견하였으니, 이는 보완의학도 엄정한 방법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Ernst et al. 2001: xiii). 적어도 독일에서 진행중인 효과 검증 연구가 향후 아시아 의학의 기반 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영국에서는 이에 대한 정치적 수렴이 전문 직업인화에 달려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아시아에서 유래한 의료의 서양에서 어떻게 사회학적 관찰의 대상으로 분류되고 정의되는지 소개하고자 한다.

New Reliability Criteria for Korean Workers' Health Examination Spirometry Results (근로자건강진단 폐활량검사에서 새로운 신뢰성기준 적용 결과)

  • Yong Lim WON;Hwa-Yeon LEE;Jihye LEE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5 no.4
    • /
    • pp.276-283
    • /
    • 2023
  •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is currently evaluating spirometry tests used for worker health examinations by applying the 2005 American Thoracic Society (ATS) and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ERS) spirometric test standardization guide and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the 2019 ATS/ERS guide. To compare results obtained using the new evaluation criteria with previous results and deter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m to Korean workers' health examinations, we reviewed spirometry results from 325 special health examination institutions. Although evaluation criteria such as extrapolation volume, correction error, and forced inspiratory vital capacity were applied more strictly, institutions had higher reliability scores. Primarily because the acceptability and repeatability of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and forced vital capacity were judged separately, and thus, deduction width was reduced. The study shows that adopting the new evaluation criteria would reduce the possible use of inappropriate data, increase tester and doctor understanding of result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increase result reliability, and reduce the testing burden.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구성요소)

  • Yang, Seung-Ky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5
    • /
    • pp.455-46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and to explor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for each of the influential curriculum components to boost the belief and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34 dental hygiene students, 76 dental hygiene professors, and 285 dental hygienis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and by e-mail from April 10 to June 12, 2009. The collected data from 1,295 respondents were analyzed. First, overall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intellectual development, vocational education, socio-culturalization, ethics and creativity, which were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that didn't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selfactualization. Second,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learning interest, learning possibility and the significance of subjects, which were selection criteria of teaching content, and that wasn't closely linked to the validity of subjects and social significance. Third,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continuity and integrity, which were organizing principles of teaching content, and that didn't have a strong relationship to sequence. Fourth,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the content of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evaluation criteria, which were evaluation elements of curriculum, and that wasn't closely linked to the method of school evaluation, the content of the national exam,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exam and the method of the national exam.

The Effect of Interview with Scientist and Engineer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Jeon, Hwa-Young;Lee, Jin-Myung;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4
    • /
    • pp.350-35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iew with a scientist and engineer on service performance assessment on science career orientation and image of scientists. Science track students in the 11th grade carried out the interviews and made powerpoint presentations. After the students' presentation in the chemistry class, the teacher made comments on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Students gave presentation in each class for a year. Before starting this assessment, students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nd DAST (draw-a-scientist-test). These two tests were conducted again at the end of the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score for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categor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areer decision of a high school student has already been fixed rigid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1) between pre- and post-test on the image of scientists. This demonstrated that the stereotypic image for a scientist was reduced by the interview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at, students came to have an affirmative perception of scientists on service.

Differentiated Commun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Korea (이공계 기피 논의를 통해 본 한국 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 Lee, Eun-Kyou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6 no.2 s.12
    • /
    • pp.77-102
    • /
    • 2006
  • This paper analyzes shaping of the discourse of "avoidance of S&T" throughout 2002 in Korea and main ideas on it and argues that the Korean S&T community is not homogeneous. The Korean S&T community consists of many subgroups with different interest mainly according to the institutions where they work as well as their specialties, qualifications, and tasks. The discourse of avoidance of S&T" was begun with the first notice of the rapid decrease in applications of Korean SAT for S&T majors in the middle of 2001. The decrease was interpreted as a warning sign of the avoidance of S&T among teenagers and developed into the avalanche of discussions on the causes of such rapid decrease around the end of the year. However, through 2002, the "avoidance of S&T' was developed into a general policy agenda covering most of problems in S&T, not just a teenagers' issue any more. Many scientists and engineers claimed that their own difficulties and problems be the main causes of the "avoidance of S&T". In the name of measures to overcome the avoidance, they requested the government to solve their problems and to accept their demands. Those claims varied from group to group. Some of them were shared among all scientists and engineers; some of them were criticized by other groups with different interest in it; some of them did not get any attention of other groups. Scientists and engineers seemed to have no idea on cooperative strategy to draw positive response to their requests from the government.

  • PDF

Exploration of the Dance Career Intervention by AHP Method: Focusing on Vocational Guidance,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HP분석을 활용한 무용진로개입의 체계적 접근 방안 : 직업지도, 진로교육 및 상담을 중심으로)

  • Kim, Ji Young;Lim, Su Jin;Kim, Hyoung Nam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5 no.6
    • /
    • pp.661-67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systematic access method of career intervention for dance majors. This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a result of study, 16 elements of career intervention were produced in total 4 areas. Results show that vocational guidance puts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vocations, career education on the career planning and goal, career counseling on the macro-narrative to the life and career intervention network on the dance job fair and workshop. In the complex weight of all factors, ratings of weight show that dance vocation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are demanded significantly. Results show that expansion of career alternatives, application of diversified dance career development road map to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st tool and outcome standard, dance educators' systematic career intervention education and systematization of network for career support were suggested as measures for dance career intervention. This study discussed about dynamic reality and systematic access method for dance majors based on theories of Holland(1997), Super(1990), and Savickas(2005).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

Development of Road traffic Air Diffusion Simulation System using Graphic User Interface (GUI)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한 도로의 대기확산 예측시스템 개발)

  • Lee, Hwa-Woon;Oh, Eun-J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5
    • /
    • pp.411-419
    • /
    • 2003
  •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on NO$_2$ (or TSP) emitted by vehicles is important for local resid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ir heal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course of field investigations, correct concentrations are measured and meteorological data are observed for numerical simulation. To determine background concentration for numerical simulation,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NO$_2$ (or TSP) are estimated using the Puff-Plume model. If the estimated result affects the environment, it must be considered in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 To make the process of a estima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more easily, this system is developed. Moreover, this system was supplied a Graphic User Interface (GH) for the user who calculated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ion exhausted from the traffic on general roads except special roads such as interchanges and entrances to tunnels. This system can offer not only the numerical result but also a graphic display. Even a beginner who is not a professional programmer can calculate the result eas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