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기술인력정책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4초

정부출연연구원의 창조적 인력양성전략: 전주기적 인력관리 관점에서

  • 조형례;조성복;석재진;정선양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453-471
    • /
    • 2009
  • 현대경제가 점차 지식기반경제로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지식을 창출하고 활용하여서 경제적 가치로 전환되는 선순환적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인재육성이 가장 핵심적인 필수조건일 것이다. 현재 국가의 미래발전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과학기술발전전략임을 고려할 때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인적자원개발 정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렇다면 과학기술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출연(연)에서 효율적인 방향정립이 필요한 이 시점에서 연구원의 인력을 양성하는 일은 국가혁신체제 전반에 걸쳐 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문헌들을 바탕으로 인력양성에 대한 연구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창조적 인력양성전략은 조직 내에서 유치, 육성, 활용, 퇴직, 안락한 노후로 이어지며,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인력의 유치 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창조적 인적자원의 전주기적 경영(Life Cycle Management of Creativity Human Capital)" 을 본 연구의 핵심으로 전체연구를 전개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전주기적 경영에 있어서 각 단계별로 다양한 정책적 이슈들이 대두될 수 있다.

  • PDF

인구정책방향을 바로잡자

  • 이시백
    • 과학과기술
    • /
    • 제28권6호통권313호
    • /
    • pp.10-11
    • /
    • 1995
  • 우리나라는 다출산 남아선호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난 30여년간 강력한 출산조절정책으로 출산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는데 성공했다. 앞으로 생산현장의 노동인력 부족만을 염려하여 출산 장려쪽으로 선회하고자 하는 인구정책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PDF

미국 ATE 정책 기반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비교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mpar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ATE Programs of U.S.)

  • 홍순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249-267
    • /
    • 2018
  • 미국의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은 2010년 시작된 NICE를 중심으로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기존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전문인력 양성 정책의 일환인 국가과학재단(NSF)의 첨단기술교육(ATE) 8개 분야 중 하나인 보안기술(Security Technologies)에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 보안기술 분야는 NICE와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으며, 5종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ATE에서 지원하는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프로그램 5종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들과 유사한 우리나라의 정부지원 프로그램을 상호 비교하여 개선점을 도출한 후, 국가차원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에 대한 추진 방향을 제안한다. 이때 적용된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평가 프레임워크를 새로운 인력양성 정책 수립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과학기술인력의 재교육·계속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Re-Education &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R&D Human Resources)

  • 조현정;김병근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37-146
    • /
    • 2010
  • 본 연구는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재교육 계속교육 요구를 분석하여,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기존 교육의 체계화 및 신규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더 나아가 과학기술 인력 재교육 계속교육에 대한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 재교육 계속교육의 필요성 및 기존 산업현장의 요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 후, 대학 및 출연(연), 그리고 민간기업 연구소의 연구 인력을 대상으로 재교육 계속교육의 시행 현황 조사 및 시행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존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대상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교육 활성화 장애 요인 및 개선요인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교육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인력의 재교육 계속교육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 및 지원내용의 중요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 PDF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1968-2012: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 우새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279-2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정책 목표가 교육에 의한 영재성 발휘보다 국가 사회 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으로 편향된 것이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과학영재교육정책은 과학기술행정부처 중심 정책과 교육행정부처 중심 정책으로 나뉜다. 교육행정부처는 교육적 형평성을 실현을 목표로 영재교육정책을 세웠다. 이와 달리 과학기술행정부처는 경제 발전을 위해 산업에 투입할 고급 과학기술인력양성이라는 관점에서 과학영재에 주목했다. 이들은 상호작용하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체제를 형성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행정부처가 과학영재교육의 국가 사회적 목표를 강조함으로써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 수립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보이고, 연구생산성이 높을 시기에 과학영재들이 실질적으로 연구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행정부처가 정책적 토대를 만들었다는 것을 보인 것에 의의가 있다.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의 직업다변화 및 결정요인 분석 (Occupational Diversification of Doctora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 조가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3호
    • /
    • pp.55-76
    • /
    • 2020
  • 한국에서 전통적인 과학기술인력 직업군의 경계는 빠른 속도로 허물어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식기반경제의 등장과 확장으로 과학기술이 전통적 활용영역을 넘어 확산됨에 따라 과학기술인력 역시 다양한 융합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학력 인구의 비중에 비해 고급 직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서 기인한 하향취업이 그러한 경향을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박사급 이공계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관련 직종을 전통적 과학기술직업군과 기타 직업군으로 나누어 그 비중의 변화를 도출하며,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 박사인력의 직업구성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다변화는 공학보다는 이학 분야에서, 공공보다는 민간 분야에서, 그리고 신규 세대일수록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 촉진 요인에 대한 분석 (A Study on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in Scientist and Engineer Laborforce)

  • 홍성민;장선미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이공계 대졸자 초기노동시장 경력개발 모형 연구로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을 촉진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한 세 가지 로짓 분석 모형을 구성하고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인력 전문직업에 안착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변수는 크게 2011년 일자리 속성, 현재 일자리 속성, 근로조건 변화 속성, 취업 노력 속성, 대학 교육 속성, 인적 속성 등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세 가지 분석 모형은 일자리 속성 위주의 설명변수를 주로 포함한 수요측면 모형, 취업노력이나 대학 교육 속성 등을 중심으로 한 공급측면 모형, 모든 설명변수를 포함한 종합 모형이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인력의 안정적인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대학교육 등 공급측면보다 수요측면의 일자리 속성이 훨씬 더 중요하게 나타났다. 결국 초기에 안정적으로 과학기술전문직업에 안착할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 창출과 매칭 정책이 가장 절실한 정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