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기술위성 3호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과학기술위성 3호 주탑재체 MIRIS의 비행모델 우주환경시험

  • 문봉곤;박영식;박귀종;이덕행;이대희;정웅섭;남욱원;박원기;김일중;차원호;신구환;이상현;서정기;박종오;이승우;한원용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205.1-205.1
    • /
    • 2012
  • 러시아 발사체 드네프르에 의해 발사될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탑재체 다목적적외선영상시스템, MIRIS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주관하여 개발되었다. 그 구성 카메라인 EOC (Earth Observation Camera)는 한반도재난감시를 수행하고, SOC (Space Observation Camera)는 우리 은하 평면의 근적외선 서베이 관측을 통해 $360^{\circ}{\times}6^{\circ}$ Paschen-${\alpha}$ 방출선 지도를 작성하고 I, H 밴드 필터를 이용해서 황도 남북극에 대한 적외선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한다. MIRIS 비행모델이 제작 완료되었고, 그 구성 기기인 SOC, EOC, 전장박스에 대한 최종 우주환경시험을 수행하였다. 과학기술위성 3호의 비행모델 우주환경시험은 진동시험과 열진공시험으로 이뤄지며, 그 시험 규격은 문서에 규정된 Acceptance Level로 수행된다. 충격시험은 공학인증모델을 통해 검증되었다. 열진공시험은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수행되었으며, 진동시험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센터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전체 위성이 조립된 후 과학기술위성 3호의 열진공시험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수행되었다. 이 발표에서는 MIRIS 비행모델에 대한 환경시험과정 및 결과를 보고하고, 과학기술위성이 전체적으로 조립된 후의 MIRIS 진동 및 열진공 시험 결과도 함께 논의한다.

  • PDF

과학위성 1호 구조체 개발

  • 이상현;탁경모;차원호;이준호;장태성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109-109
    • /
    • 2003
  • 원자외선분광기(FIMS), 우주물리탑재체(SPP)를 탑재한 과학기술위성 1호는 무게 약 106kg으로 고도 690km의 원형궤도에 러시아의 COSMOS-3M에 의해 플레세츠크(Plesetsk)에서 발사 되었다. 과학기술위성 1호는 적층타입(Stack Type)으로 구조체가 설계되었으며, 하나의 모듈을 하나의 구조물로 만들어 여러 개의 구조물을 쌓아 타이바(Tie Bar)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것은 모듈을 구조체로 사용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강성이 높고, 하니스 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조체는 발사환경과 우주환경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그 과정을 지상에서 시험으로 검증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 1호의 구조물 개발과정과 제작과정을 설명하고, 제작된 구조물의 시험과정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하이브리드 복합재 샌드위치 패널로 구성된 전구조 복합재 위성의 랜덤진동 특성 평가 (Random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a Whole Structure Composite Satellite Having Hybrid Composite Sandwich Panels)

  • 조희근;이주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798-805
    • /
    • 2010
  • 전구조 소형 복합재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가 국내 최초로 개발되었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기존의 위성과 달리 알루미늄 프레임이 없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알루미늄 코어에 적층복합재 스킨을 가진 샌드위치 패널의 조합으로 구성되었다. 이 복합재 패널의 결합으로 구성된 격자형태의 공간에 다수의 전장박스와 탑재체 및 장치들이 장착된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랜덤진동 응답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위하여 FEA 해석과 시험이 수행 되었다. 진동시험 결과와 전산해석결과를 서로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써 위성의 진동 특성을 규명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실 탐방-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 하정실
    • 과학과기술
    • /
    • 제28권4호통권311호
    • /
    • pp.82-83
    • /
    • 1995
  • 「우리별」1,2호에 성공적 발사로 우리도 인공위성국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최순달 소장을 중심으로 「우리별3호」제작준비에 바쁜 연구실장을 찾아가 본다.

  • PDF

과학기술위성3호 탑재체 자료배포를 위한 영상자료와 관제자료 결합방법

  • 이승헌;손준원;박종오;이승우;이철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90.2-190.2
    • /
    • 2012
  • 과학기술위성3호는 170kg의 소형위성으로 2006년 사업을 착수하였으며, 올 2012년 12월에 러시아에서 발사할 예정이다. 주탑재체는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 (MIRIS,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으로 천문연에서 개발을 담당하였으며 우주관측과 지구관측을 수행한다. 부탑재체는 소형영상분광기 (COMIS, Compact Imaging Spectrometer)로 공주대에서 개발을 하였으며 지표면의 분광영상을 획득한다. 관측영상을 지상에서 내려 받아 사용자에게 배포를 하기 전 Radiometric, Geometric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측영상 외에 관측할 때의 위성체 자세제어 정보도 함께 필요하다. 과학기술위성3호의 경우 우주관측은 관측영상 정보에 위성본체의 자세제어 정보도 함께 저장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영상자료와 관제자료의 결합을 위해 추가로 수행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지구관측은 영상자료와 자세제어 정보를 따로 저장하여 지상국으로 전송한다. 한곳의 영역만 관측 후 지상국으로 전송받는다면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지상국과 교신할 수 있는 궤도의 수는 한정되기 때문에 위성체의 메모리에는 여러 영역의 관측영상이 저장되어 있으며, 위성은 지상국과의 교신시간이 허락하는 최대로 영상자료를 송신한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영상자료의 저장 포맷과 여러 영역을 관측했을 때 각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자료 구분 방법, 그리고 각 영상자료와 관제자료의 결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PDF

과학기술위성2호 지상관제를 위한 기저대역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SAT-2 Ground Station Baseband Control System)

  • 오승한;오대수;오치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0-115
    • /
    • 2006
  • 과학기술위성2호(STSAT-2)는 우리기술에 의해 만들어지는 KSLV 발사체에 실리는 첫 위성이다. 현재 STSAT-2의 관제를 위한 지상관제용 제어시스템(GBC)은 EM(Engineering Model)개발이 완료되어 성능검증 까지 마친 상태이며 최종 납품모델을 제작 중에 있다. GBC는 크게 2가지 기능을 가지는데 하나는 지상 수신안테나들(1.5M, 3.7M, 13M)과 관제컴퓨터들 사이에 연결패스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것이다. GBC는 거의 모든 기능 (MODEM, PROTOCOL, GBC system control)을 FPGA에 담고 있다. GBC의 FPGA에 구현되어있는 MODEM은 두 개의 uplink FSK modulators(1.2[kbps], 9.6[kbps])와 여섯개의 downlink FSK demodulators(9.6[kbps], 38.4[kbps])로 구성되어있다. 과학기술위성 2호의 GBC는 물리적으로 과학기술위성 1호의 관제 시스템보다 매우 작아졌으며 기능은 더 풍부해진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은 GBC의 구조, 성능, 실험결과에 관한 것이다.

소형 복합재 위성 구조체 개발 (Development of a Composite Spacecraft Structure for STSAT-3 Satellite Program)

  • 조희근;서정기;김병중;장태성;차원호;이대길;명로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727-736
    • /
    • 2010
  • 과학기술위성 3호는 국내 최초의 전구조 복합재 위성이다. 이전에 개발된 위성은 대부분 태양전지판 등 부분적인 복합재 구조로 된 것도 있으나 전 구조 복합재 위성은 개발된 적이 없었다. 본 연구는 소형 복합재 위성의 버스 구조체 개발을 위한 복합재 응용 설계 및 제작 기술의 적용과 그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위성 3호의 버스구조체는 이전에 개발된 위성의 구조체 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 개발되었다.

과학기술위성 3호 온보드 컴퓨터의 양성자 빔에 의한 Single Event Effect 분석 (Analysis of the Single Event Effect of the Science Technology Satellite-3 On-Board Computer under Proton Irradiation)

  • 강동수;오대수;고대호;백종철;김형신;장경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174-1180
    • /
    • 2011
  • Field Programmble Gate Array(FPGA)는 설계 시간 단축, 재구성 가능성 등의 이유로 우주용 시스템에 사용이 늘고 있다. 그러나,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구조를 가지는 FPGA의 경우 우주 방사능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single event upset (SEU)로 인한 영향에 더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위성 3호 온보드 컴퓨터에서는 SEU로 발생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triple modular redundancy (TMR)과 Scrubbing scheme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 방사선 조사 실험 결과, TMR과 Scrubbing 기법을 통하여 문턱 에너지 값이 10.6 MeV에서 20.3 MeV로 개선됨을 확인하였으며, 과학기술위성 3호 위성 궤도 환경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와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1.23 bit-flips/day의 에러율을 얻었다.

과학기술위성 3호를 위한 스페이스와이어 링크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SpaceWire Link Interface for STSAT-3)

  • 류상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925-932
    • /
    • 2010
  • 스페이스와이어는 우주비행체 구성 요소들 간의 고속 정보 전달을 위하여 링크 또는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시켜주는 표준으로서 기존의 방식보다 저렴한 비용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도록 고안되었다. 스페이스와이어는 ESA, NASA 그리고 JAXA의 다수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되었고 향후 국내의 인공위성 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될 것이다. 스페이스와이어 기술을 효과적으로 유연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 3호의 대용량 메모리 유닛에 적용되는 스페이스와이어 링크 인터페이스의 개발 결과에 관해 소개한다.

과학위성 1호 인증모델에 대한 발사환경시험 결과 (Launch environmental test results of KAISTSAT-4 QM)

  • 탁경모;이준호;이상현;김도형;차원호;윤성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4-129
    • /
    • 2002
  •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우리별 1, 2, 3호의 성공적인 개발 및 발사에 이어 2003년 발사예정으로 과학위성 1호를 개발하고 있다. 과학위성 1호는 주탑재체로 원자외선분광기와 우주플라즈마 관측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우리별 1, 2, 3호의 기술적 유산인 박스형태의 적층식 기계수조로 설계되어 있다. 현재 과학위성 1호는 인증모델의 설계 및 제작과 인증수준의 열진공시험 및 발사환경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위성 1호 인증모델을 기계구조시스템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발사환경시험 결과를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