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SpaceWire Link Interface for STSAT-3

과학기술위성 3호를 위한 스페이스와이어 링크 인터페이스 구현

  • 류상문 (군산대학교 제어로봇공학과)
  • Received : 2010.04.22
  • Accepted : 2010.08.13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SpaceWire is a standard for high-speed links and networks between spacecraft components, which was invented for better, cheaper, faster on-board data handling in spacecraft. SpaceWire is being widely used on many space missions by ESA, NASA and JAXA, and is expected to be used in future satellite development programs in Korea. For flexible and efficient application of SpaceWi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lated technologies.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test of a SpaceWire link interface, which will be incorporated in MMU(Mass Memory Unit) of STSAT-3(Science & Technology Satellite-3).

스페이스와이어는 우주비행체 구성 요소들 간의 고속 정보 전달을 위하여 링크 또는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시켜주는 표준으로서 기존의 방식보다 저렴한 비용에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도록 고안되었다. 스페이스와이어는 ESA, NASA 그리고 JAXA의 다수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되었고 향후 국내의 인공위성 개발 프로그램에 적용될 것이다. 스페이스와이어 기술을 효과적으로 유연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 3호의 대용량 메모리 유닛에 적용되는 스페이스와이어 링크 인터페이스의 개발 결과에 관해 소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ESA Standard, “CSS-E-ST-50-12C : SpaceWire-Links, nodes, routers and networks”, 2008.
  2. 유상문, "항공 우주 응용을 위한 임베디드 네트워크: 스페이스와이어",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제 13권, 제 4호, 2007, pp. 36-41.
  3. IEEE Standard 1355, “IEEE Standard for Heterogeneous Interconnect (HIC)”.
  4. IEEE Standard 1596.3, “IEEE Standard for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s (LVDS) for Scalable Coherent Interface (SCI)”.
  5. 이승헌 외, "과학기술위성 3호 시스템", 한국항공우주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8, pp. 1093-1096.
  6. 서인호, 오대수, “과학기술위성 3호 대용량 메모리 유닛의 인증모델 설계 및 구현”,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 37권, 제 12호, 2009, pp. 1258-1263. https://doi.org/10.5139/JKSAS.2009.37.12.1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