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기술위성 3호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4초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 인터페이스

  • 이성세;이승우;신구환;서정기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89.2-189.2
    • /
    • 2012
  • 과학기술위성 3호는 드네프르 발사체에 의해서 클러스터 형태로 발사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발사와 관련된 기계적 인터페이스, 전기적 인터페이스, 궤도 인터페이스, 발사장 인터페이스, 환경 인터페이스 등을 세부 적으로 기술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소형위성의 클러스터 발사의 기본적은 개념을 정의 할 수 있으며, 추후 소형위성 발사와 관련된 기본 기술을 확인 할 수 있다.

  • PDF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 영상분광기COMIS 광학 설계 (Optical Design of the STSAT-3 Secondary Payload: COMIS (Compact Hyperspectral Imager))

  • 이준호;김용민;장태성;양호순;이승우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2
    • /
    • 2008
  •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로 영상분광기(COMIS, Compact Hyperspectral Imager)가 선정되어 2007년 5월부터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COMIS는 2010년 과학기술위성3호에 탑재 발사되어, 위성 궤도 700km 상공에서 해상도 30m을 가지고, 30km 폭의 지표면 또는 대기를 관측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된 위성탑재 지구관측카메라가 흑백이거나 다분광(3파장)으로 지구관측을 하는 것에 반하여 COMIS는 가시광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 16${\sim}$62대역(4${\sim}$15nm 파장 분해능)의 초분광 관측을 수행하게 된다. 초분광 영상은 관측 대상 물성의 상세 구분이 가능한 관계로 군사적 활용을 포함한 원격 탐사의 주요 활용 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기술위성3호 부탑재체로 개발되는 영상분광기인 COMIS(Compact Hyperspectral Imager)의 전반적인 개념, 활용 과학을 먼저 소개하고 상세 광학 설계를 발표한다.

  • PDF

과학기술위성 3호 운영개념 (STSAT-3 Operations Concept)

  • 이승헌;박종오;이승우;정태진;이대희;이준호
    • 항공우주기술
    • /
    • 제10권2호
    • /
    • pp.29-36
    • /
    • 2011
  • 과학기술위성 3호는 우리별 위성 시리즈와 과학기술위성 1호, 2호를 잇는 소형위성으로 첨단 위성체 핵심 기술 선행연구, 첨단 우주 및 지구 과학 탑재체 개발, 우주분야 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과학기술위성의 주탑재체는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으로 우리은하와 황도극지방을 관측하여 우주의 기원을 연구한다.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에는 국산 적외선 센서의 우주검증을 위해 지표면의 적외선 영상 획득 임무도 추가되었다. 부탑재체는 초소형 영상 분광기로서 농작물의 작황, 댐의 수질 예측 모델, 에어로졸 광학 두께 측정 연구 등에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말에 발사되어 주어진 임무기간 동안 과학기술위성 3호의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한 운영개념을 설명한다.

과학기술위성 3호 홀추력기 추진계 개발 (STSAT-3 Hall Thruster Propulsion System Development)

  • 조희근;유광선;차원호;이종섭;서미희;최원호;명로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834-841
    • /
    • 2010
  • 최신기술이 적용된 전구조 복합재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 (STSAT-3)가 국내 최초로 개발 되었으며 2011년 발사예정이다. 모든 위성과 마찬가지로 과기 3호에는 다수의 탑재체가 탑재될 예정이며 그 주된 목적은 선진 우주기술의 과학적 검증에 있다. 제논 가스를 연료로 하는 홀추력기가 국내 최초로 개발되어 지상시험을 거친 후 과기3호에 탑재되었다. 본 연구는 홀추력기 개발에 적용된 전반적인 개발기술, 절차, 기능 및 환경시험에 대한 내용이며 선진 우주기술 획득 및 차후 위성개발을 위한 기술자료 축적에 그 중요성이 있다.

과학기술위성 3호 X-대역 송신기 비행모델 설계, 제작 및 시험 (Design, Implementation and Test of Flight Model of X-Band Transmitter for STSAT-3)

  • 서규재;이정수;오치욱;오승한;채장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61-46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현재 KAIST 인공위성 연구센터(SaTReC)에서 개발 진행 중인 과학기술위성3호(STSAT-3) 위성체의 탑재체 데이터 전송을 위한 X대역 송신기 비행모델 개발 및 시험에 관하여 기술한다. 과학기술위성3호의 통신시스템은 크게 상태정보, 명령 송수신을 위한 통신채널과 임무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채널로 구성되며 상태 정보 및 명령 송수신을 위하여 S대역을 사용하며 임무데이터 전송용으로 X대역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위성 3호에서는 대용량 메모리 유닛(MMU; Mass Memory Unit)에 저장된 탑재체 관측정보가 X대역 송신기의 QPSK 변조기에서 변조를 하고, 변조된 신호는 스위치를 거친 이후에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위성 3호 X대역 송신기 내부의 변조방식, 저역통과 여파기, power amp, 스위치 등에 대해서 제작된 특성을 기술한다. X-band 송신기의 비행모델은 성능시험, 환경시험(진동시험, 열진공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위성체 조립 단계(Assembly Integration and Test, AIT)에 납품되었다.

과학위성 1호 지상국 시스템

  • 김경희;박홍영;오치욱;이상연;정성인;오대수;박성수;이종주;곽성우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53-53
    • /
    • 2003
  • 과학위성 1호는 기존의 우리별 1,2,3호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기술 습득과 독자 개발의 단계를 거쳐 기술의 최적화와 동시에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과학 탑재체, 원격 자료 수집 등의 우주 환경 측정 및 지상 생명체 탐사의 임무를 수행하기위한 최초의 국내 위성이다. 과학위성 1호 지상국 시스템은 과학위성 1호의 맡은바 임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명령이나 프로그램을 위성으로 송신하여 위성을 조정하고, 위성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원격검침정보와 탑재체로부터 측정된 실험자료를 수신하며, 수신된 모든 자료를 저장, 처리 및 관리하여 위성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수신 자료를 요구하는 사용자들에게 분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위성 1호 지상국 시스템의 개발 및 설치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과학기술위성 2호 운영개념

  • 이승헌;금정훈;박종오;심은섭
    • 항공우주기술
    • /
    • 제3권1호
    • /
    • pp.79-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전남 고흥의 외나로도에서 국내 최소의 소형 발사체(KSLV-1)에 의하여 발사될 과학기술위성 2호의 임무 수행을 위한 운영 개념을 설명하였다. 과학기술위성 2호의 주요임무는 주 탑재체인 진공자외선 카메라를 통하여 태양의 Lyman-alpha 이미지 촬영, 부 탑재체인 레이저 반사경을 이용하여 위성의 정확한 위치 측정에 있다. 또한 위성본체의 신기술 검증도 수행하게 된다.

  • PDF

과학기술위성 3호 S 대역 수신기 기술인증모델 개발 (Engineering Qualification Model Development of S-band Receiver for STSAT-3)

  • 이정수;오승한;서규재;오치욱;명로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09-614
    • /
    • 2009
  • 과학기술위성 3호의 TT&C 통신 서브시스템은 위성의 텔레메트리(Telemetry) 신호를 지상국에 송신하고 지상국으로부터의 명령(Command)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경로로 구성된다. 지상국으로부터의 명령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S 대역 수신기가 사용되며, 현재 기술인증모델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설계된 S 대역 수신기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주파수 하향변환 방식으로 Single Conversion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DC-DC Converter과 EMI Filter을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복조부를 FPGA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RS-422을 사용하였다. S 대역 수신기는 기능시험과 환경시험을 수행한 결과 과학기술위성 3호의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용모드에 따른 과학기술위성2호의 전력 수요예측 분석 (Power Budget Analysis for STSAT-2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 신구환;남명용;임종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93-98
    • /
    • 2005
  • 과학기술위성2호는 2007년 12월에 발사될 예정이다. 이 위성의 주관측기는 DREAM으로서, 주요 임무는 지구 또는 대기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에너지를 라디오파 대역에서 관측하는 것이다. 이 외 과학기술위성2호는 과학기술 실험용기기로서 정밀디지탈 태양센서, 2중헤드 별센서 등이 탑재되며, 과학기술위성2호의 자세제어 및 모멘텀 덤핑용 과학기술실험용 탑재체로서 펄스형 플라즈마 추력기가 실린다. 본 논문에서는 관측기기 및 과학기술실험용 탑재체 등의 운용모드를 고려한 과학기술위성2호의 운용모드에 따른 전력의 수요예측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필요전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R&D 리포트 - "광학업체들, 위성탑재체 개발 참여로 첨단기술 확보 계기로 삼아야" - 우리기술.우리 탑재체, 과학기술위성 3호 지구관측 영상분광기 코미스(COMIS) -

  • 이준호
    • 광학세계
    • /
    • 통권121호
    • /
    • pp.23-27
    • /
    • 2009
  • 1980년 말에 시작한 우주개발에 참여한 우리나라는 약 2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급속하게 기술축적을 하여 위성체 개발 기술을 상당부분 보유하게 되었고, 오는 7월이면 KSLV-1의 발사를 통하여 우주진입 기술 확보도 시작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과학기술위성 3호 영상분광기 코미스(COMIS)는 개발 과정도 하나의 목표로 취급되고 있어, 모든 개발 과정이 100% 국내에서 이뤄지고 있다. 특히, 광학 소자의 가공 및 평가에 국내 민수 광학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다. 광학 업체의 위성탑재체 개발 참여를 통한 매출 증가는 아직 미비하지만 이를 통하여 초정밀 초청밀 가공 및 평가 기술, 초경량화 및 신소재, 환경평가 기술들을 확보하는 계기로 판단하여 적극적인 참여의지 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