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교육정책

Search Result 55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Implications For Strategies And Finding Subjects Through Policy Analysis of SMAR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Policy, Historical Approach, Contents Analysis (스마트교육의 정책 분석을 통한 추진 전략 및 과제 발굴의 시사점 : 정책 특징, 역사적 접근,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 Kim, Young R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1
    • /
    • pp.155-161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ginning background of the Smart Education Policy. Besides this article suggests the policy task and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politique characteristic of the Smart Education Policy. First of all, the Smart Education Policy belongs with distribution policy. Distribution policy means that the government positively provides goods and services that people in need. Second, the Smart Education Policy has high tangibility and the policy's output appears immediately. Thus, this step required verification of policy output as well as policy impact. Third, the Smart Education Policy is succession policy of historical and contextual homogeneity of educational informati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that has been promoted in our country since 1996. So, Policy implementation must based on this. Fourth, in order to smooth driving of the Smart Education Policy, to keep up with a rapidly changing politique environment, driving of policy need to secure high flexibility.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학생의 과학학습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 Kim, Youngmin;Paik, Seoung-Hey;Choi, Sun Young;Kang, Nam-Hwa;Maeng, Seungho;Joung, Yong 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751-772
    • /
    • 2015
  • Valid a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would require research-based decisions on multiple aspects of science education including policy decisions,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designing teaching resources and methods. However,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order to provide a research base for science education practices and policy-making,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maj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s in South Korea in the last ten year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8 areas including student conceptions, student thinking, inquiry, affective domain, student ideas about science, science curriculum, students' learning and classroom activity, and student learning in informal settings. General research trends found include: First, science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for the past decade focused on a certain limited topics/area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limited to certain grade levels or types of students. Third, rather than examining developmental processes descriptive research was prevalent. Fourth,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developing new areas of study or research on generation of new perspectives, theories or tools. Fifth, many studies were related to school science learning while relatively less studies were about other areas that would impact students'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others.

기자가 만난 과기정책 현장 - 정경택 교과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획단장

  • Lee, Hyeon-Gy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s.508
    • /
    • pp.68-69
    • /
    • 2011
  • 정경택 교육과학기술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기획단장은 '해결사'로 불린다. 지난해 교과부 과학기술정책실 정책조정기획관으로 부임해 국가 연구개발 컨트롤타워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성공적으로 출범시켰다. 다음 해결 주제는 '말도 많고 탈도 많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사업이었다. 그는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구성해 2년여를 끌어온 과학벨트 입지 선정을 지난 5월 마무리했다. 과학벨트 사업은 여전히 국내외 과학자들의 관심 대상 0순위다. 올 연말 기초과학연구원이 설립되고 내년엔 기초과학연구원 산하 연구단 25개가 선정된다.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연구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 PDF

Interview - 김차동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상임위원

  • Lee, Eun-J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s.509
    • /
    • pp.4-7
    • /
    • 2011
  • 국가과학기술위원회(국과위)가 출범한 지 6개월이 지났다. 현 정부 출범 후 과학기술부가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로 통합되면서 '과학정책이 실종됐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국과위가 출범해 정부 전체의 연구개발을 총지휘하기로 조직이 바뀐 것이다. 그동안 문제가 됐던 과학정책에서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국과위가 잘해낼 수 있을지, 김차동 상임위원을 만나 소회와 앞으로의 계획을 들어봤다.

  • PDF

Factors Affecting Science Track Choi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한국 인문계 고교생들의 진로결정 요인)

  • Myeong, Jeon-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6 no.2
    • /
    • pp.63-72
    • /
    • 1986
  • 과학교육은 학생들이 장차 과학 기술분야의 직업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을 그 중요한 결실의 하나로 잡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교육의 주요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보다 많은 영재를 과학 기술분야로 유치하려고 여러 가지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도 결국은 학생이 과학 기술분야로 모여들지 않으면 그 효과가 없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어떤 이유로 과학 기술분야를 선택하는지 혹은 기피하는지 그 원인을 아는 것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 및 기술분야의 직업을 갖게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교생의 문 이과반 선택에 있어 그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내외 남 녀 고교 1학년생 109명(문과 56명, 이과 53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학생들의 문 이과반 선택에는 장래직업, 대학전공, 적성, 학과목에 대한 능력, 흥미 선호도,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이 주요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중 문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신의 적성 이과과목에 대한 능력부족 인식, 내신 및 학력고사에서의 성적취득용이성 등 주로 자신의 내적 동기와 관련된 요인들을 들고 있는데 비해, 이과를 지원한 학생들은 밝은 직업전망, 가족 및 주위의 권유 등 외적인 동기도 큰 작용을 하고 있음을 보여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 문과를 지원한 학생은 이과가 공부하기가 어렵고 성적을 올리기도 힘들어 이과를 기피한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이과 지원자는 문과를 기피하여 이과로 왔다는 응답은 별로 없는 점이 대조를 보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가 던져주는 시사점과 과학교육의 개선책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 PDF

Proposal for AI/SW Education of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chemical element symbol image for the Utilizing Future Intelligent Laboratory (미래 지능형 과학실 활용을 위한 "화학원소기호 이미지 기계학습 AI·SW교육 프로그램" 제안)

  • Park, Min-Sol;Park, Ju-Bon;Park, Yu-Min;Cho,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29-632
    • /
    • 2020
  •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교육부는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교육분야, 교육정책 방안으로 SW(소프트웨어)교육에 AI(인공지능) 교육까지 추가되야 한다고 제안하고 2024년까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과학실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교육정책 방안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융합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미래 지능형 과학실 활용을 위한 화학원소기호 이미지 기계학습 AI·SW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이공계 교육에 나라의 명운 달려있다

  • Kim, Si-Jung
    • 대학교육
    • /
    • s.129
    • /
    • pp.9-17
    • /
    • 2004
  •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과학기술분야 인재의 양성은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핵심 정책으로 부각되어야 하고 정부는 물론 산업계, 학계에서 문제해결에 전략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