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학교수

검색결과 2,015건 처리시간 0.029초

이달의 과학자 - 포항공대 수학과 교수 최재경박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4호통권323호
    • /
    • pp.76-77
    • /
    • 1996
  • 포항공대 최재경교수는 미분기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등주부등식을 연구해온 세계적 수준의 수학자다. 그는 1988년 곡면의 경계가 두개일때 등주부등식이 성립함을 사상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난 70년동안 수학자들이 해결하지 못했던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로 높게 평가받고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연구센터 이정권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4권1호통권380호
    • /
    • pp.22-23
    • /
    • 2001
  • 대전 KAIST 소음 및 진동제어 연구센터의 이정권 교수는 제반 음향이론 및 실험기법과 이에 대한 실제적용을 연구하는 중견과학자이다. 이교수는 음향학 중에서도 덕트 내의 음향전파, 차량의 소음 및 진동제어, 구조음향 및 이에 수반된 음장소음 및 진동제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경희대 의대 생리학교실 조영욱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3권9호통권376호
    • /
    • pp.74-75
    • /
    • 2000
  • 신경전기생리학이 전공인 조영욱 교수는 통증연구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학자중의 한사람이다. 최근 그는 통증억제작용 규명에 진일보된 논문을 발표해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 이 연구를 토대로 발전된 진통기술 및 약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한국교원대 교수 정용승박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6호통권325호
    • /
    • pp.76-77
    • /
    • 1996
  • 중국발원 대기오염 물질이 한반도에 유입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여 그 원인을 규명한 한국교원대 정용승교수. 그는 83년이래 인공위성 관측자료를 통해 황사 및 대기오염 물질이 중국에서 황해를 거쳐 한반도에 유입되어 황산비 발생의 원인이 중국 대기오염물질이 기인함을 밝혀냈다.

  • PDF

여류과학자 - 경희대 권순자 교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0권11호통권342호
    • /
    • pp.84-85
    • /
    • 1997
  • 英 브라운대서 '핵산분자간의 상호작용(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수소결합 및 수소성결합의 측정)'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경희대 화학과 권순자 교수. '한 우물만을 파라'는 아버지의 교훈에 따라 생화학 외길을 걷고 있는 권교수는 "여자 연구원들은 선진국 과학자들의 창의력과 아이디어에 도전하기 위해서 해외 유학생활을 꼭 거치는 것이 좋다"고 권하고 있다.

  • PDF

부부과학자-이정묵 ㆍ이신애 교수부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1권3호통권346호
    • /
    • pp.68-69
    • /
    • 1998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이 정묵 교수와 생명공학과 이 신애 교수는 1960년대 초 미국에 유학중 수운에 살고 있던 양가 부모의 소개로 1년 동안 사귄 후 현지서 결혼했다. 이들은 서로 자존심이 강해서 결혼 초3년은 서로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한다. 화목과 성실을 가정의 제1목표로 삼았던 고향양가의 부모님들의 생활신조가 오늘의 화목한 가정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한다.

  • PDF

예비 과학 교사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설계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Cases of Real-time Online Class Design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한화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3-572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 과학 교사가 설계한 온라인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예비 과학 교사가 온라인 수업을 위해 사용하는 교수전략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을 경험한 12명의 예비 과학 교사가 작성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수학습과정안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는 기존의 대면 수업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하였던 선수학습 확인,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교수학습방법, 학습내용 정리, 교사-학생 상호작용, 학생 평가 등의 요소를 모두 고려하였으며, 이들 각 요소에서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 수업에서 불가능했던 교수전략을 고안하였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는 온라인 수업 도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과 관련된 온라인 수업 환경 점검 관련 교수전략까지 고려하고 있었다. 다만 학습목표 제시, 학습동기 유발, 학습내용 정리는 대부분의 예비 과학 교사가 시청각 자료 제시 방식의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기존의 대면 수업의 교수전략을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학습동기 유발과 학습내용 정리에서 학생 중심의 접근의 교수전략을 매우 드물게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 학기 동안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은 부족하며, 예비 교사 교육에서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교육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난자핵 추출에 비결 있었다

  • 이은정
    • 과학과기술
    • /
    • 4호통권419호
    • /
    • pp.24-27
    • /
    • 2004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를 이용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연구책임자인 황우석(서울대 수의대), 문신용(서울대 의대) 교수는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의 초청으로 지난 2월 미국 시애틀에서 국제기자회견을 가졌다. 한국 과학자가 뉴욕타임스, BBC, 워싱턴포스트 등 세계 유수의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기자회견을 가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전세계 언론에 대서특필되면서 세계 생명공학계에‘태극기를 휘날린’대단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황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연구를 간단히 요약하면‘사람의 난자에 사람의 체세포핵을 넣어 복제배아를 만들고 배양을 통해 인간배아 줄기세포로 분화시킨 것’이다. 그런데 왜 이 문장 하나에 수많은 사람들이 놀라고 열광하는 것일까. 귀국 이후 쏟아지는 인터뷰 요청을 사양하고 다시 실 험실로 돌아가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황 교수를 어렵게 만났다. 인간배아줄기세포 생산 성공까지의 중요한 과정들을 황 교수와 문답으로 다시 풀어본다.

  • PDF

구성주의 교수방법에 의한 유아의 연령별 과학 개념변화 및 반응유형 분석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ve instruction and analysis of response pattern of on scientific concepts among 3, 4, 5 years old)

  • 박충일;김신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79
    • /
    • 2009
  • 본 연구는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있어서 나타나는 연령에 따른 개념변화의 정도를 유아의 반응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3, 4, 5세 유아 3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6개의 과학개념에 대해 구성주의 교수방법을 적용하여 개념변화 수업을 실시하였다. 구성주의 교수방법의 연령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 오반응의 비율을 비교하고, 반응내용을 범주화하여 반응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구성주의 교수방법은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38-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과학 심화전공 예비교사 및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식이 과학교수의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예비교사 2학년 64명, 4학년 53명,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 23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교직 전문성 인식 검사 도구,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초등 과학교육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교사로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직 전문성 및 일부 하위 영역에서 예비교사 2학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그에 비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성 인식 여부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과학교수 효능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