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과 문항

Search Result 81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대학교수들의 학술정보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s of Scholarly Information Seeking of University Faculty)

  • 김병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54
    • /
    • 1999
  •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 대학 교수들의 다양한 정보요구와 이용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특히 교수들의 연구 활동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입수하는데 사용되는 수집경로, 즉 탐색방법을 조사함으로써 학술정보 탐색행태를 이해하고 나아가서 학술정보 유통과정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이 원하는 최적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도서관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입수 방법에 대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고, 개별 면접을 통하여 각 문항에 대한 중요도를 5단계 척도로 3개 전공분야 교수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분야 교수들간에 전공별로 15개 문항 중 11개 문항에서 중요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수의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15개 문항 중 7개 문항만이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발문항 분석 및 선발방법에 대한 제언 (Analyses of the Test Problems for Admission at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 이상법;이광필;최상돈;황석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04-621
    • /
    • 1999
  • 본 연구는 경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 1998학년도 신입생 선발에 사용한 과학적 사고기능 검사 및 학력검사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과학적 사고기능 검사지는 탐구기능 검사지와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의 두 소검사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들은 원래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의 영재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 검사를 거쳐서 판매하는 것이며, 학력검사 문항은 수학 및 과학 전 분야의 탐구력과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항으로서 본 센터에서 자체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검사지를 사용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교육청 산하의 중학교로부터 추천받은 학생 323명을 대상으로 과학영재 선발 시험을 실시한 결과로부터 문항의 곤란도 지수와 변별도 지수 및 오답의 능률도를 평가한 결과, 과학적 사고기능 검사지는 두 종류 모두 대부분의 문항들이 문항의 곤란도 지수와 변별도 지수가 적정 값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적정 값을 갖는 문항들도 오답의 능률도가 대단히 낮았다. 따라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과학적 사고기능 검사지는 과학 영재교육센터의 선발시험에 응시한 준영재 집단에 적용하여 일정 수의 영재성을 지닌 학생을 선발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본 센터에서 개발한 학력검사 문항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는 지나치게 어려운 문항들이 많아서, 일부 문항들은 성적 분포가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성적은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따라서 학력검사 성적이 선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항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 선발에 대한 몇 가지의 제언을 하였다.

  • PDF

초등 예비교사가 평가 문항 제작 시 주목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W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 on When Developing Assessment Items: Focusing on the Unit 'Weather and Our Lives')

  • 임성만;김성운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3
    • /
    • 2024
  • 총괄평가는 학생들이 학습목표를 얼마나 잘 달성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우수한 평가 문항을 개발해야 하며 이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총괄평가 문항을 분석하고 출제 의도와 문항 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 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3인 1조로 10개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고, 문항의 출제의도, 답안지, 문항 개발시 어려웠던 점을 작성하도록 요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총괄평가 문항은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가 포함된 이원목적분류표에 따라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고, 총괄평가 출제 의도와 평가 문항 개발 시 어려웠던 점은 질적 자료 분석과정을 거쳐 귀납적으로 정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내용 요소는 골고루 반영하고 있었으나, 문항 평가 영역에서는 골고루 반영하지 못했다. 가장 어려워했던 점은 난이도 조절이었다. 출제 의도에서는 문항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거의 대부분 고려하였으나 실제 개발된 문항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총괄평가 문항개발에는 지식과 경험이 중요하며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체계적인 강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한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단원평가문항 분석 (An Analysis of Unit Evaluation Item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조창현;최원호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1호
    • /
    • pp.29-39
    • /
    • 2017
  • 본 연구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산염기 및 산화 환원 단원의 문항을 블룸의 교육목표 분류틀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모든 출판사의 교과서 문항에서는 지식 영역의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순으로 그 요소는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출판사에 따라 각 문항에 나타난 인지 영역의 하위 영역이 골고루 포함되지 않았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다양한 출판사의 교과서 단원평가 문항을 참조하여 수업에 이용할 필요가 있다.

  • PDF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과학과의 평가 실태 (A Survey on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 정은영;최원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68-18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 중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 평가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0개교, 중학교 40개교, 일반계 고등학교 20개교를 표집하여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292명, 중학교 교사 110명, 고등학교 교사 116명, 총 518명의 응답 결과를 얻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필평가의 비율이 늘고 수행평가의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과 지필평가에서 서술형 문항의 비율이 선다형 문항에 비해 낮았고, 중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 비교할 때 선다형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지필평가에서 지식 영역과 탐구 영역의 출제 비율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성별, 교직 경력과 상관없이 모두 지식 영역이 탐구 영역보다 출제 비율이 더 높았다. 채점 시간을 고려하여 서술형 문항을 제한된 범위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향은 초등학교보다 중 고등학교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서술형 문항에 대한 채점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워서 서술형 문항을 제대로 개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등학교의 경우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행과 관련되어서만 평가하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해서 수행평가를 형식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가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되고 서술형 평가가 정착되며 탐구 영역의 출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사 연수, 실험과 평가 지원을 위한 조교 배치 등 행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 탐구'의 응시자 수와 평균 점수 변화 및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Changes in the Number of Applicants and Mean Score and Applicants' Responses on the Test Items of 'Science Inquiry' of the CSAT)

  • 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45-35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1999-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자 변화 추이, 성별 평균 점수, 공통과학 관련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을 분석하여 문항 출제 및 공통과학 교수-학습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계열 응시자가 1995학년도에 는 전체의 43.14%이었으나 2001학년도에는 29.51%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으며, 다른 계열과 달리 상위 50%의 경우 2001학년도에는 남자가 65.58%로 34.42%인 여자의 거의 두 배나 된다. 과학 탐구는 1999학년도 58.6점에서 2001학년도에는 69.5점으로 점점 쉬워지고 있으며, 실제로 2001학년도의 경우 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될 상위 50%의 응시자의 평균은 인문계 85.8, 자연계 90.7점이다. 또한 정답률 60-79% 및 80% 이상에 대부분의 문항이 분포함으로써 상위 학생에 대한 변별력이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남자의 점수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매년 그 차가 감소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과학개념을 요구하지 않는 탐구 과정에 초점을 둔 문항의 정답률은 상당히 높은 반면에, 물리 영역이나 복합 개념을 필요로 하는 문항의 정답률은 비교적 낮다. 따라서 자연계 응시자 감소현상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문항 변별력 제고를 위해서는 정답률 분포를 넓게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중요한 과학 개념 없이도 해결할 수 있는 문항 출제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정답률이 대체로 낮게 나오는 영역과 예상에 비해 실제로 학생이 어려워하는 영역에 대한 지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 중 화학영역 문항의 적절성과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Adequacy of Question Items of the Chemist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 한효순;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05-518
    • /
    • 2003
  • 현행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화학영역 문항들이 우수한 화학교사 선발을 위해 적절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4개 대학 중 13개 대학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현행 비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과교육학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전문 지식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임용시험의 수준은 대학교재 중심이어야 하며 시험시간을 늘려 교과관련 전문지식을 깊이 있게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출제위원의 수를 늘리고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로 변별력이 뛰어난 교과교육학과 화학 각 분야의 평가문항을 출제해야 한다. 실생활과 접목된 화학문제 해결이나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해야 하며,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화학 학습목표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임용시험 문항과 관련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공개하여 적극적으로 개선책을 모색해야 한다.

시스템 사고가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ystems Thinking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 이현동;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85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시스템 사고가 과학 자기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인 자기 조절 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스템 사고를 설정하고, 시스템 사고가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광역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중 이공계열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 20문항과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 도구 중에서 자기 조절 효능감을 알아보는 11문항과 자신감을 알아보는 8문항, 총 39문항을 투입하였으며 성실하지 못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한 188부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시스템 사고 검사 도구는 20문항이 모두 의도한 요인에 적합한 결과가 나왔으며, 자기 조절 효능감은 8문항이, 자신감은 4문항이 적합한 결과가 나왔다.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모델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시스템 사고 5개 요인 중 학생 개인의 사고과정을 살펴보는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3개 요인이 자기 조절 효능감 및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적합도가 가장 높은 적합도를 보여주었다(${\chi}^2$=344.498, df=242, TLI= .921, RMSEA= .044). 또한 시스템 분석, 개인숙련, 정신모델 중 시스템 분석과 정신모델이 직 간접적으로 과학에 대한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정신모델의 경우 자기 조절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사고가 과학 학습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과학 학습에 대하여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준거지향적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과 평가 -고등학교 과학 "생식"과 "생물 농축"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riterion-Referenc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ubject Unit of Reproduction and Biological Accumulation-)

  • 정영란;박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9-531
    • /
    • 2004
  •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준거 지향적인 수행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과학 중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 대해서 필수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평가 문항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7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생식' 과 '생물 농축'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준거 지향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추출된 필수 학습 요소는 '생식' 단원에서 12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4개이었으며, 개발된 성취 기준은 '생식' 단원에서 총 26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총 9개로 각각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생식' 단원에서 총 25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9개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따라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서 개발된 평가 문항의 수는 서술형 문항 17개, 논술형 문항이 13개, 포트폴리오가 2개로 총 22문항이었다. 각 평가 문항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교육과정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된 평가 문항 중, 서술형 문항 8개를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적용 분석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두 가지 검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 문항의 기본적인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서술형 문항들은 난이도와 변별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지수를 보여 수행 평가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문항들이었다. 개발한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들은 미리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교수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도 적합하였다.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해 분석된 문항의 변별도에는 언어적인 해석의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난이도의 경우는 고전 검사 이론을 사용하였을 때 집단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 다분 문항 반응 이론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물리 I '시공간과 우주' 단원의 지필평가 문항과 교과서 목표와의 비교 (Comparison of Textbook Objectives and Paper Test Items Based on Physics I 'Space-Time and the Universe')

  • 양동혁;윤은정;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38-4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물리 I '시공간과 우주' 단원의 지필평가 문항과 교과서 목표가 인지영역과 내용영역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9개의 고등학교에서 출제한 지필고사 문제지와 평가원에서 출제한 문항 중에서 물리 I의 첫번째 단원인 '시공간과 우주'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문항의 분석기준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영역들과 교과서에 진술된 목표들을 사용하여 살펴보기 위해 성취기준에 따라 내용영역을 11개로 분류하였고, 인지영역 수준은 지식, 이해, 적용의 틀로 각각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학교에서 출제된 문항에서는 적용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의 비율이 낮았으며, 내용영역간 분포에도 불균형이 나타났다. 비율차 지수를 통한 비교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와 학교 출제 문항은 유사성이 매우 높았지만, 교과서 목표와 평가원 출제 문항을 비교하였을 때는 유사성이 낮았다. 이상을 바탕으로 평가문항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