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개념발달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on Reasoning and Functional Prefrontal Lob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Kim, Young-Shin;Kwon, Yong-Ju;Bae, Yoon-Ju;Jeong, Jin-Su;Jeong, Wa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3
    • /
    • pp.417-428
    • /
    • 2004
  • Conservation reasoning makes operational thought possible as a functional tool and it is the essential concept not only in the area of science and mathematics but also in several aspects of daily life. The abilities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and that of scientific reasoning and abstract way of thinking depend on whether thereis conservation reasoning or not and they are critical concepts that enables us to confirm the steps of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 in the study, we emphasized the issue that is the ways to speed up the scientific era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 reasoning and neuro-cognitive variables. About 50% of 1-3 grade students did not had conservation reasoning skills. The formation of conservations was not linear.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planing and inhibit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levels of conservation, And, conservation reasoning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variables. Scientific reasoning and planning ability significantly explained about 20% of the conservation reasoning ability of 1-3 grades.

An Analysi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상황요소 분석)

  • Kim, Young-Ae;Sung, Min-W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1
    • /
    • pp.47-56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frequency(%) for five kind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for six kinds of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ll the elem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process achievement level such as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introduced firstly in the 7th curriculum. Five elements of the inquiry context categories appeared as pure scientific context(61.8%), everyday context(22.2%), natural environmental context(7.7%), techno-industrial context(5.9%), and social context(2.4%) in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Social context wasn'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In five elements of inquiry context, total elements appeared 7,139(85.5%) kfrequencies in the basic level and 691(8.1%) frequencies in the further level. However total elements appeared 529(6.4%) frequencies in the supplementary level. The kinds and frequencies of the elements for the inquiry context suggested in the basic level were more than those in the supplementary and in the further level. The social context was no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However five inquiry context elements were all appeared in the basic and further level.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Gesture (생체 신호와 몸짓을 이용한 감성인식 방법)

  • Kim, Ho-Deok;Yang, Hyeon-Chang;Park, Chang-Hyeon;Sim, Gwi-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5-28
    • /
    • 2007
  • Electroencephalograhic(EEG)는 심리학의 영역에서 인간 두뇌의 활동을 측정 기록하는데 오래 전부터 사용하였다. 과학의 발달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인간의 두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기본적인 영역들이 밝혀지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감정을 조절하는 인간의 두뇌 활동 영역들을 EEG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EEG의 신호들과 몸짓을 이용해서 감정을 인식하였다. 특히, 기존에 생체신호나 몸짓 중 한 가지만을 이용하여 각각 실험해서 감성을 인식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EEG 신호와 몸짓을 동시에 이용해서 피 실험자의 감성을 인식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생체신호나 몸짓 한 가지만을 가지고 실험했을 때의 인식률 보다 더 높은 인식률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생체신호와 몸짓들의 특징 신호들은 강화학습의 개념을 이용한 IFS(Interactive Feature Selection)를 이용하여 특징 선택을 하였다.

  • PDF

사례를 통해 본 독점금지법 vs 지적재산권

  • Son, Seung-U
    • Digital Contents
    • /
    • no.7 s.146
    • /
    • pp.110-113
    • /
    • 2005
  • MP3, DVD, P2P 등 디지털 매체기술의 발달은 디지털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을 급속도로 증가시켰고 일반 공중은 다양한 창작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반면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원본과 거의 차이가 없는 복제물을 쉽고 빠르게 비용을 들이지 않고 재생성하게 하였고, 또한 디지털콘텐츠는 한 번 전송되고 나면 그 침해를 막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작권자의 이익을 저해하는 사례가 점차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저작권자들은 자신들이 창작한 저작물을 무단복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기법, 디지털워터마크 등 기술적 조치(technological measures)를 개발해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과 더불어 접근제한시스템에 대한 법적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됐고,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거나 침해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입법이 이뤄졌다. 그러나 기술적 보호조치를 보호하게 되면 전통적으로 인정해 온 저작물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하게 되므로 저작권법의 근본적인 입법취지인 과학기술의 발전과 문화증진을 저해하게 될 것이라는 비판도 강력히 맞서고 있다. 이하에서는 기술적보호조치에 관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기술적 보호조치의 개념, 관련 법률조항 및 주요 법적 쟁점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 PDF

Design Method of the High Accuracy Thrust Stand (고 정확도 추력 계측 시험대 설계기법)

  • Lee Kyu-Joon;Park Ik-Soo;Choi Yong-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0 no.1
    • /
    • pp.9-17
    • /
    • 2006
  • The thrust measurement systems(TMS) with high accuracy are required in rockery, according to develop the high precise guided space vehicle. For obtaining high accuracy, the basic concepts and the necessary technology which have been acquired through many experiences of TMS are summarized, and the design methodology for practical use in ADD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parameters against accuracy of TMS are discussed, and the improving methods are suggested. Through this application example, the design methodology of ADD is shown its superiority in TMS.

A survey of connectivity restoration thchniqus & algorithm in wireless sensor network (WSN의 연결 복구 기법 및 알고리즘 연구 동향)

  • Song, Byung-Hoo;Kim, Kyung-Tae;Lee, Jung-June;Youn, He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65-66
    • /
    • 2016
  • 최근 과학의 발달로 사물에 대한 다양한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사람 대 사람 또는 사물 대 사물 서로 교류하는 개념인 IoT(Internet of Things)가 화제이다. IoT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 하나인 Wireless Sensor Networks(WSN)에 대한 연구를 한다. WSN은 전쟁터의 정찰과 같은 가혹한 환경에 적용되며 이를 구성하는 센서는 제한된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장에 취약한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호 통신이 외부 요인에 의해 단절된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WSN 네트워크의 연결 복구 방식, 연결 복구기법 및 알고리즘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 서술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정효숙;전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583-585
    • /
    • 2000
  • 과학 문명의 발달은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폭발적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자연 환경을 함부로 파괴하게 되었고 인류의 삶의 터전을 회복불능의 상태로 만들어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이를 회복시키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기능을 습득하고 올바른 태도를 기르는 환경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 초등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은 대부분 인지적 측면만을 지고하고 있어 환경보전 인식의 내면화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웹을 교육에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정보의 수용이 아니라, 학생들의 연구에 의한 학습의 개념을 도입하고 있어 교사의 지도에 의지하지 않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해 가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개인 또는 학급내 및 타 학급간의 협력을 전제로 환경을 탐구하고 환경 문제를 발견하며 이를 해결해 나가는 환경교육이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러한 웹 학습 공간을 마련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호 정보 교환을 통한 협력 학습을 함으로써 이들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환경보전을 실천하는 기틀을 다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Collaborative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Park, Miri;Oak, Young-Suk;Chon,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6-3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난관리에 있어 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네트워크를 지역특성별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를 '위험사회' 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최근 재난의 유형이 다변화되고 피해규모가 증가됨에 따라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 국외에는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구축네트워크를 광역방재거점 등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협업 및 협력에 대한 매뉴얼 등을 통한 소프트적인 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거점형태의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ffects of Courseware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Strategy on 10th Grade Students' Learning Chemical Reaction Rate (10학년의 화학반응속도 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 수업의 효과)

  • Cho, Hyang-Suk;Choi, Byung-Soon;Park, Kuk-Ta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8 no.3
    • /
    • pp.283-2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of courseware using scaffolding strateg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rseware instruction upo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ffective domain including effort and self-checking. 10th grad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from high school at Cheongwon-gun in Chungbuk, and taught about chemical reaction rate for 3 class hour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d individually through courseware using scaffolding strategy and worksheet and teacher-centered expository lesson was used in the control group. Prior to the instructions, test specification for problem-solving assessment (TSPSA) was administered and the scores of the previous science achievement test were obtained. After the instructions, the posttest o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SPSA were administered.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test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ourseware using scaffolding strategy could be a tool of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etter in three components of the TSPSA such as effort, self-checking, and cognitive strategy. From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learners' self regulation is improved by being taken over responsibility of learning. So,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strategy is needed in science class to improve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A Systematic Review of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s in South Korea: Evaluation and Intervention (국내의 발달성협응장애(DCD)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평가와 중재접근 중심으로)

  • Kim, Min Joo;Choi, Jeong-Si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9 no.1
    • /
    • pp.69-82
    • /
    • 2021
  • Objective : This recent work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bout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CD) in South Korea. The previous research of screening DCD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were reviewed. Methods : Peer-reviewed papers relating to DCD and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20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search term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evelopment coordination," and "developmental coordination" were used to identify previous Korean research in this area from three representation database,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Google Scholar. We found a total of 4,878 articles identified through the three search engines and selected seventeen articles for analysis after removing those that corresponded to the overlapping or exclusion criteria. We adopted "the conceptual model" to analyze the selected articles about DC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Results : We found that twelve of the 17 studies showed the qualitative level of Level 2 using non-randomized approa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and its second edi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in assessing children for DCD. Among the intervention studies, the eight articles (47%) were adopted a dynamic systems approach; a normative functional skill framework and cognitive neuroscience were each used in 18% of the pieces; and 11% of the articles were applied neurodevelopmental theory. Only one article was used a combination approach of normative functional skill and general abilities. These papers were mainly focused on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CD and the intervention effect of exercise or sports programs. Conclusion : Most of the reviewed studies investigated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CD or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articular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it would be useful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fferent assessment tools and to establish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interventions used in rehabilitation for better motor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D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