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in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상황요소 분석

  • Kim, Young-Ae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ung, Min-Wung (Science Education Research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영애 (경상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센터) ;
  • 성민웅 (경상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센터)
  • Published : 2003.02.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the frequency(%) for five kinds of inquiry context elements for six kinds of the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he 7th curriculum. All the elem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process achievement level such as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introduced firstly in the 7th curriculum. Five elements of the inquiry context categories appeared as pure scientific context(61.8%), everyday context(22.2%), natural environmental context(7.7%), techno-industrial context(5.9%), and social context(2.4%) in the basic, supplementary and further level. Social context wasn'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In five elements of inquiry context, total elements appeared 7,139(85.5%) kfrequencies in the basic level and 691(8.1%) frequencies in the further level. However total elements appeared 529(6.4%) frequencies in the supplementary level. The kinds and frequencies of the elements for the inquiry context suggested in the basic level were more than those in the supplementary and in the further level. The social context was not appeared in the supplementary level. However five inquiry context elements were all appeared in the basic and further level.

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0학년 과학 6종 교과서에 나오는 기본, 보충, 심화과정의 탐구상황요소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순수 과학적 상황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본과정에서 탐구상화용소들의 종류와 빈도가 보충, 심화과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학교과서 내용의 기본 개념이 순수 과학적인 것이 많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이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한다는 취지에 따른다면 순수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나 기술 산업적 상황과 사회적 상황이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심화 보충학습시에 사회적 상황과 기술 산업적 상황에 해당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과학교육 목표달성에 도움이 되는 학습지도가 요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서울, 55-56
  2. 구창현(1993).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과학탐구분야 출제방향' 주제발표. 과학탐구능력 신장 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및 학술 논문 발표회. 한국과학교육학회 (1993. 9.18. 국립중앙과학관): 서울, 35-42
  3. 김윤희, 문성배 (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부분)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74-287
  4. 류면옥(1999). 공통과학 중 생물 분야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2), 109-117
  5. 성민웅(2001), 생물교육학총론. 경상대학교 과학교육 연구소: 진주, 410 - 412
  6. 우종옥, 정철 (1996). 과학탐구의 삼차원 평가틀에 의한 평가목표 분류 및 진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70-277
  7. 이항로(1993).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과학과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고찰' 주제발표, 과학탐구능력 신장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 및 학술논문 발표회, 한국과학교육학회(1993. 9. 18 국립종앙 과학관): 서울, 64-79
  8. 한복수(1999), 과학과 수준별 학습 방법. 교육과학사. 서울, 30-35
  9. Yager, R. E.(1992), The status of science-technology-society reform efforts around the world. ICASE Year Book. Peterfield: International Council of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