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제 연구

검색결과 8,500건 처리시간 0.035초

전자산업에서 부품개발과제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arts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n Electronic Industry)

  • 권철신;김점복;김강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5-738
    • /
    • 2000
  • 완제품업체에서의 개발과제와는 상이한 유형체계 및 단계별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신제품 개발과제의 관리모형을 도입해 옴으로써 연구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해 왔던 우리나라 전자부품업체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부품업체에 합당한 효과적인 개발과제의 관리체계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전자부품업체의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부품개발과제의 특성에 따른 유형별 개발단계의 관리모형을 구축하였는데. 이러한 본 연구의 모형 및 결과는 우리나라의 부품업체들에게 현장적응성이 뛰어난 유효한 과제관리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국가R&D과제정보 요약을 위한 한국어 정보요약 시스템 (Korean Information Summary System for National R&D Projcet Information Summary)

  • 이종원;김태현;신동구;조우승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4
    • /
    • 2022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이하 NTIS)에서는 국가R&D과제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과제정보는 '과제명', '과제수행기관', '연구책임자명' 등의 메타정보와 '연구목표', '연구내용', '기대효과'와 같은 과제를 설명하는 텍스트들로 구성되어있다. 과제정보 100만건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목록에서 '연구목표' 나 '연구내용' 등을 모두 확인하여 원하는 과제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R&D 과제정보 내에서 장문의 텍스트로 구성된 부분을 요약하는 과제정보 요약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전처리기를 구축하고 전처리된 텍스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자연어 처리 기술 기반 과제정보 요약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장문으로 구성된 과제정보를 압축 및 요약된 형태로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요약정보만으로도 전반적인 내용을 쉽고 빠르게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새로운 모형선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

  • 민계식;이강복;김철욱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22
    • /
    • 1993
  • 본 연구과제는 개념(Idea)이 간단하고 수행방법이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과제 수행에 약 2년이 라는 오랜 기간이 소요되었다. 왜냐하면 오랜시간에 걸쳐 여러번 모형선의 변형도를 측정하여야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연구과제는 극히 성공적으로 수행 완료되었다. 향후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하여 개발된 방법을 될수록 많은 모형선 제작에 적응할 예정이며 이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중요한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모형선 제작비의 대폭 절감으로 모형시험 경 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모형시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계실을 신속히 지원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어진 시간내에 더 많은 연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무형의 효과이나 실제적으로 모형시험 경비의 절감 효과보다도 더 중요한 것이라고 생 각한다. 본 연구과제의 개념은 극히 간단한 것이지만 세계 최초의 발상 및 시도이며 성공적으로 연구 업무가 수행되어 전세계에 현존하는 어떠한 모형선 제작 방법보다도 우수한 방법이 개발 되었다고 자부하는 바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모형선 제작 방법은 현재 특허 신청중에 있다.

  • PDF

대학입학관리에서의 정부의 역할

  • 남보우
    • 대학교육
    • /
    • 통권128호
    • /
    • pp.32-42
    • /
    • 2004
  • 대학입학제도의 재점검 작업은 폭넓은 참여와 깊이 있는 연구를 기반으로 충실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부는 검토대상의 과제들을 마련하고, 해당과제에 참여하는 전문가를 결정하여, 과제의 수행방식을 결정하고, 과제수행의 결과를 확정하며, 이를 활용하여 대학입학제도를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정부연구비 지원 변동이 기초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IT 분야를 중심으로 (Impact Analysis of Government Subsidy Fluctuations on Basic Research Outputs: focused on the IT field)

  • 연승민;김슬기;김재수;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57-17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연구분야에서 정부연구비의 변동과 연구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개인연구사업 중 대학에서 수행된 IT 분야의 기초연구과제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 과제 특성 변수를 활용하여,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통제하였다. 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 연구비 증감은 모든 연구성과(가중논문 수, 특허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과제는 연구비가 증액된 과제로,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8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보였다. 연구비가 감액된 과제는 연구비가 유지된 과제에 비해 최대 4배 정도의 큰 영향력을 갖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학술적 측면,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의학 연구개발과제 분류에 관한 연구 (A Classification for Research Projects in Oriental Medicine Field)

  • 김상균;김철;장현철;예상준;송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26
    • /
    • 2008
  • 국가 R&D 사업관리 시스템에서는 국내의 국가 연구개발과제 정보를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과제들을 분류하고 다양한 검색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류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분류체계에 대해 하나의 분류만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과제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체계는 모든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를 제공하고 있으나 한의학과 같은 특정 분야에 맞는 분류체계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반면에 한의학 분야에서는 한의학에 대한 분류체계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 분류체계 또한 한의학 전반에 관한 일반적인 분류이기 때문에 한의학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로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학 분야의 연구개발과제들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고 검색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분류를 제안한다.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자제를 위한 기술준비수준 모델 개발 (Developing a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Levels(TRLs) for a Large-Scal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 홍진원;박승욱;서우종;박지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8-75
    • /
    • 2009
  • 최근 국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물에 대한 실용화 또는 상업화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기술 실용화 관점에서 연구개발 과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원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기술준비수준 모델은 기초 연구부터 실용화까지의 기술 개발 수준을 9개의 수준으로 나누어 각각의 수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해 줌으로써 과제 관리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모델은 기술준비수준의 평가가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구체적인 평가지표도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과제로 구성된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기술준비수준 모델을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 과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 수준에 대한 정의와 각 수준의 달성 여부를 결정하는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준비 수준 모델은 각 수준에 맞는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제공함으로 대규모 국가 기술개발 과제의 연구개발에서 실용화까지의 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도서관 R&D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R&D Policy Agenda)

  • 이수상;노지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9-22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사회/스마트 세대를 위한 스마트 도서관을 지향하기 위해 필요한 우리나라 도서관의 정책적 과제들을 발굴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R&D 정책과제 탐색을 위한 방법론을 정립하고, 계량정보 분석 방법과 주제분석 방법,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여 도서관 분야의 유망과제를 발굴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도출한 도서관 R&D 유망과제 예비 리스트는 연구팀의 브레인스토밍과 전문가 평가를 통해 최종 과제화 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종 과제의 중요도를 산출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AHP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미래의 변화를 스스로 주도할 수 있는 지적 기반의 마련을 위한 R&D 과제 개발 및 이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예비교사의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전략 분석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최은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01-625
    • /
    • 2016
  • 본 연구는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고, 비례추론 전략에 따른 비례추론 과제의 적합도와 비례추론 과제에 따른 전략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8개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초등예비교사 72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의 비례추론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실제적이고 다양한 비례추론 과제들을 다루는 경험, 양적 관계에 대한 의식적인 분석을 행하는 경험, 예비교사들이 미흡한 이해를 보이는 특정 과제 유형에 대한 보완, 다양한 비례추론 전략들을 분류하고 탐구하는 경험, 비례추론 전략에 적합한 과제 유형을 파악하고, 비례추론 과제에 보다 유용하고 사용가능한 비례추론 전략을 파악하도록 하는 학습경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노력 유도와 긍정 피드백을 통한 동기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moting Motivation through Effort-inducing Instructions and Positive Feedback on Task Performance)

  • 권은진;김태훈;이윤형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87-30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조작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에 동기와 과제수행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는데 자기보고식 검사는 왜곡되거나 편향된 응답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 상황에서 노력 유도 지시문과 과제수행 태도에 대한 긍정피드백을 통한 동기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실험 자극으로 실제 학습장면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수학·언어 영역의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수학과제 수행 시 동기조작이 과제 난이도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어려운 난이도의 과제를 더 많이 선택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동일한 패러다임을 언어 과제에 적용하여 동기조작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실험 1과 동일하게 실험집단의 참가자들이 높은 난이도의 과제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실험 3에서는 동기조작이 수행 정확률과 과제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실험 결과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과제 정확률과 지속성 모두 더 높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력 유도 및 긍정 피드백을 통한 내재적 동기의 활성화가 과제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적 증거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