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과업수행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27초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rait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Private Security on Their)

  • 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7-208
    • /
    • 2011
  •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현실 적합도가 높은 이론적 모형을 도출한 다음,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11년 현재 서울소재 경비회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판단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표집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처리는 AMOS 18.0과 SPSSWIN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의 기법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은 특성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은 과업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특성불안은 과업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 PDF

그룹과업의 분석 방안

  • 민대환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정보기술의 효율적 활용
    • /
    • pp.671-688
    • /
    • 1998
  • 본 논문은 작업그룹의 과업을 수행하는 인지적 과정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그룹의 인지현상을 연구하는 분산인지이론을 검토하고, 기존의 개인 과업 분석 방법론중의 하나인 GOMS를 확장하여 그룹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한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작업그룹의 실제 사례인 원자력 발전소의 주 제어실 운전반의 한 과업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를 제시한다. 각 구성원의 업무 수행 시간, 의사소통시간, 최대인지 부하등을 기초로 작업그룹의 업무 수행시간과 인지 부하의 ?형도를 계산하여 그룹의 과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rait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of Private Security Workers)

  • 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06-315
    • /
    • 2011
  •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2011년 서울 소재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 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판단표집법(judgm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하였으나, 최종 분석에 투입된 사례수는 266명이다.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의 알파값과 공변량구조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이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과업중요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피드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자율성은 특성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피드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자율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기술다양성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특성불안은 과업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RBAC에 기초한 세션기반의 동적 의무분리 (Session-Based Dynamic Separation of Duty Using T-RBAC)

  • 배혜진;박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874-876
    • /
    • 2002
  • 의무분리 정책의 목적은 정보의 무결성을 필요로 하는 연산들을 여러 역할이나 사용자에게 분산시킴으로써 조직 내에서 관리하는 정보의 무결성 침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이는 기업 환경에서 중요한 보안 요구사항이다. 역할기반 접근제어는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역할들로 분류하여 단순한 권한 관리를 제공하며 ,의무분리 정책을 시행하기에 적합하여 기존의 강제적 접근제어나 임의적 접근제어에 대한 대안으로 의무분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역할 수준의 의무분리는 역할에 할당된 과업들을 상호 배타적인 작업의 수행에 관련되지 않은 과업도 모두 배제시키게 되어 과업 실행의 유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호 배타적인 작인을 수행하는 과업들에 할당된 최소의 권한을 배제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논문은 기업 환경에 적합한 과업-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기초로 하여 과업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유형별로 과업 수준의 동적 의무분리를 적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실제 사용자가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워크플로우와 다중 세션 환경에서 상호 배타적인 과업들과 과업 인스턴스들에도 적용이 가능만 세션기반의 동적 의무분리 기법을 제시한다 이때 기존의 동일 사용자에 의한 동적 의무분리 적용을 공모가 가능한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다중 세션들간의 동적 의무분리를 제시함으로써 의무분리의 목적을 만족시킨다.

  • PDF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인터페이스의 감각양식 차이가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중 자원 이론과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The Effects of Interface Modality on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in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 이다나;한광희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39
    • /
    • 2019
  • 본 연구는 빠르게 발전하는 음성 기반의 디바이스가 스크린 중심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확인하고자 했다. 서로 다른 자원 구조를 가진 과업을 동시에 수행할 때 정보 처리 효율이 높아진다는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시각 주의가 필요한 과제와 음성 또는 스크린 기반의 디바이스를 활용해 정보를 검색하는 과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과업수행 환경과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은 모두 인지부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음성 인터페이스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인지부하 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단독으로 사용된 단일 과업 조건보다 시각 과제를 동시에 수행한 다중 과업 조건에서 시각 인터페이스 그룹과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과업 수행도의 경우 음성 인터페이스 그룹에서 시각 과제에 대한 수행능력이 시각 인터페이스 그룹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음성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때 동시적 과업을 청각 경로와 시각 경로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이점이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이는 시각 자원의 충돌이 발생하기 쉬운 스크린 중심의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음성 기반의 디바이스가 효율적 정보 처리를 촉진시키는 잠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함의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다중 자원 이론을 통해 자원의 분산처리에 대한 이론적 증거를 제시하고,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음성 인터페이스를 활용했을 때의 이점을 더욱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공무원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 김현재;김성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559-571
    • /
    • 2020
  • 본 연구는 국회사무처 등 의정지원조직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개인-환경 적합성(유사적합성, 보완적합성), 직무수행(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자기효능감을 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에 대한 영향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의정지원조직 공무원들의 유사 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에서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완적합성은 과업수행, 맥락수행, 적응수행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의정지원조직 공무원의 직무수행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 직무와의 일치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한편 전공, 경력 등을 통한 부서배치 전략만으로는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담보할 수 없으며 별도로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의정지원조직의 교육훈련 과정에 자기효능감과 관련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과업수행,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기반의 직무수행 유형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job performance types based on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 유영삼;김명소;노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0
  • Campbell(1990)이 수행의 다차원성을 제안한 이후 전통적 직무수행의 단일구조와는 달리 크게 과업수행,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으로 분류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1) 지금까지 직무수행의 다양한 측면으로 제시된 과업수행,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으로 구성된 수행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2) 이들 3요인을 기반으로 수행 유형을 도출한 후 (3) 수형 유형별 성격 변인들의 예측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직장인 6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과업수행, 맥락수행, CWB로 이루어진 3요인 직무수행 모델이 확인되었다. 성격 변인과의 관련성도 각 수행 차원별로 구분되는 결과가 나타나 3요인 구조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위 3요인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여 4개 수행 유형을 도출하였다(즉, 모범적 수행자, 양심적 중간수행자, 반생산적 중간수행자, 양심적 저수행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들 4개 유형별로 각기 다른 성격 변인이 선행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업의 상호의존성에 따라 집단 성과급 분배방식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ype of Group Based Incentive across Task Structure on Work Performance)

  • 임성준;김강초롱;오세진;이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11
    • /
    • 2019
  • 현대 경영환경에서 팀 과업의 증가에 따른 집단성과급의 도입이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선행연구에서 집단성과급의 효과는 과업의 상호의존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논의가 진행되어 왔는데,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드물고 결과가 일관적이지 않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과업구조가 모두 상이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의 상호의존성에 따라 집단 성과급 분배 방식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대학 교내 게시판 및 홈페이지를 통하여 대학생 및 대학원생, 교직원 120명을 모집하였고, 1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과제는 정해진 양식에 따라 글자, 숫자 그리고 기호를 입력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과업의 상호의존성 정도(개인과업과 상호의존과업)와 성과급 분배방식(동등분배 집단 성과급과 차등분배 집단 성과급)이었으며, 종속변인은 정확하게 입력한 문자의 수였다. 실험 설계는 2 × 2 요인설계였으며, 각 집단에 3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분석은 개인차의 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회기는 공변량 분석을 위한 사전회기 1회기, 실험회기 4회기 총 5회기였으며, 각 회기는 20분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개인과업에서 차등분배 성과급과 동등분배 성과급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상호의존 과업에서는 동등분배 성과급이 차등분배 성과급보다 더 효과적으로 수행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업의 상호의존성에 따라 집단 성과급 효과가 달라 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웹사이트 구조, 정보량, 과업 복잡도의 사용성에 대한 영향 (The effects of web site architecture, contents quantity, task complexity on usability)

  • 고석하;김주성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3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 /
    • pp.311-332
    • /
    • 2003
  • 인터넷과 개인용 컴퓨터의 도입으로 인해 매일 작업에 컴퓨터를 사용해야하는 비전문적 사용자들이 최근에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Shackel. 1997], 따라서 비전문적 사용자들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다. 특히 웹 사용자들은, 조직 내에서 업무 수행을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와는 달리, 사용을 위해 훈련을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웹사이트들은 사용성(usability)을 높이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Nielson, 19991]. 본 논문은 인터넷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로, 특정 목적을 지닌 정보 시스템으로서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대해 정의하고,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의 구조와 정보량, 과업 복잡도에 따라 얼마나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 과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웹사이트의 사용성은 웹사이트의 구조, 정보량, 과업 복잡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구조와 정보량의 교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의 결과는 이제까지 연구자들의 연구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웹사이트 설계의 맥락에서, 구체적인 설계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장애물 보행시 젊은 사람과 노인들의 보행 양식에 대한 이중과업 수행의 효과 (The Effects of Dual-Task on Stepping Over Obstacles From a Position of Quiet Stance in Younger and Older Adults: A Pilot Study)

  • 김형동;윤범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업 방법론(dual task methology)을 사용해서 젊은 사람과 노인을 대상으로 독립된 두 사건(two separate concurrent events)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주의력에 대한 분석과 노인에서의 특징적 차이를 찾는 것이다. 본 실험은 대상자가 힘판(force plate) 위에서 장애물(10cm) 보행시에 경피자극(cutaneous stimulation)에 대하여 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를 사용하여 반응하면서 시행되었다. 힘판과 시간(temporal events) 그리고 반응시간(reaction time)에 관한 자료들은 1000 Hz의 주파수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대상자들이 서 있는 상태(baseline) 장애물 보행시(dual task)에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아중과업 조건에서 대상자 모두에게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에서 정상 성인보다 반응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 하에서 노인 대상자가 정상 성인에 비해 발가락이 장애물에 닫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공간, 즉 토우 클리어런스( toe-clearance)와 슬관전 굴곡(knee flexion) 각도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하에서 모든 대상자가 족관절 배측굴곡(ankle dorsiflexion)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젊은 대상자들보다 훨씬 더 긴(124 ms) 유각시간을 보여 주었으며 정상 장애물 보행시 유각 시간은 이중과업보다 50 ms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행 특성의 차이는 노인대상자들이 젊은 대상자들보다 장애물 보행시에 이중과업의 영향을 더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 과업 시행시 이러한 토우 클리어런스의 감소와 장애물 통과시에 보행 속도의 증가는 아마도 낙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과업(multitasks)을 필요로 하는 보행 훈련 프로그램(gait training program)의 개발과 시행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