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업수행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rait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Private Security on Their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7-208
    • /
    • 2011
  •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현실 적합도가 높은 이론적 모형을 도출한 다음, 모형에 포함된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011년 현재 서울소재 경비회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판단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표집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처리는 AMOS 18.0과 SPSSWIN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의 기법이 활용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은 특성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은 과업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특성불안은 과업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 PDF

그룹과업의 분석 방안

  • 민대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671-688
    • /
    • 1998
  • 본 논문은 작업그룹의 과업을 수행하는 인지적 과정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그룹의 인지현상을 연구하는 분산인지이론을 검토하고, 기존의 개인 과업 분석 방법론중의 하나인 GOMS를 확장하여 그룹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한 분산형 GOMS 방법론을 작업그룹의 실제 사례인 원자력 발전소의 주 제어실 운전반의 한 과업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를 제시한다. 각 구성원의 업무 수행 시간, 의사소통시간, 최대인지 부하등을 기초로 작업그룹의 업무 수행시간과 인지 부하의 ?형도를 계산하여 그룹의 과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rait Anxiety and Task Performance of Private Security Workers (민간경비업 종사자의 직무특성이 특성불안 및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 Park, You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7
    • /
    • pp.306-315
    • /
    • 2011
  • The study defines the job characteristics anx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nd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While the study selected the private guards working at the private security companies registered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Seoul 2011 and sampled total 300 people by using the judgment sampling method, the final input case number is 266 people. The study used alpha value of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maximum-likelihood classification of the covariation structure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urvey and the reliability. With the research method and the proces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ask importance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Second, the feedback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Third, the job autonom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minus influence to the characteristic anxiety. Fourth, the feedback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Fifth, the job autonom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Sixth, the skill var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Seventh, the characteristic anxiety of the private security workers affects the plus influence to the task performance.

Session-Based Dynamic Separation of Duty Using T-RBAC (T-RBAC에 기초한 세션기반의 동적 의무분리)

  • Bae, Hye-Jin;Park, 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74-876
    • /
    • 2002
  • 의무분리 정책의 목적은 정보의 무결성을 필요로 하는 연산들을 여러 역할이나 사용자에게 분산시킴으로써 조직 내에서 관리하는 정보의 무결성 침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이는 기업 환경에서 중요한 보안 요구사항이다. 역할기반 접근제어는 응용에 따라 보호 객체들에 대한 역할들로 분류하여 단순한 권한 관리를 제공하며 ,의무분리 정책을 시행하기에 적합하여 기존의 강제적 접근제어나 임의적 접근제어에 대한 대안으로 의무분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역할 수준의 의무분리는 역할에 할당된 과업들을 상호 배타적인 작업의 수행에 관련되지 않은 과업도 모두 배제시키게 되어 과업 실행의 유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호 배타적인 작인을 수행하는 과업들에 할당된 최소의 권한을 배제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논문은 기업 환경에 적합한 과업-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기초로 하여 과업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유형별로 과업 수준의 동적 의무분리를 적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실제 사용자가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워크플로우와 다중 세션 환경에서 상호 배타적인 과업들과 과업 인스턴스들에도 적용이 가능만 세션기반의 동적 의무분리 기법을 제시한다 이때 기존의 동일 사용자에 의한 동적 의무분리 적용을 공모가 가능한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다중 세션들간의 동적 의무분리를 제시함으로써 의무분리의 목적을 만족시킨다.

  • PDF

The Effects of Interface Modality on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in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미디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인터페이스의 감각양식 차이가 인지부하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중 자원 이론과 스레드 인지 모델을 기반으로)

  • Lee, Dana;Han, Kwang-Hee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31-39
    • /
    • 2019
  • This research examined the changes that fast-growing voice-based devices would bring in the media multitas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information processing efficiency improves when performing multiple tasks requiring different resource structures at the same time, we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 participants searched for information with voice-based or screen-based devices while performing an additional visual task. Results showed that both task performance environment and interface modality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cognitive load. The overall cognitive load level was higher in the voice interface group, but the difference in cognitive load between the two groups decreased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where the additional visual resources was required. The visual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using the voice interface than the screen interface. Our findings suggest that voice interfaces offered advantages in the cognitive load and task performance by distributing two tasks to the auditory and visual chann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voice-based devices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efficient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screen-centric environment where visual resources collide. We provided theoretical evidence of resource distribution using multiple resource theory and tried to identify the advantages of the voice interfac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threaded cognition model.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of Public Officials (공무원의 환경 적합성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jae;Kim, Sung-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559-571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environment fit on the job performance in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Job performance was classified into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Impacts of each factors on the job performance were ident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upplementary fit of officials of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had a posi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However, complementary-fit does not directly affect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adaptive performance. Rather complementary-fit affects job performance by the mediating role of variable self-efficac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to match between organization members and jobs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ivil servants in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self-efficacy enhancement program in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of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 was propos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job performance types based on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과업수행,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기반의 직무수행 유형 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 Yoo, Young-Sam;Kim, Myoung-So;Noh, So-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45-155
    • /
    • 2020
  • Since Campbell (1990) proposed multidimensionality of job performance, unlike the single structure of traditional job performance, it has been largely classified as task performance, contextual performance,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threecriteria currently considered major aspects of job performance,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performance based on three dimensions, and to compare the power of personality factors among performance types. A total of 681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survey included both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 3-factor job performance model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was also includ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dimensions and personality factors differedby dimensions of performance, supporting the validity of the 3-factor structure of performance.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four types of performance: exemplary, moderately conscientious moderate, and conscientious, butlow..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each typ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redictors of personality variables. In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noted.

The Effects of Type of Group Based Incentive across Task Structure on Work Performance (과업의 상호의존성에 따라 집단 성과급 분배방식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 Lim, Sung-Jun;Kim, Kangcholong;Oah, Shezeen;Lee, Jea-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1-1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group incentive type on performance under two types of interdependence in a task structure. One hundred twent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perform group typing task. Each typing groups organized three member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conditions: equally-distributed incentive and differentially-distributed under two different task interdependence.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correctly typed characters. We foun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 incentive type and task interdependence. Specifically, under interdependent task, the work performance of participants in equally-distributed group incentive condition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n differentially-distributed group incentive condition.

The effects of web site architecture, contents quantity, task complexity on usability (웹사이트 구조, 정보량, 과업 복잡도의 사용성에 대한 영향)

  • 고석하;김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11-332
    • /
    • 2003
  • 인터넷과 개인용 컴퓨터의 도입으로 인해 매일 작업에 컴퓨터를 사용해야하는 비전문적 사용자들이 최근에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Shackel. 1997], 따라서 비전문적 사용자들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다. 특히 웹 사용자들은, 조직 내에서 업무 수행을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와는 달리, 사용을 위해 훈련을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웹사이트들은 사용성(usability)을 높이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Nielson, 19991]. 본 논문은 인터넷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로, 특정 목적을 지닌 정보 시스템으로서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대해 정의하고,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의 구조와 정보량, 과업 복잡도에 따라 얼마나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 과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웹사이트의 사용성은 웹사이트의 구조, 정보량, 과업 복잡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구조와 정보량의 교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의 결과는 이제까지 연구자들의 연구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선행연구를 뒷받침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웹사이트 설계의 맥락에서, 구체적인 설계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Dual-Task on Stepping Over Obstacles From a Position of Quiet Stance in Younger and Older Adults: A Pilot Study (장애물 보행시 젊은 사람과 노인들의 보행 양식에 대한 이중과업 수행의 효과)

  • Kim, Hyeong-Dong;Yoon, Bum-Chull
    • Physical Therapy Korea
    • /
    • v.9 no.4
    • /
    • pp.1-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과업 방법론(dual task methology)을 사용해서 젊은 사람과 노인을 대상으로 독립된 두 사건(two separate concurrent events)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주의력에 대한 분석과 노인에서의 특징적 차이를 찾는 것이다. 본 실험은 대상자가 힘판(force plate) 위에서 장애물(10cm) 보행시에 경피자극(cutaneous stimulation)에 대하여 마이크로 스위치(micro-switch)를 사용하여 반응하면서 시행되었다. 힘판과 시간(temporal events) 그리고 반응시간(reaction time)에 관한 자료들은 1000 Hz의 주파수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대상자들이 서 있는 상태(baseline) 장애물 보행시(dual task)에서 수집되었다. 반응시간은 아중과업 조건에서 대상자 모두에게서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노인에서 정상 성인보다 반응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 하에서 노인 대상자가 정상 성인에 비해 발가락이 장애물에 닫지 않고 통과할 수 있는 공간, 즉 토우 클리어런스( toe-clearance)와 슬관전 굴곡(knee flexion) 각도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과업 조건하에서 모든 대상자가 족관절 배측굴곡(ankle dorsiflexion) 각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젊은 대상자들보다 훨씬 더 긴(124 ms) 유각시간을 보여 주었으며 정상 장애물 보행시 유각 시간은 이중과업보다 50 ms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행 특성의 차이는 노인대상자들이 젊은 대상자들보다 장애물 보행시에 이중과업의 영향을 더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 과업 시행시 이러한 토우 클리어런스의 감소와 장애물 통과시에 보행 속도의 증가는 아마도 낙상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과업(multitasks)을 필요로 하는 보행 훈련 프로그램(gait training program)의 개발과 시행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