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학교과과정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f Development of Brand Up Program in Engineering Education (공학교육의 브랜드제고 프로그램 개발연구)

  • Baik, Ra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6 no.5
    • /
    • pp.3-8
    • /
    • 2013
  • 본 논문은 창의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실행방안을 연구 및 기획한 논문이다. 창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개발하고 공학교육의 창의적 능력 및 정보기획과 분석력 개발교육을 통해 공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연구의 기초는 공학인증프로그램의 설계교과과정의 내실화가 기본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교육과정에 추가되는 softskill의 활용도 아울러 요구되고 있다. 특히 설계교과과정의 정점을 이루고 있는 캡스톤디자인(종합설계교과목) 교육성과의 활용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Analysis of the undergraduate GIS course for Accreditation (공학인증에 대비한 학부 GIS 교과과정 분석)

  • Koh, June-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1
    • /
    • pp.145-157
    • /
    • 2009
  • Rapidly evolving field of GIS and the social demand for university education to address the gap in the training of human resources, and future-oriented,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in the field of GIS is the need. In this thesi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dergraduate curriculum including University of Seoul's was analysed. A GIS curriculum of the domestic and abroad department course was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the domestic engineering accreditation and problems were analyzed and a desirable casting plan was shown through the abroad GIS related accreditation case analysi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introduction of the GIS field. A standardized GIS curriculum was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e curriculum and the body of knowledge of the GIS field shown at the advanced of foreign countries all together. The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forum which made the Surveying and GIS related society the center by a political alternative, the construction of the caucus and the argument to execute this effectively are needed.

  • PDF

A Study of Curriculum Arrangement for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Major to Achieve Higher Rate of International/National Certification (컴퓨터공학 전공자의 전공 관련 자격증 획득률 제고를 위한 교과과정 보완 연구)

  • 석현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3-47
    • /
    • 2003
  • There are many kind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s related to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uch certifications have evolved from a hiring to a screening tool so that not having them may influence one's being viewed as a serious candidate. To achieve higher rate of acquiring such certifications, a list of certifications with matching curriculum is suggested. By studying these related curriculum hard students will have better chance to get such certification.

  • PDF

21세기를 대비한 전기전자공학 교과과정과 대학인정평가제도

  • 장수영
    • 전기의세계
    • /
    • v.39 no.4
    • /
    • pp.10-18
    • /
    • 1990
  • 우리나라 전기전자공학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고 그 외에도 제어계측공학과, 전산기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등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선진국에서는 하나의 학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교과과정은 졸업에 필요한 과목수가 지나치게 많아서 한과목을 깊게 공부하는대산 여러과목을 훑어보는 식으로 운용되어 왔다. 전공과목수가 9개(실제로는 미분방정식과 졸업논문을 제외하면 7개) 밖에 안된다고 해서 M.I.T.의 전기전자공학 교육이 우리나라보다 못하다고 말 할 수는 없다. MIT의 교과과정이 오늘과 같이 된데에는 오랜 연구와 경험이 필요하였다. 즉 기술 과목만을 많이 가르쳐서 졸업시키면 졸업생의 대부분이 인문사회 출신 사장 아래에서 기술자 역할밖에 못한다는 것을 알았던 것이다. 2차 대전 당시 레이다를 포함한 각종 신형전자장비를 개발한 것은 공대출신보다는 물리학과 수학과 출신의 역할이 컸던 것이다. 특히, SPUTNIK이 1957년에 발사된 이후 미국의 공대들은 과학과목에 큰 비중을 두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그 반작용으로 설계과목에 비중을 두기 시작하였다. 졸업후 2-3년 지나면 별로 쓸모없는 과목들을 많이 가르치는 것보다는 기초적인 과목만을 충실하게 가르치는 것이 훨씬 좋다고 본다.

  • PDF

A Development of an Adviser Tool for the ABEEK Accredited Program using Curriculum Flowchart (교과목 이수체계도를 이용한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위한 교과 이수 지도 도구의 개발)

  • Lee, Tae-Ho;Lee, Myung-Joon;Lee, J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8
    • /
    • pp.97-106
    • /
    • 2009
  • ABEEK, an independen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s the recognized accreditor for the educational programs in engineering and related disciplines. ABEEK has developed the standard accreditation criteria to meet diverse needs of the engineering and related communities in Korea. A student attending at the accredited program has to complete the required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lowchart to meet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a bachelor. Therefore an efficient and effective tool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dviser to monitor the completion of the required courses and elective cours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lowchart. In this paper, we describe an adviser tool developed. To develop an adviser tool. we established databases which contain the information of courses and their relation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flowchart. Adviser tool was developed to analyze student's DegreeAudit and represent the current completion information on the curriculum flowchart for effective monitoring. A closed test was performed and showed the increase of efficiency to meet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a bachelor.

Developing A Curriculum Model for Technician Training Course of Managing Production in Electronic Industry (직무분석을 통한 전자분야 생산공정 관리자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발)

  • Lee, Jung-Chul;Kim, Han-Joo;Lee, Sung-Dae;Jung, Jea-Wo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71-81
    • /
    • 2006
  • In this paper, we present, based on a systematic job analysis, the definition, flowchart and description of Production Management Technician(PMT)'s job in Electronic Industry for developing an PM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 the context of Korea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3 duties and 22 tasks in the job of Production Management Technician, and 12 education contents and 6 education courses in the PMT curriculum.

A Design Technique of 3D-based Meta-model for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수요지향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3차원 기반의 메타모델 설계 기법)

  • Cho, Eunsook;Pak, Suehee;Chang, Juno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6
    • /
    • pp.1-12
    • /
    • 2005
  • IT education in the colleges or universities and IT industry in producing IT manpower are urgently called for to balance its supply and demand. To correct this problem,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launched a program where demand-oriented curriculums are developed and applied to colleges.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technique based on meta-model an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in developing curriculums and courses. This meta-modeling technique is proven to result in the extendibility, flexibility and quality improvement in software design. Therefore, we expect that proposed technique makes it possible to be improved in quality.

  • PDF

공업전문대학 전기공학과 교육과정에 대하여

  • 전승구
    • 전기의세계
    • /
    • v.27 no.2
    • /
    • pp.23-28
    • /
    • 1978
  • (차례) 1.공업전문대학의 교육목적 2.교육과정 (1)전기공학과의 교육목적 목표 및 방침 (2)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3)모형교육과정작성(안) 기본방침 (4)모형교육과정(안) (5)교과목 내용 3.기준외곽시설(안)

  • PDF

Curriculum Development for Chemical Engineering by a Job Analysis - A Case Study for Dongseo University - (직무분석에 의한 화학공학 교과과정 개발 - 동서대학교 사례연구 -)

  • Kim Jong-Hyu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3 no.2
    • /
    • pp.44-50
    • /
    • 2000
  • Possible directions of chemical engineering education have been proposed in many studies. However, new curriculum is demanded to accommodate the special needs of our students' level and community industrial characteristics. We can think of two reasons. One is that various kinds of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are found in every community. The other is that students' educational standards are different in every university. We have surveyed and analyzed jobs of our university graduates who are working in chemical company of our community Pusan and Kyoung-Nam.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new curriculum with an emphasis on practical education and to propose the new direction for our major characteristic based on the survey.

  • PDF

전기공학과의 교과과정에 대한 시안

  • 고명삼;박영문;임달호;박상희
    • 전기의세계
    • /
    • v.24 no.4
    • /
    • pp.42-51
    • /
    • 1975
  • 전기공학은 그 분야가 광범위하면서 세분된 여러 소분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간단한 몇마디로 표현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전기기술자는 전하를 위시하여 전하간의 힘 및 전하간의 에너지 교환에 관하여 주로 관여하게 된다. 즉 전기기술자는 전기적 에너지 및 정보의 발생, 전송, 기억 및 제어를 최적화할 책임이 있고, 그 분야는 부단히 팽창일로에 있으며 변해가고 있다. 즉 학문적인 기초이론 뿐만아니라 실제 응용분야인 산업분야에서도 눈부신 발전과 변화를 가져왔다. 현대산업 및 기술구조의 질적개선은 기술 반감기의 감소, 막대한 양의 정보처리, 시스템의 대형화, 복잡화 현상을 가져왔으며 기술자체가 사회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극대화시켰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모든 전기기술자들은 신뢰성을 고려한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책임을 느껴야 한다. 조국의 근대화와 방위산업육성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이러한 전기공학분야의 중견연구원 및 기술자를 양성하는 공과대학전기공학과의 교과과정 역시 부단히 변하는 각종 환경에 적응될 수 있는 dynamic한 것이 되어야 한다. 즉 공과대학 전기공학과이 교과과정은 어떤 특정되고 고정된 기술 또는 설계에 대한 교과목으로 치우치는 것보다 수명이 길고 강력한 응용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우리의 기술을 토착화하여 이를 우리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현실을 고려하여 당학회에서는 1974년도 조사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교과과정조사회를 구성하여 국내의 여러대학의 전기공학과 교과과정편성에 다소의 도움을 주고저 일차적인 시안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교과과정을 작성하였다.{3}$N$_{4}$등의 산화물 및 질화물로 대표되는 분자성 비정질 물질로서 금지대는 2eV보다 큰 세종류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분류할 수 있다. 한다. 단 개개의 문제에 관한 구체적인 해석 또는 검토에 관하여는 다음 기회에 미루기로하고, 우선 여기서는 당면문제로서 대처하지 않으면 안될 자동주파수제어문제및 계통의 경제운용문제만에 한정하여, 이것을 우리나라의 현상과 관련시켜 개설하고, 이들의 자동화에 관한 기본적인 문제를 간단히 적어 보겠다. 가능하다. 제작완료된 ASIC은 기능시험을 완료했으며 실제 line-of-sight(LOS) 시스템 구현에 적용중이다. 시대를 살아 갈 회원들이다. '컨텐츠의 시대'가 개막되는 것이며, 신세기통신과 SK텔레콤은 선의의 경쟁 과 협력을 통해 이동인터넷 서비스의 컨텐츠를 개발해 나가게 될 것이다. 3배가 높았다.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