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통 영역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44초

EMI filter의 감쇄 성능 예측을 위한 소자의 공통 및 차동 모드 모델링 기법

  • 김희승;백미란;원도현;홍성수;노정욱;한상규;원재선;오동성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4-465
    • /
    • 2010
  • EMI 감쇄성능의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EMI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에 대한 명확한 공통 및 차동 모드 임피던스 모델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전도성 EMI 감쇄성능 예측 방식은 이러한 모델의 부재로 인해 고주파수에서 예측 값과 실험 결과에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MI 필터의 소자를 전도성 전파 규제 범위에서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통 및 차동모드 임피던스로 다시 모델링한다. 실험 결과 EMI 감쇄성능을 1MHz 이하의 영역에서만 예측할 수 있었던 기존 방식과 비교해 제안 방식은 10MHz 영역까지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임피던스 분석기를 이용한 측정 결과와 모의실험 결과를 제시하여 제안 방식의 타당성 및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과 언어 switch 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Brain activation areas associated with L1 and L2 vocabulary retrieval and language switching)

  • 남기춘;이동훈;김동휘;문양호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3-2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 관여하는 대뇌 영역을 fMRI 를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단일 언어를 산출할 때와 두 언어를 수시로 바꾸어서 인출할 때 관련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외국어를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12 세 근처에서 배우기 시작한 대학생이었다.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late learner로 구분되는 학생들이었다. 한 피험자가 세 종류의 실험 모두에 참여하였다. 피험자의 실험과제는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인출하여 말하는 과제였다. 실험 1, 2, 3 모두에서 사건관련 fMRI(event-related fMRI)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그림을 보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한국어 어휘와 외래어 어휘를 산출하게 하였다. 언어관련 뇌영역인 Wernicke 영역, Broca 영역, SMA 영역, SMG 영역 등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2 에서는 실험 1 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여 그림의 영어 이름과 외래어 이름을 인출하게 하였다.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도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유사한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외래어 산출 시에는 뇌 활성화 영역이 모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할 때와 모국어 산출할 때 활성화되는 공통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모국어 산출과 영어 단어 산출의 차이점은 외국어 산출 시에 활성화 영역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는 것과 외국어 단어 산출 시에 Broca 영역보다 조금 밑쪽에서 그리고 모국어 단어 산출시에는 전전두엽 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3 에서도 실험 1 과 실험 2 에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였다. 실험 3 의 특이한 결과는 언어 switching 이 있는 경우에 전통적인 언어 영역 활성화 외에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컸다는 것이다. 아마도 언어를 바꾸어 가면서 단어를 산출하는 것이 전전두엽의 정보선택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어휘 산출시에 모국어 어휘, 외국어 어휘, 외래어 등을 산출할 때 공통되는 언어 영역과 언어 특성적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 PDF

PKINIT기반의 향상된 Kerberos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vanced Kerberos Authentication between Realms based on PKINIT)

  • 신광철;정진욱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12호
    • /
    • pp.1541-154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IETF CAT Working Group에서 발표한 PKINIT 기반의 인증서비스를 향상시킨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서비스를 위한 상호 영역간 인증은 X.509와 DS/DNS를 이용하는 PKINIT를 통한 체인에 의해서 연결하였다. 영역간 서비스를 위해 공통키와 공개키를 사용하며 실제적인 인증은 Kerberos의 공통키에 두고 PKINIT의 X.509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세션을 설정하였다. 새로운 메커니즘은 원격영역에서 티켓을 얻기 위하여 KDC의 인증서 사용으로 Client와 원격 KDC간 인증절차를 간소화시킴으로써 통신부담을 줄이고 원격 KDC의 재확인 과정이 생략되었다.

  • PDF

컴포넌트 정적/동적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 (The Static and Dynamic Customization Technique of Component)

  • 김철진;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9호
    • /
    • pp.605-618
    • /
    • 2002
  • 컴포넌트 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은 Time-To-Market을 위한 필수적인 기법이며 컴포넌트를 이용해 다양한 도메인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재사용성이 높은 컴포넌트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려면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개발하려는 컴포넌트에 해당하는 다양한 도메인의 모든 요구사항을 분석해 컴포넌트 내에 포함한다는 것은 많은 부하를 주며, 또한 여러 도메인의 공통 기능을 가진 일반적인 컴포넌트만 제공하는 것은 개발자가 개발해야 하는 다른 영역이 존재하므로 Time-To-Market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이, 컴포넌트 개발(CD : Component Development) 시점에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컴포넌트를 개발하는 것이 재사용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으며 이러한 컴포넌트는 공통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 일뿐이며 공통 영역 외의 영역은 또 다른 개발의 부담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통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특정 영역의 컴포넌트를 재사용하기 위한 컴포넌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데이터 속성(Attribute), 기능(Behavior), 그리고 메시지 흐름(Message Flow)에 대한 변경 가능성을 제공하여 컴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개발된 컴포넌트들을 통합하거나 컴포넌트 내에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컴포넌트 내의 메시지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컴포넌트 내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다른 클래스로 교환하거나 통합된 컴포넌트를 다른 기능의 컴포넌트로 교환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 사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공통 기능의 컴포넌트 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의 컴포넌트에 대한 재사용성도 확보할 수 있다.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물질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Textbook(Materials Part) By Using 3-Dimensional Analysis Framework)

  • 김윤희;문성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74-287
    • /
    • 2000
  •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물질단원)의 내용분석을 통해 전체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 6차 교육과정에 중점을 둔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및 탐구 상황 영역으로 구성된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에서는 풍부한 학습자료와 읽을거리를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하고 있었다. 3차원 분석틀 중 탐구 내용 영역 분석에서는 교육과정 목표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해 다루고 있었으며 탐구활동의 횟수도 교과서당 평균 16회 정도로 각 교과서의 탐구 활동 횟수가 유사하였다. 탐구 과정 영역의 분석에서는 자료해석 및 일반화가 39.1%, 관찰 및 측정이 30.8% 로 대부분올 차지하고 있어 공통과학 교과서의 기본 목표에서 볼 때 상위의 탐구과정 요소의 반영 비율을 좀 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탐구 상황 영역의 분석에서는 과학적 상황이 81.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대 과학 교육의 주요한 교육운동인 STS 관련 내용은 18%에 불과하여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an's Core Competency Value)

  • 박희진;김진묵;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5-360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수준을 진단하는 자가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 실증적 연구방법을 통해 역량가치 평가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사서의 역량강화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지표를 공공도서관 관점에서 수정, 보완하여 직급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질인 공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자가진단 도구가 제시되었다. 공공도서관 사서 역량에 대한 자기 진단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전문직 사서가 갖추어야할 공통역량의 습득 정도를 보통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의 전체 역량 중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사서 재교육 체계 구축 및 강화가 필요하며 전문직으로서의 사서 직무에 대한 대외 홍보, 사서 전문역량 계발을 위한 체계적 제도와 전문성 계발을 위한 인사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주파수 워핑된 공통 극점을 이용한 음향 간섭제거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osstalk Canceller Using Warped Common Acoustical Poles)

  • 정재웅;박영철;윤대희;이석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39-346
    • /
    • 2010
  • 음향 간섭제거기는 머리전달함수 (head-related impulse response; HRIR)의 길이에 큰 영향을 받게 되어, 일반적으로 큰 차수의 필터를 필요로 한다. 간섭제거필터의 길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주파수 워핑, 공통 극점과 영점 (common acoustical pole and zero; CAPZ) 모델링 등의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워핑 영역에서 공통 극점과 영점 모델링을 통해 필터를 설계하며, 디워핑 과정을 통해 종래의 선형 영역에서 안정된 필터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은 주파수 워핑을 통한 간섭제거 성능 향상과 공통 극점 모델링을 통한 필터 계수 감소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 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영역 전환 전략을 사용한 다 영역 대화 프레임워크 (Multi-domain Dialog Framework using Domain Switching Strategy)

  • 최원석;강상우;서정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0년도 제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52-154
    • /
    • 2010
  • 다 영역 대화 시스템 개발에서는 영역 확장이 쉬워야 하며 처리하는 대화 영역이 늘어나더라도 대화 과정에서 사용자 편의성을 유지해야 하는 점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특성을 가지는 다 영역 대화 시스템을 작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공통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영역 전문가(Domain Expert)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영역 확장이 용이하다. 또한 진행 중이던 대화를 종료하지 않은 채 타 대화 영역으로 이동하는 영역 전환(Domain Switching) 현상은 다 영역 대화를 복잡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영역 전환 전략을 사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 PDF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 탐구 실험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Inquiry Scopes in High School General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6th Curriculum - Emphasizing the Analysis of Inquiry Experiment -)

  • 박원혁;김은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8-541
    • /
    • 1999
  •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4종의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중 탐구실험을 중심으로 과학탐구 평가표(SIEI)를 사용 하여 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공통과학 4종의 교과서의 탐구활동의 평균 횟수는 115.5회로 나타났고, 교과서별 비교에서 B교과서가 147회로 가장 많고, D교과서가 121회, C교과서가 100회, A교과서가 94회로 가장 적어 교과서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탐구활동 영역별 횟수는 관찰이 22회, 실험이 117회, 자료해석이 196회, 조사가 64회.. 토의가 51회, 분류가 4회 그리고 예상이 8회로 개념적 탐구 활동이 탐구실험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이 나타났다. 탐구과제수는 A교과서가 268개, B교과서가 328개, C교과서가 207개 그리고 D교과서가 304개로 C교과서가 가장 적었다. 탐구활동의 구조적 분석 중 경쟁/협동구조의 평가에서 공동과제, 조별결과가 87.1%, 토론구조평가에서 토론이 없는 활동이 83.5%, 탐구자유도 평가에서 문제, 방볍, 답이 모두 제시된 탐구활동이 58.3%, 탐구영역평가에서 교과내용의 증명이나 시범활동이 66.9%로 이들이 각 평가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통과학4종의 교과서에 대한 탐구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탐구피라미드 구조는 모두 형태 I 구조를 나타내었고, 탐구지수는 평균 47.8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