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초점 현미경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19초

다양한 교정용 접착제의 표면거칠기와 표면에너지 요소 분석 (Surface roughness and surface free energy components of various orthodontic adhesives)

  • 안효범;안석준;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0-368
    • /
    • 2006
  • 치과용 재료의 표면특성은 세균 부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섯 종류의 광중합 교정용 접착제(불소를 방출하지 않는 세 종류의 콤포지트 레진, 불소를 방출하는 콤포지트 레진 한 종류,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한 종류)의 표면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표면거칠기는 공초점 레이저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요소는 sessile drop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정용 접착제간 표면거칠기는 각 재료간 표면거칠기 차이가 $0.05\;{\mu}m$ 이하로 상대적으로 적지만 각 재료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Transbond XT와 Enlight는 Monolok2와 Lightbond 보다 유의하게 덜 거칠었다. 접촉각과 표면에너지 구성성분은 접착제 사이에 유의성 있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간에 접촉각과 표면에너지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의 경우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접촉각과 높은 표면에너지를 보였으며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보다 강한 극성, 특히 강한 염기성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레진 변형 글래스아이오노머가 콤포지트 레진 접착제에 비해 세균 부착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느타리버섯에서의 Pseudomonas tolaasii오염 연구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Pseudomonas tolaasii in Oyster Mushroom)

  • 이혜영;장금일;김광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2-240
    • /
    • 2001
  • 시장에서 수집한 갈변병에 감염된 느타리버섯으로부터 125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45 균주는 병원성 균주로 조사되었다. WLFO 6 strains, WLFO 6 strains으로 나타났고, WLRO의 몇 균주는 병원성 검정 실험에서 약한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했다. WLFO 6균주는 모두 느타리버섯의 갈변병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P. tolaasii로 미생물 신속 동성을 (MIDI, gas chromatograph-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에 의해 동정되었고 WLRO는 P. gingeri, P. fluorescens biotype A and type C. 로 동정되었다. 그 외의 선발된 Pseudomonas spp.는 P. gingeri, P. agarici, P. fluorescens biotype B, P. chloroaphis, non-pathogenic P. tolaasii, P. putida biotype A, B 등으로 동정이 되었다. 분리된 병원성 세균의 세포배양 여과액으로 버섯에서의 갈변과 조직 함몰을 실험하였다. 병원성 검정에서 약한 병원성을 보인 분리균들은 갈변 또는 조직함몰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던 균들은 두 현상이 모두 나타났다. P. tolaasii에 의해서 생성되는 세포외독소인 tolaasin의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600 nm에서 용혈 활성을 측정하였다. P. tolaasii로 동정된 6 균주는 0.8∼0.9, 약한 병원성의 WLROs는 0.9∼1.0 그리고 Pseudomonas spp.는 10∼1.2로 나타났다. 공초점 현미경 기술을 이용하여 신선한 버섯에서의 조직을 optical sectioning image와 vertical sectioning image로 관찰하였고 또한 P. toiaasii에 의하여 오염된 조직부위의 영상을 회득하였다.

  • PDF

디지털 영상 세포 측정법에 기반한 세포핵의 3차원 정량적 분석 (3D Quantitative Analysis of Cell Nuclei Based on Digital Image Cytometry)

  • 김태윤;최현주;최흥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46-855
    • /
    • 2007
  • 암세포 조직 영상 분석에서 유효한 특성값 추출은 암세포 등급별 분류를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 세포 측정법 기반 세포핵의 3차원 정량적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신세포암의 각 등급별 3차원 볼륨 데이터를 획득하고, 지도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슬라이스 영상의 화소의 컬러 특성값을 이용하여 세포핵을 분할했다. 세포핵의 3차원 가시화를 위해, 윤곽선 기반 표면 렌더링과 3차원 텍스쳐 사상 방법을 이용한 볼륨 렌더링을 수행했다. 이후 세포핵의 3차원 형태학적 특성값을 정의하고 추출했다. 어떠한 3차원 특성값이 진단 정보로 유용할 것인가를 평가하기 위해,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각 등급 간 3차원 특성값의 통계적 유효성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추출한 특성값을 2차원 특성값과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세포핵 등급과 3차원 형태학적 특성값 간의 유효한 통계학적인 차이를 확인했다. 제안한 방법은 정확한 진단과 예후 추정을 위한 새로운 등급 결정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유전치 Resin Infiltration을 위한 표면처리 방법의 대안 (Alternative Pretreatment Methods for Resin Infiltration in Primary Anterior Teeth)

  • 이은경;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9-184
    • /
    • 2018
  • 본 연구는 유전치 순면의 백색병소에 대한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레진 침투법의 침투 깊이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치의 초기 우식병소에 대한 레진침투법 적용 과정에서, 염산 이외의 대안적 표면처리 방법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15% 염산 단독으로 2분간 산부식 한 대조군과 35% 인산 단독으로 2분간 산부식을 시행한 I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 두 그룹과 인산 산부식 전 치면세마용 퍼미스 또는 연마용 metal strip으로 표면 전처리를 한 그룹 간에는 레진 침투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 < .05). 유전치 초기 우식 병소에 레진 침투법을 시행할 때에는 35% 인산 단독 산부식만으로도 15% 염산을 이용한 산부식에 비견할 만한 침투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진의 침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산부식 전 병소 표면에 기계적 마모술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방법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레진침투법을 사용하기에 비교적 안전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표면처리 방법이라 볼 수 있다.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아미백기의 활용 : 광역동 치료로서의 접근 (Application of Teeth Whitening LED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Antimicrobial Photodynamic Therapy Approach)

  • 박초아;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0-7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악궁 전반적으로 조사가 가능한 미백 LED를 이용하여 우식원성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in vitro 연구이다. S. mutans를 각각 두가지 다른 단계의 상태로 배양하였다. Planktonic 상태와 Hydroxyapatite disk와 CDC biofilm reactor를 5일간 사용하여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를 형성하였다. 20 μM 로 희석한 erythrosine을 5분간 전처리한후 가정용 미백기와 진료실 미백기를 사용하여 각 15분씩 광조사를 시행하였다. 실험 종료 후 각 실험군의 Colony Forming Unit를 측정하였으며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를 이용하여 각 조건에 따른 광역동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S. mutans에 대한 aPDT효과는 control군과 비교시에 각각 플랑크토닉상태와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광역동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각각 p = 0.001, p = 0.002). 하지만 동적인 바이오필름 상태에서는 플랑크토닉 상태보다 광역동치료에 내성을 지녀 항미생물 효과가 떨어지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진료실용 미백 LED와 가정용 미백LED는 유사한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냈다. 구강악궁 전반적 조사가 가능한 미백용 LED는 우식의 원인이 되는 S. mutans 바이오필름에 유의한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치아 우식 예방으로의 광역동 치료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불소 민감성 Streptococcus mutans와 불소 저항성Streptococcus mutans의 우식원성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ariogenic Characteristics between Fluoride-sensitive and Fluoride-resistant Streptococcus mutans)

  • 옹승환;김종수;백동헌;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97-405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불소 민감성(fluoride-sensitive) Streptococcus mutans (FS S. mutans ) 와 불소 저항성(fluoride-resistant) Streptococcus mutans (FR S. mutans )의 우식원성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S. mutans ATCC 25175 균주를 NaF (70 ppm)를 포함한 trypticase soy broth에서 40일 동안 배양하여 FR S. mutans를 획득하였다. 2% 자당 유무에 따른 FS와 FR S. mutans의 성장과 산 생성 변화를 비교하였고, 타액 세균을 이용하여 FS와 FR S. mutans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FS와 FR S. mutans의 gtf 유전자 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FR S. mutans는 FS S. mutans 보다 자당을 이용한 성장과 산 생성이 모두 낮았다. 타액 세균과 단일 균주 바이오필름의 형성 또한 FR S. mutans가 FS S. mutans 보다 적었고, 더 낮은 gtfB, gtfC 및 gtfD 발현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FR S. mutans는 FS S. mutans 보다 감소된 우식원성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관찰하였고, 불소의 주기적 사용은 S. mutans 세균의 활성을 낮추어 우식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관박쥐 망막의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 동정 (Localization of the Major Retinal Neurotransmitters and Receptors and Müller Glia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 이준석;권오주;전태헌;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91-396
    • /
    • 201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박쥐 망막에서의 시각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 내 글루타메이트 및 ${\gamma}$-aminobutyric acid (GABA), 아세틸콜린과 같은 중추신경계의 주요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신경교세포인 뮬러세포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법: 성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하였다. 망막을 수직 절편한 다음,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적용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면역형광이미지 내 면역반응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글루타메이트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들은 주로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였다. GABA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신경세포들은 내핵층에 주요하게 분포했으며, GABA의 수용체들은 내망상층에 존재하였다. 아세틸콜린의 면역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주로 내핵층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각각의 면역반응성들은 대부분 내망상층에 밀집해 있었다.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신경교세포 중 하나인 뮬러세포는 신경절 세포층에서 외핵층까지 길게 뻗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관박쥐의 망막에도 다른 포유동물의 망막에 있는 주요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 뮬러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한국관박쥐는 조직화된 망막 신경회로를 가지는 기능적 망막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도성 고분자 나노임프린트 패턴 상의 HeLa 세포 배양 (HeLa Cell Culture on Nanoimprinted Patterns Using Conducting Polymer)

  • 안준형;박경숙;이수옥;정상희;임형준;신용범;이재종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1호
    • /
    • pp.63-67
    • /
    • 2017
  • 일반적인 세포 배양 기술은 평평한 표면에 세포 부착을 위한 화학적, 생화학적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요즘 들어 마이크로나 나노 크기의 구조체를 형성하여 세포 부착을 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 고분자인 피롤과 나노임프린트 기술을 이용하여 300 nm 선 패턴과 150 nm 원기둥 패턴의 나노구조체 제작 후 대표적인 암세포인 HeLa 세포를 배양하여,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의 부착 특성을 연구하였다. 상용 페트리 접시와 평면 피롤에서는 세포들이 부정형의 형태로 부착 및 배양되었지만, 선폭 300 nm 선패턴 상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세포가 부착되고 세포 내의 핵과 액틴 역시 배열되어 있고, 지름 150 nm 원기둥 패턴 상에서는 단일 세포로 고정되고 세포 내 액틴은 방사상으로 나노구조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 감응형 나노입자를 이용한 멜라닌 합성저해 연구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Enhanced Cytosolic Delivery of N-glycosylation Inhibitors Using pH-Sensitive Nano-carrier)

  • Park, Ju-Young;Park, Hyun-Jung;Shim, Jong-Won;Ahn, Soo-Mi;Kim, Junoh;Chang, Ih-Seop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32
    • /
    • 2004
  • 내형질 세망 조직에서 N-글리코실레이션 과정의 초기 단계를 차단하면 멜라닌 생 합성의 주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이 저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환경에서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키고자 전달체로 pH 감응성을 갖는 나노크기의 지질구조체를 제조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이 pH 감응성 지질구조체 Melexsome은 일반적인 지질성분인 포스포리피드와 콜레스테롤 기반의 지질안정 성분으로 구성되며, 통상적인 리포좀 제조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글리코실레이션 저해 성분물질을 포집시킨 Melel[some의 효과는 EndoH & PNGaseF 분해와 western blotting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고, 멜라닌 합성량 또한 측정 되었다. 이 결과, pH 감응성을 갖도록 제조된 Melexsome이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초점 주사 현미경에 의한 세포관찰 결과에 따르면 Melexsome은 여타의 전달체에 비하여 세포질 내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같은 양친성 지실성분 기반의 pH 감응성 나노 전달체는 N-글리코실레이션 저해제의 전달 시스템으로서 미백 화장료 제품이 가져야 하는 침착된 색소에 의해 어두워진 피부톤의 개선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생쥐의 난자와 초기배아의 칼슘이온 대사에 미치는 Ruthenium Red와 Ryanodine의 영향 (Effect of Ruthenium Red and Ryanodine on Calcium Ion Metabolism in Oocyte and Early Embryo of Mouse)

  • 이준영;홍순갑;김태식;민병열;김해권;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2호
    • /
    • pp.95-103
    • /
    • 2003
  • 세포내 칼슘은 다양한 세포에서 중요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며, ruthenium red와 ryanodine은 중요한 칼슘 조절자로 작용한다. Ruthenium red는 세포내 칼슘 저장고에서의 calcium induced calcium release(CICR)를 저해한다. Ryanodine은 ryanodine 통로를 통한 칼슘 방출을 촉진한다. 본 실험은 두 조절자가 생쥐 난자와 초기배아의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와 그 유효농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난자 및 초기배아내 칼슘이온 함량 변화는 Fluo-3/AM을 이용하여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Ruthenium red는 고농도(30$\mu$M, 300$\mu$M)에서 난자와 초기배아의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를 저하시켰고, ryandoine은 저농도(0.01$\mu$M)에서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를 증가시켰지만 고농도(10$\mu$M)에서는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를 감소시켰다. 본 실험결과를 보면, ruthenium red와 ryanodine은 생쥐의 난자 및 초기배아에서도 세포내 칼슘이온 농도에 영향을 미쳤고, 그 유효농도는 근세포를 포함한 체세포와는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