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조 제어 방법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현장의 전기사용 절약방법 - 공조기(3)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2 s.50
    • /
    • pp.75-80
    • /
    • 1981
  • 공조기의 전기사용합리화의 포인트는 열부하의 경감과 열매개(공기 물)의 효율좋은 제어에 있다. 후자는 결국 송풍기, 펌프의 절전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며, 이미 본란에서 기술하여 왔던 것이므로 상세한 것은 이것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 PDF

에너지절약 인버터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94
    • /
    • pp.80-85
    • /
    • 2001
  • 최근 인버터의 에너지절약 및 이용 합리화는 공조용뿐만 아니라 전에는 별로 생각하지 않았던 반송(搬送)기계, 기타 일반산업기계에도 니즈가 높아가고 있다. 그 결과 여러 가지 에너지절약 방법에 의한 대처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1999년 4월에 시행된 개정 (일본)省에너지법에서도 (1)팬, 펌프, 블로어, 컴프레서 등의 유체기계에 대해서는 회전수 제어 등으로 송출량과 압력을 적절히 조정하여 전동기의 부하를 저감시킬 것 (2) 전동력응용설비를 부하변동이 큰 상태에서 사용할 때는 부하에 따른 운전제어를 할 수 있도록 회전수제어장치 등을 설치하도록 검토할 것 과 같이 공조용도 이외의 일반용도에 대해서도 인버터 설치를 장려하고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인버터운전에 의한 에너지절약을, 공조용도에 한정하지 않고 부하특성에 따른 것과 운전상태에 따른 것에 대하여 각각의 에너지절약 실현방법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인버터운전으로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생각을 기술한다. 3장에서는 부하특성에 따른 에너지절약 방법으로 2승저감토크 부하, 정토크 부하, 정출력 부하로 분류하여 상용운전에서의 에너지로스 요인을 분석, 인버터운전이 에너지절약이 되는 이유를 기술한다. 4장에서는 각 운전상태에 따른 에너지절약방법으로 시동$\cdot$가속, 일정속도 운전, 감속$\cdot$정지 모드로 분류하여 각각의 상태에서의 에너지로스의 요인을 분석, 인버터운전이 에너지절약이 되는 이유를 기술한다. 5장에서는 공조용도 이외의 분야에서 새로운 에너지절약이 가능하게 된 구체적인 사례 도입에 있어서의 주안점과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active noise controller for duct systems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기 개발)

  • 이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10a
    • /
    • pp.47-50
    • /
    • 1990
  • 종래에는 공조덕트의 소음 감소를 위하여 주로 흡음재료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소음감소대책은 500HZ 이상의 고주파 영 역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500HZ 이하의 저주파 영역에서는 효과가 적다. 이 러한 500HZ이하의 저주파 소음은 각종 구조물의 진동을 야기시켜 정밀작업 이 요구되는 작업환경을 파괴하고, 심지어는 구조물에 손상을 입힐수도 있 다. 또한 이러한 저주파 소음에 노출된 사람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여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청력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청정환경이 요구되는 곳에서의 소음감소를 위하여 흡음재료를 사용할 경우 흡음재료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미세분에 의해 청정환경의 보존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흡음재료를 이용한 수동소음제어 대책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을 그 소음과 동일한 진폭을 갖으며 위상차가 180도인 인위적인 음파로 상쇠시키 는 능동소음제어대책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논문은 덕트 또는 이와 유 사한 음향환경내에서의 적응필터기법(adaptive filtering technique)을 이용한 능동소음제어방법의 개발, 실제구현 및 성능평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 수의 에러 마이크로폰과 다수의 소음제어용 스피커를 사용하여 제어계통의 가관측성(Observability)및 가제어성(Controllability)을 향상시켜 평면파로 전 달되는 소음의 감소를 증대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차모드(Higher-order mode)로 전달되는 소음의 제어도 가능케하는 능동소음제어 방법에 관하여 논하였다.

  • PDF

A FUZZY PID Control of Supply Duct Outlet Air Temperature for PEM (FUZZY PID 방법을 이용한 개별 공조시스템의 급기온도 제어)

  • 장영준;박영철;정광섭;한화택;이정재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4 no.4
    • /
    • pp.278-284
    • /
    • 2002
  • The work presented here provides a control of the supply duct outlet air temperature in PEM (personal environment module) using fuzzy PID controller. In previous work, PID control systems were used, but the result shows that the outlet air temperature and electric heater regulating voltage were oscillated. Fuzzy PID control systems are designed to improve the system response obtained using PID control and implemented experimentally Also, PID controller and fuzzy controller without PID logic are provided to compare the result with that of the fuzzy PID controller. Data obtained shows that the fuzzy PID control system satisfies the design criteria and works proper1y in controlling the supply air temperature. Also it has bettor performance than the previous result obtained using PID control.

Remote Refrigeratio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냉동 공조 제어시스템)

  • Park, Jin-Su;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113-114
    • /
    • 2013
  • 일반적인 소규모 휘발성유기화합물(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배출시설인 주유소, 세탁소, 도장시설 등의 환경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휘발유 유증기, 세탁용제(솔벤트유) 증기 등을 포집하여 포집된 유증기를 다시 액화처리 과정을 통하여 휘발유, 솔벤트로 재생산하는 기존의 PLC(Programable Logic Control) 방식의 처리과정을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을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스마트한 VOCs 액화장치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기존의 주유소 휘발유증기액화장치는 타이머와 릴레이 등을 조합하여 냉동 공조 장치로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전기제어로 동작하여 관리자가 항시 주의를 요하며 전력소비가 심해 생산량에 비해 손해가 발생하게 되며,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생산량과 현 상황을 확인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항상 관리자가 직접 수기로 기록하게 되어 많은 불편사항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을 대부분 유지하고 자동화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for Consistency maintenance of the Shared data in Collaborative (협력시스템에서의 공유객체의 일관성 유지 방법에 관한 연구)

  • 원보규;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221-223
    • /
    • 2000
  • 협력시스템(collaborative System or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은 여러 사용자가 공동 작업을 하기 위해서 참여자간의 정보의 공유와 공조,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술을 말한다. 오늘날의 CSCW는 기업체내에서의 기업업무 처리 측면에서 고려되는 시스템과 산업 디자인, 협력 편집기와 같이 특정 목적 시스템의 분야로 발전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산업 디자인과, 협력 편집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하나의 공유객체를 제어하고, 처리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세분화된 데이터의 공유방법과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서 공유객체에 대한 동시적 조작이 가할 때 공유객체는 일관적인 상태로 존재시키기 위해서 동시성 제어와 같은 일관성 유지 정책이 요구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시스템에서의 공유객체에 관한 일관성 유지 정책을 소개하고 기존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된 방법을 소개한다.

  • PDF

Synchronous control PWM Method for Reducing Common-Mode Noise in Dual Inverter Air-conditioner (복수의 인버터를 가지는 공조 시스템 모터의 Common Mode 노이즈 저감을 위한 연동제어 PWM 생성 방법)

  • Baek, Young-Jin;Park, Gwi-Geun;Park, Dong-Min;Kwon, Woo-Hyen;Kim, Heung-Ge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90-391
    • /
    • 2018
  • 본 논문은 직류단 전원을 공유하는 복수의 인버터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EMI 저감을 위한 연동제어 PWM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PWM 제어에 의한 스위칭시 전력단 중성점에서 커먼모드 전압이 생성되고, 기생 캐패시터를 통해 전원라인으로 유입되어 EMI 노이즈가 발생된다. 복수의 인버터 시스템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이로인한 불특정한 커먼모드 전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인버터를 PWM 시점의 동기제어를 통해 커먼모드 노이즈를 상쇄하고자한다. 제안한 제어 기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며, 간이 실험 통해 검증한다.

  • PDF

Development of a CNN-based Cross Point Detection Algorithm for an Air Duct Cleaning Robot (CNN 기반 공조 덕트 청소 로봇의 교차점 검출 알고리듬 개발)

  • Yi, Sarang;Noh, Eunsol;Hong, Seokm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1-8
    • /
    • 2020
  • Air ducts installed for ventilation inside buildings accumulate contaminants during their service life. Robots are installed to clean the air duct at low cost, but they are still not fully automated and depend on manpower. In this study, an intersection detec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driving was applied to an air duct cleaning robot. Autonomous driving of the robot was achiev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and angle between the extracted point and the center point through the intersection detection algorithm from the camera image mounted on the robot. The training data consisted of CAD images of the duct interior as well as the cross-point coordinates and angles between the two boundary lines. The deep learning-based CNN model was applied as a detection algorithm. For training, the cross-point coordinates were obtained from CAD images. The accuracy wa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actual and predicted areas and distances. A cleaning robot prototype was designed, consisting of a frame, a Raspberry Pi computer, a control unit and a drive unit. The algorithm was validated by video imagery of the robot in operation. The algorithm can be applied to vehicles operating in similar environments.

Energy saving control system of wireless base station utilizing natural air-conditioning (자연공조를 활용한 무선기지국 Energy절감 제어시스템)

  • Ryu, Gu-Hwan;Kwon, Ch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223-232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has been reduced to a system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equipment is large in the wireless base station, the energy consumption is continuously consumed and the failure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may occu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was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we performed base station with a lot of calorific value and electric charge. We selected 25 base stations and obtained data for two weeks. To ensure reliability, the room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27^{\circ}C$, and the control system was installed and equiped for two weeks to obtain the date analy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test results in the study method, the instrument was used with a computer, a digital thermometer, and dust measurement. For the date analysis, we conducted a research study on 25 wireless basestation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Control Sysetm.

Design of Multivariable 2-DOF PID for Electrical Power of Flow System by Neural Network Tuning Method (신경망 튜우닝에 의한 유량계통 동력 제어용 다변수 2-자유도 PID의 제어기 설계)

  • 김동화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2 no.1
    • /
    • pp.78-84
    • /
    • 1998
  • The fluid system such as, the quantity control of raw water, chemicals control in the purification, the waste water system as well as in the feed water or circulation system of the power plant and the ventilation system is controlled with the valve and moter pump. The system's performance and the energy saving of the fluid systems depend on control of method and delicacy. Until, PI controller use in these system but it cannot control delicately because of the coupling in the system loop. In this paper we configure a single flow system to the multi variable system and suggest the application of 2-DOF PID controller and the tuning methods by the neural network to the electrical power of the flow control system. the 2-DOF controller follows to a setpoint has a robustness against the disturbance in the results of simulation. Keywords Title, Intelligent control, Neuro control, Flow control, 2 - DOF control., 2 - DOF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