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정자동화

Search Result 79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ase Studies on the Automa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기법을 응용한 생산공정 자동화 연구 사례)

  • 조형석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4
    • /
    • pp.277-284
    • /
    • 1994
  • 퍼지이론은 1965년 Lefti Zadeh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제창되었으며 여러 분야에서 응용이 확 대되어 많은 좋은 성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 시스템의 일종인 퍼지논리를 이용한 제어는 제어를 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정성적인 특성에 대한 법칙의 추출이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반면에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제어는 스스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특히 제어분야에서는 용접공정이나 조립공정 등의 공정제어와 로 봇제어의 분야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인공지능 기법을 생산공정의 자동화에 적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이 기법의 유용함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

Study for Assembly System Automation of MTO(Make-To-Order) (다품종 주문생산 방식의 조립시스템 자동화에 관한 연구)

  • 목학수;신현창;표승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42-5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다품종 주문 생산 방식이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 중의 하나인 조립시스템에서의 소량 생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조립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제품 및 구조의 분석으로 제거 및 통합 가능한 부품 파악을 하며 불필요하거나 생산 및 조립 용이성이 떨어지는 요소를 제거한다. 둘째, 취약 공정의 분석으로써 취약공정의 개선효과를 파악하고 근접 작업장과의 원활한 공정 흐름을 고려하여 취약공정 유무 파악 및 우선 개선 공정을 결정한다. 셋째는 조립시스템에 적합한 대안의 제시로써 자동화를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제시된 대안의 평가를 통해 적합성 여부 판정한다. 즉, 미리 설정된 평가 기준에 의한 대안의 평가를 내리게 된다.

  • PDF

Automatic Tree Extraction Using LIDAR Data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수목추출 자동화)

  • Lee, Su Jee;Kim, Eui M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39-44
    • /
    • 2013
  • Trees are important ground objects that cause oxygen and reduce carbon dioxide in urban areas. For management of the trees, many studies using LIDAR data have been conducted. But, they rely on overseas developed LIDAR data processing software applications because there is a lack of domestically developed software applications. Therefore, this work was intended to propose an automation process that helps to extract trees automatically from LIDAR data. The proposed process has the function to classify LIDAR data and to extract building regions and trees automatically. It was applied to a study place in Yongin to conduct a test. As a result, about 88% of trees were extracted from the automation process.

Real-Time Scheduling System Re-Construction for Automated Manufacturing in a Korean 300mm Wafer Fab (반도체 자동화 생산을 위한 실시간 일정계획 시스템 재 구축에 관한 연구 : 300mm 반도체 제조라인 적용 사례)

  • Choi, Seong-Woo;Lee, Jung-Se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5 no.4
    • /
    • pp.213-224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 real-time scheduling system re-construction project for automated manufacturing at a 300mm wafer fab of Kore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During executing this project, for each main operation such as clean, diffusion, deposition, photolithography, and metallization, each adopted scheduling algorithm was developed, and then those were implemented in a real-time scheduling system.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scheduling algorithms and real-time scheduling system for clean and diffusion operations, that is, a serial-process block with the constraint of limited queue time and batch processors. After this project was completed, the automated manufacturing utilizations of clean and diffusion operations became around 91% and 83% respectively, which were about 50% and 10% at the beginning of this project. The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reduces direct operating costs, increased throughput on the equipments, and suggests continuous and uninterrupted processings.

  • PDF

표면 다점 온도 측정을 이용한 용접 중 용융지 크기 추정

  • 원윤재;조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223-227
    • /
    • 1993
  • 최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용접 자동화가 실용 분야, 특히 GMAW 공정에서 활발히 진행되고있다. 그러 나, 현 수준의 용접 자동화는 완전 자동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단지 주어진 용접 조건과 용접 경로로 용 접을 실행하는 로보트 시스템의 채용으로 인간의 작업을 대체하는 정도이다. 이와 같은 로보트 시스템 을 이용한 자동화에 있어서는 예기치못한 공정의 변동에 대처하기 위한 공정 중 용접질 모니터링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목적으로 표면의 다점 온도를 측정하여 이 중 한점의 온도와 이점 이점 부근의 온도 구배로써 용융지 크기 추정 지수를 구성하였다. 이 지수는 온도 변수들과 대응 용융지 크기 간에 다중 회귀 방법을 이용하여 최소 추정 오차가 발생하도록 설정된 수학적 모델이다. 제안된 지 수의 추정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용접 열전도 모델로 부터 얻은 용융지 크기와 표면 온도분포 data를 이용 하여 일련의 시뮬레이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수 구성 온도 변수들의 차수가 추정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 측정 위치에 따른 추정 성능의 민감도를 추정 오차와 오차 분산을 통해 분석하고, 지수를 사용하였을 때의 추정성능을 한점 온도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 평가하였다.

Fieldbus : Communication Network for Manufacturing Automation (생산자동화를 위한 통신망 : 필드버스 기술 개요)

  • 홍승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1 no.5
    • /
    • pp.12-24
    • /
    • 1994
  • 최근 수년간에 걸쳐 이루어진 센서기술의 발달과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타 처리능력의 혁신적인 발전은 대형의 복잡한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운용하는데 있어서 막대한 양의 정보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제철 또는 화학공장 공정제어에 있어서 여러 단계의 복잡한 공정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다양한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컴퓨터에 전달된다. 또한 제어컴퓨터에서 생성되는 데이타는 자동화장비들의 각 구동장치로 분배된다. 이와 더불어 전체공정의 운용 및 관리와 제품의 품질 검사 및 시험에 관련된 데이타들도 적절히 전송되어야 한다. 또한 공장의 생산자동화 시스템에서도 수많은 로봇, PLC, CNC,AGV,켠베이어, 자동창고 등 자동화장비관련장비들의 시간적,공간적인 작업상태와 작업환경에 대한 무수한 정보들은 다양한 센서들에 의하여 감지되어 제어컴퓨터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막대한 양의 데이타들을 적시에 수집하여 가공한 후 적시, 적소에 분배해 줄 수 있는 데이타 전송기술의 확보는 미래의 첨단생산시스템으로 인식되는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및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의 구축을 위한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발전소, 최신예 항공기와 인공위성 등과 같이 고도의 제어기능과 매우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시스템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제기된다.

  • PDF

반도체 무인화 제조공정을 위한 Wafer Handling 자동화기술의 현황

  • 고명삼
    • 전기의세계
    • /
    • v.39 no.6
    • /
    • pp.6-13
    • /
    • 1990
  • 여러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자동화, 정밀화는 인간이 개입할 수 없는 진공프로세서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LSI제조 프로세서에서 제조공정의 약 70%를차지하는 wafer의 반송에서 flexibility를 갖고 고속위치 결정이 가능한 로보트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핵융합로의 유지용 로보트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핵융합로의 유지용 로보트 및 우주공간에서 운전되는 로보트등 청정진공형 로보트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미국 및 일본 등지에서 wafer자동반송장치로 현재 개발되었거나 혹은 개발중인 자동화장치 기술에 관한 주요한 몇가지 점을 소개하였다. 반도체 산업이 수출의 주요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는 이때 반도체 제조공정의 자동화기술의 확보는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별기술 개발위원회를 구성하여 산학협동하여 조직적으로 최소한 5개년계획으로 추진할 것을 제의한다.

  • PDF

생산 시스템 자동화 분야에서의 시각 인식 장치

  • 고국원;박원식;조형석
    • ICROS
    • /
    • v.2 no.6
    • /
    • pp.38-49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시각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화된 생산기술 분야로, 전자회로 기판 생산 공정과 용접 공정을 예롤 들었으며, 각 분야에서의 연구 동기 및 현황을 소개하고 최근 사용되고 있는 기술에 대해 논하였다. 여기서, 전자회로 기판 생산공정에 적용된 시각 인식 기술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도체 패턴의 양/불량 판정 검사, FIC부품의 인식 및 리드 검사, FIC부품의 장착상태검사, 장착 후의 납땜 검사 등을 다루었으며, 용접 공정에 대한 기술로는 맞대기 용접에서의 용접선 추적, 고주파 전기저항 용접으로 생산되는 강관의 용접품질 검사 등을 다루었다.

  • PDF

Automatic System for Manufacturing Processor of Small-Sized DC Motor (소형전동기 제작공정의 자동화 시스템)

  • An, Y.J.;Hwang, Y.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1.11a
    • /
    • pp.108-111
    • /
    • 1991
  • 소형전동기의 제작에 있어서는 제작에 필요한 여러가지의 작업공정이 소요된다. 이러한 작업공정 중에서 비교적 작업이 까다롭고 생산량에 비하여 수작업이 많이 드는 공정을 단위자동화 시스템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nsulator Inserter M/C을 개발 대상으로 하였다.

  • PDF

객원기자코너-드루파 이후 유럽인쇄동향

  • Lee, Geun-Seong
    • 프린팅코리아
    • /
    • s.27
    • /
    • pp.102-103
    • /
    • 2004
  • 드루파 2004 이후 유럽의 인쇄 산업에서 우리는 기존 인쇄공정의 자동화와 새로운 디지털 인쇄공정으로 크게 2개의 발전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기존 인쇄 공정의 자동화는 JDF(Job Definition Format) 포맷을 통해 가능해 졌다. JDF는 인쇄사에서 사용하는 있는 서로 다른 프로그램의 통합을 가능하도록 했다. 인터넷 등을 통하여 디지털 작업이 접수되면 견적 가격은 물론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잡 티켓(Job Tickets)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데이터는 프리프레스의 작업 공정과 연결은 물론 교정기(Proofer), CTP, 인쇄, 후가공으로 자동 전달, 사용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