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정자동화

Search Result 79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oundation Fieldbus communication module (파운데이션 필드버스 통신모듈 설계 및 구현)

  • Oh, Joon-Seok;H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72-73
    • /
    • 2007
  • 기존의 공정자동화 설비에서는 센서를 통하여 계측된 데이터들이 4-20mA의 아날로그 신호를 통하여 제어기와 컴퓨터들로 전송되었다.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 전송 방식에서는 제어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술 선진국에서는 필드 장비들 간에 고속의 직렬 통신을 통하여 제어 및 자동화 관련 디지털 데이터의 전송을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필드버스 통신망을 개발하였으며, 1990년대 이후 공장 자동화, 공정 제어 및 발전 설비 등 각종 산업 설비에 필드버스를 매우 활발히 도입하고 있다. Foundation Fieldbus 모듈은 공정제어 시스템예서 사용되는 센서, 제어기, PLC, 밸브, 구동기, 스위치 등의 모든 필드 장비에 바로 탑재되어 Foundation Fieldbus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부품으로 첨단의 공정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핵심기술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Foundation Fieldbus 모듈은 기존의 센서제품을 FF기반의 지능형 센서로 바로 전환할 수 있는 핵심부품이다.

  • PDF

사출 금형 자동공정계획시스템

  • 조규갑;임주택;오정수;노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1.10a
    • /
    • pp.261-267
    • /
    • 1991
  • 다품종소량생산의 특징을 갖고 있는 금형공업에서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CIMS)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부품설계도면으로부터 최종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계획의 자동화,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정계획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자동공정계획시스템(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CAPP) 기술의 개발이다. 국내외적으로 CAPP분야의 연구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자동화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지난 20여년 동안에 기계가공품에 관한 CAPP은 약 150여가지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설계의 자동화(Computer Aided Design;CAD)나 컴퓨터 지원에 의한 제조의 자동화(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M)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형편이다. 특히 금형을 대상으로 한 CAPP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출금형을 대상으로 하여 실용성이 있는 공정설계시스템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계획은 "소재로부터 제품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제조공정의 체계적인 결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정계획은 제품의 종류와 수량, 재료와 부품의 종류, 보유 생산설비와 제조기술의 수준에 따라 다르나, 공정설계(Process Design)와 작업설계(Operation Design)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계획을 광의의 공정설계로 정의하고, 공정설계와 공정계획을 동의어로 통용토록 한다. 기존의 CAPP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변성형방법(Variant method), 창성형방법(Generative method) 및 자동화방법(Automatic method)이 있다. 이들 CAPP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기법은 크게 5가지- (1) GT(group Technology) 접근기법, (2) Bottom-up 접근기법, (3) Top-down 접근기법, (4) AI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접근기법, (5)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 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

  • PDF

Design of a Welding Robot System for the Sub-Assembly Line in Ship-Yard (조선 소조립 용접 로봇 시스템 설계)

  • 김진오;신정식;김성권;박문호;김세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4 no.1
    • /
    • pp.30-37
    • /
    • 1996
  • 조선에서 추진되어온 용접로봇의 적용은 주로 대조립 용접공정의 자동화로서, 갠트리(Gantry)에 용접토치를 장착한 로봇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에 서의 용접은 로봇을 용접부위까지 이송시킨 후 로봇의 구동으로 용접을 수행하거나, 또는 로봇과 캔트리의 동시 구동으로 용접을 수행하기도 한다. 또한 이 공정은 복잡 한 용접구조물을 OLP(Off-Line Programming)를 이용하여 교시하므로서 효과적인 자동 화 시스템의 구성이 가능할 수 있었다. 소조립 공정은 대조립공정과 비교하면 더 간단 한 부재의 용접이라 할 수 있으나 공정과 공장의 생산방법에 따라 자동화의 어려움은 따른다. 적용되는 매니프레이타는 소조립 공정의 특성에 맞게 그 형태가 설계되어야 하고 이를 운용하는 시스템은 소조립 생산방법에 맞게 통합, 개발되는 Task-Based System"이 되어야 한다. 특히 소조립 공정은 대조립 공정과 달리 여러가지 용접 판넬 을 동시에 이송시킨 후 용접함으로서 OLP의 직접 적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있어 이것을 해결하는 것이 생산성을 증가시키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하겠다. 이 글에서는 소조립 용접 자동화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젓으로서 소조립 용접 공정을 소개하고, 공정의 특성에 맞도록 설계된 매니퓰레이타 시스템과, OLP, 판넬인식, 자동 교시 모들로 이루어지는 작업인식 시스템에 관해 기술한다.기술한다.

  • PDF

반도체 생산공정의 제조생산성 및 자동화

  • 구평회;황경현
    • ICROS
    • /
    • v.4 no.4
    • /
    • pp.11-16
    • /
    • 1998
  • 본 고에서는 반도체 산업에서 제조 생산성 향상의 필요성을 논하였고, 생산 자동화/통합화와 제조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반도체 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생산 정보시스템 Infrastructure가 구축되어야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각 자원 및 기능 간의 효율적인 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Moore's Law에 필요한 효율의 달성을 위해 물류시스템의 자동화/통합화 그리고 반도체 공장의 설계/운영의 합리화를 위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단조품 후처리 공정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공정자동화 시스템 개발

  • 송신우;하인철;송병석;이경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82-282
    • /
    • 2004
  • 단조품 후처리 공정은 표면처리, 자분 탐상, 수 검사, 방청, 개수계량 공정으로 이루어져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단조품 제조 산업에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처리 공정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표면 처리 공정에서 소재를 장입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개수하고, 버킷에 담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소재의 이송은 지게차를 이용하고 있어 작업자와 지게차는 같은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하게 된다.(중략)

  • PDF

Some issues in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for integration of manufacturing information (생산정보의 통합과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

  • 노형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5-30
    • /
    • 1993
  • 생산시스템에 지능을 부여하려는 기술개발을 선진국에서는 최근 IMS프로그램을 통해 시도하고 있다. 이중 '차세대 생산시스템을 구축을 위한 통합모델 기초 연구' 과제에 일본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CIM기술실현을 위해서 중요 과제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설계, 가공 및 생산관리 정보를 통합하려는 목적을 갖는 과제의 하나로 공정설계 자동화 과제가 있다. 이 과제에서는 생산정보의 통합을 위한 노력으로 특징형상(Feature) 기술과 데이터베이스 이용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MS 사업의 관심과제, 생산정보 통합 측면에서 상기 기술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공정설계 자동화 연구과제를 제한된 범위에서 생각해 본다.

  • PDF

A Study on the Automatic mechanism for Covering using Automotive Consol Box (자동차 콘솔박스용 커버링 자동화 메커니즘 연구)

  • Lim, Tae-Yang;Park, Tae-Hyun;Oh, Bum-Seok;Kim, Key-Sun;Hong, Jong-Ha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773-776
    • /
    • 2010
  •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부품인 콘솔박스에 가죽을 입히는 커버링 작업은 가죽을 일정한 힘으로 인장한 후 정확한 비율로 씌워야 하는데 가죽의 신축과정에서 어려움이 있고 현재 제품의 생산 공정은 10개의 수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 편차가 일정하지 못하고 생산량의 변동이 심하며, 작업자의 잦은 부상 및 이직, 늦은 작업 속도에 의한 생산원가의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상기 10개의 수작업 공정을 1개의 자동화 공정으로 단축시지는 자동화 시스템의 구동 메커니즘 설계 및 제품에 대한 해석을 행하며 자동화 장비 시작품을 제작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 PDF

Automation of welding process for steel water pipes (상수도강관 파이프 용접공정의 자동화)

  • 나석주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9 no.3
    • /
    • pp.1-9
    • /
    • 1991
  • 근래에 들어 국민들의 소득이 높아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어려운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하는 풍조가 사회전반에 걸쳐 만연되고 있다. 용접공정은 우리사회에서 가장 어렵고, 고된 일종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수도용 대형 강관의 용접시공은 열악한 작업현장 환 경과 전자세 용접등의 어려움 때문에 매우 높은 임금을 제시해도 용접공들사이에서 기피되는 대표적 사례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원활한 상수도 공급을 위해서 긴급하게 요구되는 대형강관의 설치를 위해서는 용접공정의 자동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선진국의 수도용 대형 강관 용접시공 방법 및 자동화의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용접시공 현황과 비교, 검토하여 현실에 적합한 수도용 강관의 용접시공 방법 및 자동화기법을 도출하기 위해서 미국, 이태리, 일본의 관계되는 회사들을 방문하였다. 이와 같은 해외방문목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선진국 대형 강관 용접시공의 현황파악 2) 수도용 대형 강관 용접시공자동화의 가능성 조사. 3) 대형 강관 용접시공 자동화를 위해서 필요한 장치들의 성능조사.

  • PDF

포항제철 기술연구소와 미래의 제철 기술

  • 이주강;권영섭
    • ICROS
    • /
    • v.1 no.1
    • /
    • pp.39-45
    • /
    • 1995
  • 생산량의 증대, 품질의 균일화, 생산 원가의 절감, 조업인원의 합리화를 위한 기술개발경쟁에서 기술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국경을 초월한 무한경쟁체제에서 포항제철소가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포항제철 기술연구소가 앞으로 추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 연구소, 특히 제어.계측.자동화 연구에 치중하고 있는 시스템연구팀은 공정 라인의 "no touch operation"을 구현하기 위해 artificial intelligence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전 공정의 자동화, EIC 통합, 설비진단 자동화, 품질진단 자동화를 이루어 나가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 PDF

Prototype of the Automated Curved Hull Forming System based on Systems Engineering Process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반 선체 곡가공 자동화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Noh, Jac-Kyou;Oh, Dae-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3
    • /
    • pp.275-281
    • /
    • 2011
  • One of the major technology issues in the ship production processes is the curved hull forming process that is a bottle neck and performed by experienced workers. In order to automate the curved hull forming process, there are a lot of attempts to develop the automation system by many shipbuilding companies and academic labs. However they have some problems which put the developed system in the difficulties to be used and maintained in the yard. In this paper, the problems are formed and solved by using tailored Systems Engineering Process which consists of four steps, those are requirement definition, system design, implementation of subsystem and components, and system integration and verification. A prototype for the proposed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y is implemented.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prototype implemented, it is verified that this methodology can be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