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적 표준화기구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Delphi Study of Standardization Strategies for Disruptive Technologies (파괴적 기술 분야에 대한 표준화 전략 연구: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Eom, Doyoung;Kim, Dong-hyu;Lee, Heej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483-510
    • /
    • 2016
  • Disruptive technology is increasingly gaining attention by industries, standards development organizations (SDOs), academia, government and regulatory bodies due to its massive scope of impact on the incumbents and consumers. Companies that take a lead in new technologies intend to dominate the global market by making their technologies into an international standard. However, they tend to seek ways of by-passing the slow procedures of formal SDOs that often hinder prompt action in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technology and market situations. In the area of disruptive technologies, there is a need to harmonize standardization efforts in formal SDOs for various companies and stakeholders to reap the benefi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innov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s why standardization is more active using market-based mechanisms than through formal SDOs for disruptive technologies. We conducted a Delphi study to investigate standardization strategies in the area of disruptive technologies. This research found that experts understood the core element of disruptive technologies as creating new markets and changing the competition basis in existing industri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onsumers' behavior. Based on these core characteristics, experts agreed that flexibility and spee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standardization. Results also show that the perception that standardization activities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companies' profit-making is the key barrier to links between research and companies' participation in standardization.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for formal SDOs and policymakers.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 Youm, HeungYoul;Yoon, Miyeon
    • Review of KIISC
    • /
    • v.23 no.3
    • /
    • pp.14-18
    • /
    • 2013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에게 편리하면서도 온디맨드 (on-demand) 방식으로 풀 형태로 준비되어 있는 공유 자원 (네트워크, 서버, 메모리,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서비스) 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보안 위협과 클라우드 서비스 고객의 정보 통제권 상실과 개인정보 유출 등의 프라이버시 이슈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을 위한 국제 표준화 활동은 두 개의 공적 표준화 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전기통신표준화부문 연구반 17 (ITU-T SG 17) [1]과 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표준화위원회 합동기술위원회 1 연구그룹 27(ISO/IEC JTC 1/SC 27) [3] 에서 주로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을 위해 양대 공적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추진 중인 동향을 제시하고, 이를 근거로 향후 표준화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CT EXPERT INTERVIEW - 클라우드 컴퓨팅

  • Heo, Ui-Nam
    • TTA Journal
    • /
    • s.164
    • /
    • pp.8-15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ICT 활용 패러다임이 정보시스템을 자체 구축하는 방식에서 서비스 이용량에 비례하여 비용을 지불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 중이며, 2010년부터 미국 등 주요국가에서는 클라우드 우선 정책을 기반으로 정부 기업에서 클라우드의 이용이 급속히 확산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3월 세계 최초로 클라우드 발전법을 제정하고, 11월 'K-ICT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여 클라우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산될수록 공적 표준화 기구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기술의 국제 표준화 추진 및 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전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클라우드컴퓨팅표준화포럼을 탐방하여 국내 표준 제정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외 클라우드 기술 및 산업, 정책 동향을 짚어보고자 한다. 또한, 현재 국제 공적표준화 기구의 이슈를 점검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참조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 클라우드 보안 및 상호운용성에 대한 표준 동향을 소개하여 클라우드 분야의 핵심 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Status and Prospec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Big Data (국내외 빅데이터 표준화 현황 및 전망)

  • Ha, S.W.;Lee, K.C.;In, M.K.;Lee, S.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2
    • /
    • pp.32-39
    • /
    • 2015
  • 빅데이터는 기존의 전통적인 데이터 아키텍처에 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자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 패러다임은 빠른 정보처리를 요구하는 수직적 확장성을 고려한 시스템 요구사항부터 다양한 데이터 자원들을 연결해주는 수평적 확장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빅데이터 시장 또한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국내외 표준화 전략 수립 및 표준 개발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고에서는 빅데이터 참조 아키텍처에 대한 개발사례와 함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JTC 1(Joint Technical Committee 1),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Sector) 등 국제 공적 표준화 기구 및 사실 표준화 기구들의 표준화 현황과 국내 표준화 활동 및 표준화 전략 개발 현황들을 요약 분석한다.

  • PDF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Cloud Computing (국내외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 동향)

  • Oh, M.H.;Lee, K.C.;Kim, S.W.;Kim, H.Y.;Choi, 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4
    • /
    • pp.59-71
    • /
    • 2014
  • 클라우드 컴퓨팅은 확장 가능한 물리적/가상 공유 자원에 주문형(on-demand) 형태로 네트워크 접근을 가능케하는 컴퓨팅 패러다임을 의미하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자로부터 지원받는 IT 서비스 형태로 진화해 왔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기술의 발전과 함께 관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표준화도 국내외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ITU-T와 ISO/IEC JTC 1을 중심으로 한 국제 공적 표준기구와 여러 사실화 표준기구의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 동향을 조사한다. 또한,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는 국내 표준화 활동현황도 요약하여 분석한다.

  • PDF

스마트홈 국제표준화 동향 및 추진 전략

  • Park, Ho-Jin;Park, Ju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72-79
    • /
    • 2014
  • 스마트홈이 다가올 10년의 미래 주역으로 대두되면서 각국에서는 스마트홈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국 기술을 ISO, IEC 및 ITU-T 등 다양한 국제표준화 기구에 경쟁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홈 분야의 국제표준화 및 특허출원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가 스마트홈에서 표준화 주도 및 표준 특허 창출을 위한 추진 전략을 제시하여 스마트홈 표준화 정책 수립 및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홈 분야의 대표적인 공적표준화기구인 ISO/IEC JTC1 SC25 WG1의 표준화 현황을 파악하고 선진 각국의 스마트홈 특허출원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한 전략과 표준특허 창출 방안을 제안한다.

A study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for ITU-R (가시광 통신의 ITU-R 표준화 연구)

  • Lee, SangWoon;Cha, Jae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32-234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자원의 부족이 심화됨에 따라 최근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시광통신의 국제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시광통신의 국제표준화는 IEEE 와 ITU 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공적표준화 기구인 ITU 를 대상으로 표준화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추진 방안을 제시한다. 가시광통신은 부족한 전파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대역 고속통신이 가능하며, 병원과 같이 전자파에 민감한 장비들을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사용이 유리하기도 하여 미래의 통신수단으로 부상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시광 분야의 국내 개발 기술들을 ITU 국제표준에 반영함으로써 향후 국내기업들의 이 분야의 국제시장 진출 교두보 선점 등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교육기술과 전자출판 기술의 융합 - EDUPUB 추진 현황과 발전 가능성 연구

  • Kim, Hyeon-Yeong;Jo, Yong-Sang;Im, Sun-Beo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2
    • /
    • pp.97-105
    • /
    • 2014
  • 단행본, 소설, 잡지, 만화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출판물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표현 기술과 콘텐츠 유통을 위한 패키징 기술로 구성된 표준인EPUB3가 국제표준기구인 ISO/IEC에서 국제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시장 표준이 공적 표준으로 통합되는 현상이 전자출판 분야에서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자출판 표준인 EPUB3을 교과서 등 교육용 교재, 참고서, 학습서 등 교육 분야에 확대 적용하기 위하여 온라인 평가 서비스, 학습용 소프트웨어 연계, 교육용 메타데이터 활용 등 이질적인 기술 들 간의 융합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이러한 노력은 지난 2013년부터 국제 표준화 단체인 IDPF(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World Wide Web Consortium이 구성한 EDUPUB Alliance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어떠한 구체적인 주제의 논의가 국내에서도 필요한지 알아본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와 학습 교재는 모바일 및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생성하는 학습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한다면 학습결과를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evelopment of gripping force and durability test standard for myoelectric prosthetic hand (근전전동의수의 파지력 및 내구성 시험 표준 개발)

  • Gook Chan Cha;Suk-Min Lee;Ki-Won Choi;Sangsoo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393-399
    • /
    • 2023
  • Upper limb amputees wear an upper limb prosthesis for both aesthetic purposes and functional necessity,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mputee with both hands, it is essential to wear a myoelectric prosthetic hand capable of gripping action. The prosthetic hand operated by the EMG signal of the remaining muscles is a public insurance benefit item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nd test method standards are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duct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developed systems for measuring the gripping force of myoelectric hand prosthesis by a load cell and for durability test of the prosthesis over repeated use with a proximity sensor, and propose a test method standard. Since the international test method standard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this standardization fiel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