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인인증서비스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Factors Affecting the User Satisfaction with e-Authentication (전자인증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Soo-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9
    • /
    • pp.389-396
    • /
    • 2020
  • E-authentication is one of the key functions for electronic transactions with the identification function made through the information systems. With the abolition of the mandatory use of public certificates, various private e-authentication services have emerged, and are developing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 addition to e-authentication.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with e-authentication services, compared the relative influence among the factors that we explored, and produced implications that c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e-authentication servi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uthentication service, we searched and found four factors such as availability, convenience, added functionality and security. After that, we established and analyzed our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our factors and user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vailability, convenience and secur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but added functionality had no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compared to availability and convenience, security had a very strong impact on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authentication service providers should make efforts to make users aware of the usefulness of additional services while enhancing security.

FIDO 2.0 범용인증기술 소개

  • Cho, Sangrae;Cho, YoungSeob;Kim, Soohyung
    • Review of KIISC
    • /
    • v.26 no.2
    • /
    • pp.14-19
    • /
    • 2016
  • 국내 인증기술은 패스워드를 시작으로 X.509 인증서 기반의 공인인증 기술로 발전되어 왔고 현재는 패스워드의 보안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FIDO 기술로 전환되는 과정에 있다. FIDO는 바이오 인증 기술뿐만 아니라 다중 인증 기술도 지원하는 범용인증기술로 FIDO 인증 서버를 한번만 설치하면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인증방식을 서버 변경 없이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금융, 결제 등 다양한 분야에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범용인증기술인 FIDO 1.0 기술을 설명하고 최근에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FIDO 2.0 기술에 대한 소개 및 FIDO 1.0 기술과의 차이점을 기술하여 FIDO 2.0이 가지는 여러 의미를 분석하여 향후 인증기술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XKMS for Secure Interworking with PKI (PKI와 안전한 연동을 위한 XKMS 개선방안 연구)

  • Lee Sang-Ho;Nam Kil-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0-42
    • /
    • 2005
  • 최근 XML을 기반으로 한 웹서비스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웹서비스를 이용한 메시지 및 문서를 안전하게 송수신 하기위해 XKMS기반 하에 XML전자서명, XML암호화 등이 표준화 되어 있다. 그러나 웹서비스를 위한 XML기반 PKI서비스인 XKMS는 PKI와의 연동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PKI와 XKMS간의 상호인증이 보장되어 있지 않고 서비스거부공격과 재연공격 등에 취약점이 있는 등 여러 가지 취약점이 분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발행 공인인증서를 활용한 XKMS와 PKI서버간의 상호인증방안을 제시하고 메시지 송수신 시 nonce값을 이용하여 재연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메시지 형식을 정의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XKMS PKI가 연동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ainting Technique for leaking official certificates Malicious App Detection in Android (공인인증서 유출형 안드로이드 악성앱 탐지를 위한 Tainting 기법 활용 연구)

  • Yoon, Hanj Jae;Lee, Man Hee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8 no.3
    • /
    • pp.27-35
    • /
    • 2018
  • The certificate is electronic information issued by an accredited certification body to certify an individual or to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between communications. Certified certificates are stored in PCs and smart phones in the form of encrypted files and are used to prove individuals when using Internet banking and smart banking services. Among the rapidly growing Android-based malicious applications are malicious apps that leak personal information, especially certificates that exist in the form of fil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judging whether malicious codes leak certificates by using DroidBox, an Android-based dynamic analysis tool.

  • PDF

Usability and Security Analysis of Authentication Methods for Mobile Fin-Tech Services (모바일 핀테크 서비스에서 이용 가능한 인증 수단의 사용성, 안전성 분석 연구)

  • Kim, KyoungHoon;Kwon, Tae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7 no.4
    • /
    • pp.843-853
    • /
    • 2017
  • In the case of electronic payment, the obligation to use the certificate-based authentication was abolished. As Fin-tech service providers gain autonomy,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are provided. SMS, ARS, PIN, Text-passwords, Fingerprints are popular authentication methods in the mobile Fin-tech services. In this study evaluate the usability and security of authentication methods in a unified mobile environment. We evaluate the usability through SUS and interview. Also we evaluate the security level of authentication methods through NIST guideline. At the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had been determined as the highest usability, also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had been determined as the safest authentication method by obtaining Security Level 4.

모바일 지급결제 및 바이오인식 융합기술 동향

  • Choi, Pil-Joo;Lee, Jae-Seong;Kim, Dong-Kyue
    • Review of KIISC
    • /
    • v.22 no.4
    • /
    • pp.21-2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 시장이 증대되고 있으나 개방된 무선인터넷을 사용하며 도난 및 분실의 위험이 큰 모바일 환경의 특성으로 인하여 안전한 인증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픈 뱅킹에 대한 수요와 편의성에 대한 요구로 기존의 공개키 기반의 인증 방식인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인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자의 생체 특성을 이용하는 바이오 인식 기술은 모바일에 탑재되어 있는 기본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바이오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별도의 소지 없이 간단히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 지급 결제에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단으호 사용될 수 있다. 아직 모바일 지급결재에 바이오인식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인식률의 정확도 향상이 필요한 상태이나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안전한 모바일 지급결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TA NEWS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 TTA Journal
    • /
    • s.105
    • /
    • pp.6-11
    • /
    • 2006
  • ITU-T SG17 국제표준화 제주회의 유치·개최/ 제6차 한·중·일 IT 표준협력회의 참가/ IT Forum Korea 2006/ IPTV, 차세대PC 신규 프로젝트그룹 본격적 활동/ OMA 표준화 총회 2007년 서울 개최 확정/ 지그비 국제공인 시험서비스 제공/ 대한민국 SW 공모대전 수상작의 GS시험 의무화 추진/ 공공SW 사업자 선정시 GS인증 가산점 기준 도입/ BQB 인정서 수여/

  • PDF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

  • Lee, Sim-Sik;Park, Yong-Beom
    • TTA Journal
    • /
    • s.102
    • /
    • pp.161-166
    • /
    • 2005
  •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2005년 4월 21일자 산업자원부 고시(제2005-45호)에 따라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 지정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아 공인인증 시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산업자원부는 'Standby Korea 2010'을 발표하면서 전기에너지 저감을 위한 정책 기조를 제시하였다. 이에 발맞춰 TTA는 2005년 11월 KOLAS 시험분야 추가 인증을 시작으로 관련 시험분야의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urvey of Overseas Internet Banking Authentication Mechnisms (해외 온라인뱅킹 인증현황 및 향후 전망)

  • Byun, Jeung-Ho;Lee, Chae-Chang;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718-721
    • /
    • 2012
  • 1995년 세계 최초로 미국의 SFNB(Security First Network Bank)가 온라인뱅킹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온라인뱅킹의 보급률은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세는 스마트폰, IPTV 등 새로운 전자금융 환경이 형성되면서 앞으로도 지속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온라인뱅킹이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보안성이 확보된 인증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이 큰 역할을 했다. 최근 우리나라는 인증기술의 보안성, 편의성,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반의 공인인증서를 대체하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융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해외 주요 선진국들의 온라인뱅킹에서의 인증기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증기술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앞으로 등장 가능한 인증기술을 전망하며 향후 온라인뱅킹 인증기술과 관련된 연구에 기반이 되고자 한자.

Certification Authority System for Global Electronic Commerce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증체계)

  • Lee, Ho-Gun;Park, Seung-Lak;Yoon, Young-H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2 no.2
    • /
    • pp.43-68
    • /
    • 2000
  • 전자상거래는 비대면(非對面) 거래로 모든 제반과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상대에 대한 신뢰성의 문제가 크며, 거래 당사자와 거래 내역에 대한 입증을 해줄 인증기관이 필요하게 된다. 현재 미국의 베리사인 등 사설인증업체가 국내전자상거래 업체의 인증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증은 필연적으로 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수반되는데 이에 대한 국내기술이 미흡하므로 국제동향을 고려한 국내인증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글로벌 전자상거래에서는 인증기관에 대한 문제가 더욱 절실한데 문제는 어떠한 형태로 어떤 기관이 주축이 되어 인증체계를 구축하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 인증체계는 네트워크 방식, 계층구조, 혼합형의 세가지가 논의되고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체계는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지만, 문제는 글로벌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일관된 형태의 인증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이와 관련한 논의는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난 실정이며, 미국 EU 등 일부국가와 UNCITRAL, OECD, ICC, WTO 등 관련 기구에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는 단시일 내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관련국가들간의 상호인증을 통한 해결이 선행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인증체계가 실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증과 관련한 국내 시장은 출범 초기 단계로서 글로벌 인증 관련 국 내관련 법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아울러 인증서비스를 이용할 사이버무역업계 및 정부 관련 기관 등의 관심이 촉구된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