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유 주택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8초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Urban Collective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 Focused on Case Studies on MVRDV's Collective Housing -)

  • 임해원;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00-107
    • /
    • 2018
  • In order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and to integrate soci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plan a communal space in urban collective housing so that residents can have belonging sens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social integration and residential space,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the collective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We analyz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MVRDV's communal spaces of collective housing and suggested a method of planning communal spaces of urban collective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Urban density is an important tool and background for MVRDV's design methodology. For this reason, MVRDV's collective housing is selected as a case study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openness and connec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by using various devices such as glass exterior, balcony, and void in planning the communal space in urban collective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However, since it has appeared in many cases, it can be criticize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is merely a logic.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we should actively introduce less accessible access.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through more case studies.

임대아파트 특성과 공유교통서비스 선호간의 관계 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n Shared Transport Service and the features of Rental Apartments)

  • 신도겸;변완희;도명식;기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33
    • /
    • 2019
  • 공유교통과 대중교통을 통합하여 시민의 이동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MaaS는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LH 역시 임대아파트 입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유교통 중심의 MaaS를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전국에 걸쳐 위치해 있는 임대아파트는 입주민 특성, 지역특성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MaaS 도입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주민 특성과 지역특성을 고려한 공유교통 공급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LH 임대아파트에 대해 입주민 및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공유교통서비스를 찾고,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임대아파트를 1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C&RT 방법을 활용하여 입주민의 공유교통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카셰어링과 카풀, 공유주차 등 공유교통서비스는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에 위치한 임대아파트에서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특히 대중교통이 열악한 지역에서 카셰어링이나 카풀에 대한 선호가 높았고, 공공자전거의 경우에는 대도시와 중소도시 모두 높은 선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아파트 단지가 속한 지역 특성과 주민 특성에 따라 우선 적용이 가능한 공유교통서비스를 결정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형 공동주택의 청년계층 카셰어링 이용수요 분석 (Estimating Car-sharing Demand of Young People for Parking-Free Apartment House in the Future)

  • 신도겸;기호영;변완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9-137
    • /
    • 2020
  • 공유교통서비스로 상징되는 카셰어링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자동차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미래에 공유교통 서비스가 자율주행자동차와 결합하면 공유교통 서비스가 갖는 접근성 문제를 해소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개인 승용차를 위한 주차장을 없애고, 카셰어링 서비스에 기반을 둔 미래형 공동주택 모델도 구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형 공동 주택 모델의 주요 입주 대상을 청년계층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카셰어링 이용수요 예측과 카셰어링 차량의 통행 처리 효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청년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9개 행복주택단지를 선정하여 통행수요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년계층의 카셰어링 이용 특성과 수요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었다. 수도권에서는 1일 약 1회, 1회 대여 시 평균 80분 정도 이용하였으며, 8~12시의 오전 시간에 이용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비수도권에서는 1일 약 2회, 1회 대여 시 약 200분 이상 장시간 이용하였다. 또한 8~10시의 오전 시간에 집중하기는 했지만, 오후와 저녁 시간에도 이용수요가 높았다. 카셰어링의 통행 처리 효율은 수도권에서는 차량 당 3~4통행, 비수도권에서는 차량 당 2통행 정도로 수도권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의 공사구분(共私區分)과 리모델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공동주택 표준관리규약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mmon/Private Borderline and Renovation of Apartment House)

  • 이재석;서형욱;남혜원;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62-566
    • /
    • 2007
  •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서는, 견해차와 이해의 대립으로 프로젝트추진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분쟁은 공용부분과 전용부분의 애매한 경계선과 구분 때문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현행관리규약이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고찰되었다. 결론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현행관리규약에 의하면, 소유, 사용 및 관리의 정의에 있어서 일본이 한국보다 구체적이다. 2)공용부분과 전유부분의 구분은 외벽의 내측선이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기준이 되어있다. 그러나 한국은 일본 보다 목적과 실행, 정의와 기술에서 일관성이 부족하다. 3)일본은 공유의 위계를 단지-주동-개별 주호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4)일본은 전용으로 사용되는 공유부분에 대하여 정의 하고 있으나, 한국은 그렇지 않다.

  • PDF

셰어하우스의 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잠재적 이용자인 대학생,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 of a Share House)

  • 황춘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0-104
    • /
    • 2020
  • 현대의 세계 경제는 소유 중심적인 상업경제에서 가치 공유의 공유경제로 변화하는 추세이다. 현대 사회에서 1인 가구는 일반적인 가구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 원인은 초혼 연령 상승으로 인한 독신 인구의 증가, 평균 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 혼인 감소, 이혼 증가, 기러기 아빠, 직장으로 인한 주거지 분리 등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1인 가구의 상당한 비율이 청년층이 차지하고 있고 이러한 현상이 대도시에서 흔히 나타난다. 청년층의 1인 가구의 수가 증가하면서 1인 가구의 주거수요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주거수요의 하나의 대안으로 셰어하우스의 선호도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여 셰어하우스 선호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함에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 결과 셰어하우스 접근성, 건축물 특성, 셰어하우스 운영 특성은 모두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해외 집합주택의 공유공간 계획특성 연구 - 유럽, 일본, 중미지역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multi-family Houses - Focused on Case Studies on Europe, Japan and Middle America -)

  • 이민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74-18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pplic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multi-family houses. With this goal, international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are selected and their communal spaces are identified. The purpose of study lies in analyzing on recent 10 years trends of shared space of multi-family houses in Europe, Japan, central America.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al spaces are analyzed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our Aspects such as Organization of space, access roads, parking, pedestrian movement In terms of the framework for analysis, community, rest, separability, rambling, territory, distribution, entrance, openness, view, prospec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s a result, the communal space of the analysis are integrated in plans and sections throughout the multi-family houses. Openness and connection with surrounding urban environments are articulated by communal spaces. Communal identities and aesthetics are emphasized by various space for dweller and the other inhabitant.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bine a design method study with new multi-family houses for the future.

공공서비스 조직의 서비스역량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 주거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Effect of Professional Competence of Public Institutions on Service Quality: Focused on Housing Welfare Service)

  • 박근석;이석제;김종림;이현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13-223
    • /
    • 2012
  • 공공서비스는 국민들이 더 바람직한 생활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공공적 목적으로 제공되는 재화나 인적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의 서비스역량의 구성요인을 고객지향 문화역량, 지식공유역량, 접점직원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 공공서비스 조직의 서비스역량이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공공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과 고객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고객지향 문화역량과 지식공유역량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접점직원의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공서비스 조직의 서비스역량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에 대한 조직역량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무선 감응식 주택 단독 화재 경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ingle Fire Alarm System of Hous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 박현호;조성진;박병화;허정훈;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017-102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주택 내의 단독 화재경보기들이 무선통신을 통해 상호 화재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심야 시간대의 화재 인지력 저하 문제, 방 간 격벽으로 인한 경보 신호 감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 감응식 주택 단독 화재경보기를 개발하였다. 무선 감응식 화재경보기는 온도 센서와 가스 센서를 기반으로 온도와 $CO_2$ 농도를 감시, 주택의 화재를 감지하고 무선 송수신 모듈 등을 이용하여 다른 방의 단독 무선 경보기들에게 화재 경보를 전송함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화재인지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아두이노를 주제어장치로 하는 3개의 무선 감응식 단독화재 경보기의 시작품들이 제작되었으며, 온도 및 가스 시험에서 정확하게 동작함으로서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