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유대

검색결과 563건 처리시간 0.031초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 허혜정;이주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9-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협업 환경을 통합하는 콘텐츠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확장 가능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자원, 로컬 및 원격 콘텐츠 공유, 다중 사용자 상호작용 및 접근제어 특성들을 통합하여 결합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다중 사용자의 상호 작용은 모든 사용자가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그로 인해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오버랩을 관리하기 위해 접근 제어를 모델에 적용했으나 작업 흐름의 방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항을 중점으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콘텐츠 공유 모델은 상호작용과 그 흐름을 방해 하지 않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산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이동수요 대응형 클라우드 교통시스템 공유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Study on Location Decisions for Cloud Transportation System Rental Station)

  • 신민성;배상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42
    • /
    • 2012
  • 최근 개인차량의 증가로 인해 도로교통의 혼잡은 심화되고 있다. 개인차량의 운행 억제를 위한 여러 방편 중 카쉐어링, 렌트카 등의 시스템이 IT 기술과 접목되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소유를 억제하고 아울러 지속가능한 교통환경을 위한 차량공유 시스템에 대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공유는 도로교통의 혼잡을 줄이고 차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보다 친환경적인 교통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공유시스템에 대한 개념, 체계도, 운영시나리오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차량 공유시스템 운영에 있어 최우선 과제인 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및 수요를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산시 남구, 해운대구, 수영구를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인구수, 종사자수, 학생수, OD 통행량 등 주요 교통현황을 분석하고 이용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존의 수요를 추정하였다. 각 존의 발생통행과 도착통행을 고려하고, 이용 빈도 평균사용시간을 분석해 필요 수요를 산정하였다. 대여소 입지선정은 입지후보지를 인구 밀도와 접근성을 통해 평가하고 평가단위를 통일하기위해 평과결과를 정규화 하여 각 후보지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에 따라 선정된 입지후보지의 CTS 존 수요에 따른 차량 대수 및 주차면수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표존으로 해운대구 우1동의 3개의 후보지중 해운대광장공영주차장과 동백사거리공영주차장이 선정되었으며 각각의 차량대수와 주차면은 11대와 14.23면, 7.9대와 10.29면으로 추정되었다. 향후연구로 클라우드 교통 구현시 발생된 실데이터의 적용을 통한 정확한 수요추정이 필요하며 선정된 대여소간의 차량 재분배를 위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설계와 알고리즘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Shared E-scooter Usag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 김수재;이경재;추상호;김상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0-53
    • /
    • 2021
  • 공유 전동킥보드는 기존 'station 기반의 공유 교통서비스에 비해 편리한 dockless 방식으로 제공되어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사고, 보행환경 저해 등 새로운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공유전동킥보드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고, 음이항 회귀모형을 통해 서울시 집계구 단위의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이용특성 분석결과 평균 이용거리는 1.5km, 이용시간은 9.4분, 이동속도는 10.3km/h로 나타났다. 공유 전동킥보드의 이용수요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인구지표, 교통시설지표, 토지이용지표, 기상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유 전동킥보드의 이용수요가 많은 지역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교통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킨 구매를 통한 커뮤니티 운영 앱 개발 (Research on how IoT can be taken into account when start encouraging Startups for the elderiy)

  • 조호정;황일엽;김기혁;정덕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6-938
    • /
    • 2015
  • 치킨을 소비하는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소비를 하는 20대는 해가 넘어갈수록 1인 가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혼자 배달음식을 시켜먹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함으로써 20대 뿐만이 아닌 30대 40대 등 선남선녀 누구나가 치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같은 취미를 공유하고 동지들을 찾아 좋아하는 취미를 즐기며 만남 및 친목도모를 위한 커뮤니티 운영을 목적으로 한다.

  • PDF

객체지향 데이타베이스 기반의 가상현실 시스템 (Virtual Reality Systems based on Object-Oriented Databases)

  • 원석진;차상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563-565
    • /
    • 1995
  • 기존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시스템들은 가상세계 (Virtual World)에 관한 데이타를 대부분 파일의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가상현실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 공유가상세계(Shared Virtual World)를 기반으로 하는 대규모 응용분야가 나타나면서, 데이타의 효율적 관리와 공유를 위한 상위 레벨의 데이타 관리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세계 데이타의 관리를 위한 객체지향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1]의 사용을 제안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속객체 (Persistent Object)[2]를 공유하는 가상현실 응용시 스템의 구조를 연구한다.

  • PDF

공유 스토리지 기반의 무선 인터넷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 (A Shared Storage based Wireless Internet Proxy Sewer Cluster)

  • 곽후근;정규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421-42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인터넷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의 문제와 요구들을 캐싱(Caching), 압축(Distillation) 및 클러스터(Clustering)를 통하여 해결하려고 한다. 무선 인터넷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시스템적인 확장성, 단순한 구조, 캐시간 협동성(Cooperative Caching), Hot Spot에 대한 처리 등이다. 본 연구자들은 기존 연구에서 시스템적인 확장성과 단순한 구조물 가지는 CD-A라는 구조를 제안하였으나 캐시간 협동성이 없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의 개선된 구조로 해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캐시간 협동성을 가지는) 구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역시 Hot Spot을 처리할 수 없다는 단정을 가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적인 확장성, 단순한 구조, 캐시간 협동성, Hot Spot을 처리할 수 있는 공유 스토리지 기반의 무선 인터넷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하나의 캐시 디렉토리를 공유하는 방법으로 기존구조의 장점과 캐시간 협동성 및 Hot Spot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16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 Hot Spot 상황에서 제안된 방법이 높은 성능 향상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 PDF

PHLOX : 데이터를 공유하는 워크스테이션 클러스터 환경기반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 (PHLOX : A High Performance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on Workstation Cluster Environment with Data Sharing)

  • 조행래;문애경;정재규;박재용;김태우;이우범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5권1호
    • /
    • pp.29-42
    • /
    • 1999
  • 은행이나 증권시장 혹은 통신 분야와 같은 온라인 트랜잭션처리 (OLTP) 응용 분야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그 규모와 복잡성은 매년 405에서 50% 이상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OLTP 응용분야들은 한 대의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며, 슈퍼 컴퓨터나 MPP와 같은 고성능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방대한 예산이 소요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워크스테이션 클러스터에서 트랜잭션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트랜잭션처리 시스템인 PHLOX를개발한다. PHLOX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확장성이 뛰어나며 각 워크스테이션의 메모리 버퍼간에 직접 데이터 전송을 지원함으로써 디스크 액세스빈도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공유 모빌리티, 따릉이 효율성 증대를 위한 이용률 분석 및 재배치 방법 연구 (Shared mobility, utilization analysis and relocation methods to increase efficiency of Ddareungi)

  • 김성진;장재훈;박치수;이형묵;이준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91-93
    • /
    • 2021
  • 퍼스널 모빌리티를 비롯한 공유 모빌리티 시장이 국내에서 급격한 성장을 거두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2015년부터 공공자전거 서비스 '따릉이' 사업을 시작해 서울시민에게 주목받는 정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그에 따라 매해 늘어나는 따릉이 수요를 맞추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따릉이 대여소를 매해 증설하고 있으나, 자전거 부족, 거치대 부족으로 많은 불만이 나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따릉이 대여소의 이용률을 분석하여 사용이 집중되는 대여소와 그 시간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특정 대여소에 자전거가 필요 이상으로 반납되거나 부족해지는 현상을 해결할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 이용 만족도 차이 분석연구(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tisfaction Differences in Dockless Bike in Suwon City)

  • 김숙희;이남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57-166
    • /
    • 2020
  •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를 수원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여 운영을 했다. 수원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만족도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 약 88 % 이상이 공유자전거를 인지하고 있고, 공유자전거 도입 정책 평가결과 90 %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공유자전거 시민의식관련 항목은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자전거 이용목적은 대중교통 연계, 통학, 개인용무, 업무, 쇼핑 통행 합의 비율이 74.4 %로 나타나 생활교통수단으로써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공유자전거 이용 이전 주이용 교통수단은 승용차, 지하철, 도보, 개인자전거, 버스 순으로 수단전환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구현에 있어 매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공유자전거 이용 만족도의 차이는 직업,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과 연령대별 공통적으로 결제방법과 이용 요금체계, 이용안내 및 홍보에 대해 유의한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자전거 훼손에 대해서는 직업별, 대여·반납과 회원가입 절차는 연령대별로 유의한 만족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규 수요 발굴을 위한 다양한 정책 수립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스테이션 없는 공유자전거 이용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공유경제를 위한 패션 공유플랫폼 활성화 방안 연구 -패션 대여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Sharing Platform for Shared Economy -Focusing on fashion rental service case-)

  • 윤지연;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99-205
    • /
    • 2017
  • 지속되는 불황 속에서도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유통하는 패스트패션의 유행은 의류폐기물의 급증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의류폐기물 문제와 더불어 합리적 소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국내외 패션 공유서비스 활성화 방안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공유형 패션 대여서비스는 폐기되는 옷뿐만 아니라 제작 과정에서도 발생하는 환경 문제들의 대안으로 떠오르며 블루오션 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나 선행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츠먼(Rachel Botsman)이 정리한 3가지 공유적 접근요인을 기반으로 서비스 사례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연구의의를 갖는다. 첫째, 온-오프라인을 통해 적극적 커뮤니티가 가능한 서비스 개발. 둘째, 공유경제 유형의 활성화를 통한 재화 창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적용을 통해 효과를 입증하지는 못한 한계점이 있으며 향후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