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업생산신장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국내 타이어ㆍ튜브산업의 05년 실적 및 06년 전망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226
    • /
    • pp.22-25
    • /
    • 2006
  • 05년도 자동차타이어 생산량은 전년대비 6.4%증가한 8,153만개를 기록했으며, 04년과 대비하여 증가율은 둔화되었으나 신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생산 증가는 국내외 고부가가치제품인 UHP타이어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그에 따른 생산시설이 확충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PDF

한국기계공업의 근황과 전망

  • Lee, Chun-Hwa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9 s.100
    • /
    • pp.83-87
    • /
    • 1977
  • 오늘날 선진국이라 칭하는 나라들은 모두 그나라 기계공업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은 결코 아닙니다. 기계공업은 모든 산업의 기초이며 생산의 바탕입니다. 창조적인 서구의 기계공업이나, 모방적인 일본의 기계공업이나 기술의 토착화에 그 중요 포인트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기계공업을 볼 대 공업입국을 향하여 1962년부터 시작된 경제개발 계획에 의해서 빠른 속도로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 분야로 발전되고 있습니다. 특히 1977년부터 시작된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 중화학 공업에의 중점교육 투자로 인하여 급격히 신장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가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 있다면 장기적인 안목에서 발전 시켜야 할 과정 즉 발전 시켜 나가는 단계와 속도 등을 고려하여 장기 기술축적으로 기술의 토착화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기계공업의 역사, 즉 과거와 현재를 알아보고 전망과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점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 PDF

우리나라 육계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 오봉국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3 no.1
    • /
    • pp.61-70
    • /
    • 1986
  • 우리나라 육계산업은 1960년대 후반기에 외국에서 잘 개량된 전용육계종계를 도입하면서부터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하여 비교적 짧은 기간에 육류의 중요생산업종으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육계산업이 크게 신장함에 따라 관련산업인 종계사업, 부화사업, 사료공업도 크게 발전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도계품 중심의 가공업도 발전하게 되었다. (중략)

  • PDF

SPECIAL REPORT 3. 1970년대 시멘트산업 - 건설한국의 역군으로 자리매김하다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198
    • /
    • pp.45-65
    • /
    • 2013
  • 1970년대 중후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작과 함께 시멘트산업은 다시 도약기를 맞게 된다. 정부의 지속적인 공업화 정책에 따라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을 위한 도로, 항만, 댐 건설 등에 주력하면서 시멘트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1968년 경부 고속도로의 착공 이후 공장신설과 신규 주택건설 등 각 부분에서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 시멘트 생산시설의 확충도 급진전됐다. 이렇듯 1970년대에는 우리나라가 여러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도전을 통해 시련을 극복하고 마침내 획기적인 국력신장을 성취한 도약의 시기였다. 특히 1970년대를 거치며 이룩한 우리나라의 괄목할만한 성장은 세계를 놀라게 하는 것이었다.

  • PDF

발효유 시장의 현황과 전망

  • Kim, O-Nim
    • 우유
    • /
    • s.60 spring
    • /
    • pp.5-12
    • /
    • 1995
  • 발효유 시장의 판도가 재편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오는 96년 유제품 시장의 완전 개방으로 신제품 개발과 기술 경쟁이 불가피한 실정에 놓이게 되자 유가공업체는 앞 다퉈 고부가 가치 상품을 직접 공략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각 업체는 단순가공처리로 부가가치가 낮은 일반 시유나 조제분유 등의 생산 비중을 점차 낮추고 최근 매출이 급신장하는 요구르트 제품 및 치즈 등 고부가 가치성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90년대 초 정통요구르트로 각광받았던 떠먹는 요구르트(호상요구르트)의 퇴조 대신 떠먹는 불편함을 없앤 드링크요구르트[D/Y]가 급격한 신장세를 보이면서 발효유 시장을 휩쓸고 있다. 차세대 요구르트로 불리는 드링크요구르트가 요구르트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요구르트에 칼슘 · 미네랄 · 비타민 등을 강화한 고기능성 제품도 속속 개발되고 있다.

  • PDF

서독 Continental의 경영전략 및 업체현황

  • Lee, Gwang-Jae
    • The tire
    • /
    • s.113
    • /
    • pp.38-40
    • /
    • 1984
  • 서독 타이어 산업의 톱 메이커인 Continental Gummi Werke사는 일본의 자동차 기술의 높은 수준과 시장성 및 타이어 시장의 신장에 기대하면서 지난 3월 13일 앞으로 일본시장에서의 동사의 판매전략을 밝힌 바 있다. 그 중에서 교환용시장에 대해서는 승용차용 고성능타이어를 유럽으로부터 수입하여, Toyo고무의 판매망 등을 통하여 년간 20만본 판매를 목표하고 있으며, 자동차 메이커에 직접 판매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사와 제휴관계에 있는 Toyo고무에 위탁생산을 중심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 동사가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Conti Tire System"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PR해 나갈 것이라는 요지 등을 설명하였다.

  • PDF

Wood Processing In New Zealand : Current Trends (뉴질랜드 임산공업(林産工業)의 현황(現況))

  • Walford, G.B.;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1
    • /
    • pp.61-69
    • /
    • 1995
  • 뉴질랜드 임산공업은 1800년대 중반에 캘리포니아로부터 도입된 라디아타 소나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라디아타 소나무는 전체 식재림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뉴질랜드의 대표수종이다. 뉴질랜드의 식재림 면적은 매년 신장되고 있으며 현재 전국토의 약 5%인 130만ha에 달한다. 생산품인 제재목, 판상제품, 펄프와 종이 등은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에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상대국은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도 1993년기준 원목 333백만NZ$, 제재목 7백만NZ$, 펄프 36백만NZ$, 판재 8백만NZ$ 등 총 387백만 NZ$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나 대부분 저부가가치의 용도에 한정되어있어 앞으로 용도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세계의 유황수급 전망

  • Ceccotti S.P;Messick D.L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24
    • /
    • 1996
  • '90년대 전반기 중 세계 경제 상황은 정치, 경제 및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불황으로 유황시장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경기의 후퇴는 다수의 생산자로 하여금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전략 변경 및 새로운 시장 개발을 촉진시키게 하였다. 최근에 전개되고 있는 극단적인 정치$\cdot$경제적인 변화는 재래시장과 무역균형을 변경시키게 되었다. 개선되는 세계경제에 따른 광범위한 구조조정과 지난 2년간 진행되어온 전반적으로 농업에 유리한 조건에 힘입어 1995년 유황공업은 회복이 시작되어 54.63백만 톤이 생산되었다 국제 유황 무역은 수요와 공급 면에서는 균형을 못 찾고 있다. 1995년 유황생산 중 무역량은 $45\%$에 이르렀다. 유황생산에 영향하는 요소가 변함에 따라 무역의 형태가 변하게 되고 세계 유황 수급 균형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지난 2년간 있었던 유황생산 회복은 다음 십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부분 수요의 증가는 자연가스의 생산을 지배하는 요소에 따라 결정 될 것이다 1986년 이래 유가가 떨어진 후 세계 에너지 수요는 연간 $2.3\%$ 증가하였다. 석유와 가스는 미래 에너지 수요의 증가로 $70\%$이상을 공급하게 될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회수 유황은 원유의 정제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가장 신장이 큰 공급원으로 2005년까지 주요유황생산 부분이 될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주요 회수 유황생산국은 일본으로 전체의 $66\%$를 차지한다. 석유 정제로부터 회수 유황생산량은 동아시아에서 증가하고 있다. 유황회수 시설 투자는 일본을 위시하여 한국, 싱가폴 및 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점차 증대되는 환경규제에 기인된다. 동아시아 공업국가 예컨대 일본과 한국에서의 유황소비는 인산생산 저조로 정체해 있으나 지난 10년간 여타의 아시아 국가에서의 유황소비는 꾸준히 증가되었다. 이 같은 증가는 앞으로 10년간 계속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황비료 소비가 4.81백만 톤에서 6.6백만 톤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이는 주로 중국이 내수 인산생산을 증가시키려는 데 기인된다. 더욱이 다가올 10년은 다수의 아시아 국가의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비료 이외의 유황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 될 것이다. 동아시아는 10.29백만 톤을 생산하고 10.99백만 톤을 소비하여 1995년에는 70만 톤의 유황이 부족하였다. 이와 같은 영향이 계속된다면 동아시아 유황부족은 2005년에는 1.05백만 톤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중국에서 황화철에서부터 공급되는 유황함량이 많아 이 지역에서의 원소유황의 진정한 균형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평가되지 못한다. 1995년 동아시아에서는 1.3백만 톤의 원소유황을 일본, 캐나다, 미국에서 수입했다. 이들 국가는 앞으로도 이 지역의 주요 공급자가 될 것이다. 황산의 많은 양은 일본에서 이 지역으로 수출되는데 그 양은 1995년 10만톤 이상에 이른다. 더욱이 경제?환경적 이점 때문에 중국이 황화물에서 회수하는 유황대신 원소 유황의 수입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어 지역내의 유황 부족이 증가 될 것이다. 이 같은 상황진전으로 앞으로 10년 이내에 2.5백만 톤의 추가시장이 있게 될 것이다. 이 기간내 한국으로서 현재 326,000톤의 부족에서 2005년에는 309,000톤의 과잉으로 유황균형이 변할 수 있는 주요계기가 될 것이다 이 같은 과잉은 회수 유황생산이 1995년 333,000톤에서 2005년 870,000톤으로 $161\%$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동기간 내에 기타 유황생산은 280,000톤에서 320,000톤으로 $14\%$ 증가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하여 2005년 한국에서 유황 공급은 1.19백만 톤이고 수요는 881,000톤으로 추정 된다. 미래 한국에서 유황의 또 다른 잠재시장은 식물양분으로서 이다. 인산비료 생산은 유황산업의 골격으로 1995년 세계적으로 인산비료는 유황소비의 53%인 53.60백만 톤을 점유하였다. 작물의 유황결핍 현상은 세계도처에서 나타나고 있어 식물양분으로서 유황시장은 20년전의 시장과 같이 현황을 띠는 시장으로 유황공업이 때를 만나게 될 것이다. 공업국에서 유황의 대기로의 방출억제로 자연 공급량이 감소되고 개발도상국에서 증산으로 유황의 탈취가 증가됨에 따라 유황 부족은 점차 중요한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1993\~1994$년간 7.52백만 톤으로 추정되는 유황 부족이 농산물의 수량과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유황비료의 수요가 증대되었고 산업계는 수요증대에 대응할 기술개발에 노력하게 되었다. 현재의 식량생산과 비료 소비추세가 지속된다면 아시아에서 2000년까지 매년 4.5백만 톤의 유황부족이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유황비료의 부족은 적절한 대책을 취하지 않는 한 2010년에는 6.5백만 톤으로 증가 될 것이다. 동아시아는 경제발전으로 유황비료 장기 잠재시장이 기대되고 새로운 시장으로 $50\%$이상을 점유하게 될 것이다. 서구와 북미에서 유황비료 산업은 이윤 있는 잠재시장으로 인정되고 상업적으로 앞서 있는 시장이다. 점증하는 수요에 대한 대처와 유황비료의 성공은 시장에서 가격에 좌우된다. 실제로 북미와 서구에서 현재의 소매가격은 유황 톤당 $266\~466\$$의 범위에 있다. 인도에서는 비료로서 유황시장은 덜 발달된 단계로서 대표가격은 $120\$$이다. 이 가격 범위로 보아 2010년에 동아시아 시장의 잠재 유황비료 시장은 3.4백만 톤에 이르고 비료공업에서 추가로 얻는 이윤은 408백만 내지 1조5천억$\$$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장이 발전 될 수 있는 것은 계속된 제품개발과 비료산업 시장개척에 달려있다.

  • PDF